728x90
반응형
SMALL

정신분석학의 아버지 지그문트 프로이트는 스스로 불안을 조절하기 위해 약물에 크게 의존했다.

프로이트의 초기 학술 논문 가운데 여섯 편은 코카인의 효능에 관한 것이었다.

​프로이트는 1880년대부터 거의 10년동안 규칙적으로 코카인을 투여했다.

"최근에 심한 우울증이 왔을 때 다시 코카인을 썼소. 놀랍게도 적은 양으로도 기분이 최고로 좋아졌어요. ​지금은 이 마법의 물질을 칭송하는 글을 쓰려 참고 문헌을 모으는 중이오."

1884년 아내에게 보낸 편지다. 프로이트는 코카인의 의학적 특성을 연구하여 명성을 얻을 수 있으리라고 믿었다.

 

 

 

코카인이 커피 정도의 중독성 밖에는 없다고 생각해서 예민한 신경, 우울, 소화불량, 모르핀 중독 등 모든 병의 치료제로 자기 자신과 다른 환자들에게 처방했다.

 

프로이트는 코카인을 "마법의 약"이라고 불렀다. ​"나는 우울증이나 소화불량이 올 때 정기적으로 아주 조금씩 흡입하는데 효과가 탁월하다."

 

파리에 있는 스승 장마르탱 샤르코의 살롱 모임에 참석할 때도 사회불안을 달래기 위해 코카인의 힘을 빌렸다. 프로이트의 코카인 사랑은 자신이 코카인을 처방한 절친한 친구가 치명적인 중독 상태가 되었을 때에야 수그러들었다.

 

그렇지만 ​프로이트는 코카인 직접 경험을 통해 일부 정신질환은 뇌에 물리적 원인이 있다는 확신을 굳게 가지게 되었다.

그러니 의학사의 아이러니가 아닐 수 없다.

 

프로이트는 후기 작업 덕에 정신병은 무의식의 심리적 갈등에서 나온다는 전제를

 바탕으로 하는 현대 정신역학 치료법의 선구자로 생각되지만, 또 한편으로 ​초기에 코카인 관련 연구를 썼기 때문에 정신병은 물리적, 화학적 기능이상에 따른 것이므로 약물로 치료할 수 있다고 보는 생물학적 정신의학의 선구자 가운데 한 명이기도 하다.

 

​현대 정신약리학 역사를 훑어보면 프로이트의 코카인 실험처럼 우발적인 면이 두드러진다.

​지난 60년 동안에 상업적 성공을 거둔 항불안제나 항우울제 대부분이 우연히 발견되었거나, 본디는 결핵, 수술 쇼크, 알레르기 치료약, 살충제, 페니실린 보존제, 염료, 살균제, 로켓 연료 등등 불안이나 우울과 전혀 상관없는 용도로 개발된 물질이었다.

P.S: 프로이트는 자기가 니코틴 중독이라는 것도 인정했다. ​거의 평생 동안 시가를 하루에 스무 대 이상 피웠고 결국 60대에 구강암에 걸리고 말았다.

 

 

 

728x90
반응형
LIST

WRITTEN BY
케노시스
다양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
728x90
반응형
SMALL

파킨슨병 하면 resting tremor를 보이거나 근육의 rigidity 가 생기거나 bradykinesia를 보이며 동작이 느려지거나 gait disturbance 로 인해 종종걸음을 걷는 것만 생각하실 수 있는데 이러한 '비운동 증상'들이 흔히 동반된다는 걸 숙지해 두신다면 도움이 될 것입니다. 수면 장애와도 밀접한 연관이 있다는 건 생소하신 분들도 있을 것입니다.

 

 

 

[1] 잠을 잘 못 자요

 

불면증이란, 잠을 충분히 잘 수 있는 상황임에도 잠들기 어렵거나, 잠은 들었는데 자주 깨거나, 새벽에 일찍 깨서 잠이 오지 않거나, 아침에 일어나도 개운하지 않은 증상이 있으면서 불면증으로 인한 주간증상이 생기는 병입니다.

 

전체 인구의 30~50%의 높은 유병률을 가지고 있어 우리 주위에서 흔히 접하는 증상 혹은 질환이 불면증이지요.

 

잠을 잘 못 자니, 주간에는 피곤하고 집중력이 떨어지고 기억력이 떨어지면서 기분장애 같은 것들이 생길 수 있고 두통, 긴장, 소화장애, 활력저하 등이 초래될 수 있습니다.

 

불면증은 여러 원인으로 발생합니다.

 

스트레스, 불안, 정신질환이나 부적절한 수면위생, 약물, 그리고 각종 내과와 신경계질환에 의하여 수면방해가 생깁니다.

 

파킨슨병에서도 불면증이 유발될 수 있습니다.

 

파킨슨병에서 나타나는 비운동성증상의 일환으로 불면증이 올 수 있고, 통증이나 하지불안증후군, 렘수면행동장애, 수면무호흡증 모두 수면장애를 일으키는 원인들입니다.

 

특히 밤 동안 약기운의 부족으로 오프(off) 현상이 초래되면서 불면증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파킨슨병 환자들은 수면 패턴의 관찰과 함께 동반 증상을 잘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일반적으로 잠을 잘 못 자는 원인은 매우 광범위하기 때문에, 불면증의 진단을 위해서는 자세한 병력청취가 중요합니다.

 

환자가 힘들어 하는 문제가 어떤 것인지, 그리고 내재해 있는 정신적 혹은 신체적 문제점들이 없는지 환자의 기저질환 등을 면밀히 살펴보아야 하며, 특히 복용하고 있는 약물에 의한 영향이 아닌지에 대한 관찰이 필요합니다.

 

 

 

[2] 밤마다 소리를 지르고, 꿈을 많이 꿉니다.

 

렘수면행동장애(REM sleep behavior disorder, RBD)는 렘수면 기간 동안 정상적인 무긴장 근육상태가 없어져서 꿈의 내용을 실제 행동으로 나타내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실제로 싸우는 듯 팔을 내두르기도 하고, 잠꼬대를 하면서 행동을 하기도 하여 본인이 침대에서 낙상하는 경우도 있고 함께 잠을 자는 배우자가 다치는 경우도 많습니다.

 

렘수면행동장애를 가진 환자들을 장기간 추적 관찰한 연구들에 따르면, 5년간의 추적 관찰에서 27%에서 45%의 환자가, 10년 추적 관찰에서는 40%에서 65%의 환자가 치매나 파킨슨병과 같은 신경퇴행성 질환으로 이환되었다고 보고합니다.

 

그리고 렘수면행동장애를 보인 후, 파킨슨증이나 치매와 같은 신경퇴행성 질환을 진단받기까지 평균 12년에서 14년 정도 걸린다고 추정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렘수면행동장애는 추후 파킨슨증이 나타날 가능성이 있는 선행인자가 아닌가 생각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모든 렘수면행동장애 환자들이 수면클리닉을 찾아 진료를 받는 것이 아니며 확진이 쉽지 않다는 점 등은 파킨슨병과의 인과관계를 설명할 때 신중해야 할 점들입니다.

 

렘수면행동장애는 문진과 수면다원검사를 통하여 진단할 수 있으며, 다른 수면장애와 감별이 중요하고, 수면 중 나타나는 발작 등과 감별을 해야 합니다. 파킨슨병으로 진단받은 환자에서는 25~47%, 다계통위축증 환자의 90%에서 렘수면행동장애를 동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파킨슨병 101가지 이야기] 에서 발췌함-

 

*구글 이미지를 활용하였습니다*

 

728x90
반응형
LIST

WRITTEN BY
케노시스
다양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
728x90
반응형
SMALL

 

 

 

 

Ch8. 항우울제 [Part1] [123page]

 

 

-8.1: 항우울제의 분류

-> 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s (SSRI)

-> Serotonin and norepinephrine reuptake inhibitors (SNRI)

[은근히 term이 헷갈린다.]

 

-SNRI S selective- 가 아니라 serotonin 임을 헷갈리면 안 된다.

-mirtazapine 은 우리가 약어로 NaSSA라고 부른다.

-NDRI 또는 DNRI bupropion 이다.

 

SSRI serotonin 에만 선택적으로 작용한다고 하는데 이것도 상대적인 거다. paroxetine 은 다른 곳에도 많이 붙는다.

-> escitalopram 이 다른 약과 상호작용도 적고, profile 도 간단하고 강력한 효과도 지녔고, 부작용도 적기 때문에 많이 사용한다.

-> SSRI는 독성이 거의 없다. 성기능 장애는 환자에겐 중요한 부작용이지만 수 많은 무시무시한 부작용과 비교하면 의사에겐 상대적으로 괜찮은 부작용이다.

-> GI trouble sexual dysfunction 제외하면 안전한 약이다. 이걸 과량 복용해서 죽은 사람 보기가 어렵다.

그래서 심한 환자는 20mg부터 줘도 되고, 5mg부터 쓸 필요 없이 처음에 바로 10mg부터 주다가 1주일 뒤에 바로 20mg로 올려도 된다. [dosing 도 쉽고, 약 쓰는 게 어렵지 않다]

-> 소아,청소년 과 등에서도 즐겨서 막 쓰는 약이다. [SSRI 처방 60일 제한 풀어 달라고 정신과 의사랑 싸우기도 하는 이유다] (약이 너무 좋아도 다툼이 생긴다. 밥그릇 싸움이 되고 말이다.)

 

-Paroxetine(팍씰)은 잠 못자는 우울증 환자에게 써보기 좋다.

-환자가 DM, HTN 등 있고 해서 걱정이 많으면 escitalopram1차로 고려하기

 

 

[문제]

65세 여자 환자이고, DM이 있고 잠은 비교적 잘 잔다. somatic Sx 과 우울감이 심한 환자다. 어떤 약을 쓰는 게 좋을까?

-> duloxetine 도 사용 가능하긴 함.

-> 일단 SNRI 계열을 쓰는 게 맞다.

-> venlafaxine(effexor)가 훨씬 낫다. duloxetine FDA에서 통증으로 인증을 받았는데 이건 다른 약보다 항우울 효과는 떨어진다는 걸 의미할 수도 있다. 물론 통증이 더 큰 시장이라서 그럴 수도 있고 말이다.

-> duloxetine 은 마취통증의학과, OS에서도 많이 쓴다.

-> anti-depression 효과 + somatic Sx 치료에는 venlafaxine 이 최고다.

 

 

 

 

[venlafaxine 의 부작용]

-> 일단 약을 아침에 주는 게 좋은지 저녁에 주는 게 좋은지 구분해 두는 게 중요함.

 

아침에 주는 약, 저녁에 주는 약을 나누는 기준은?

-> sedation을 시키는지 아니면 각성을 시키는지에 따라서 약을 주는 시점을 나눈다.

-> paliperidone 은 아침에 주는 약이다. 이건 다른 이유 때문에 그렇다.

[paliperidone 제약 회사에서 알려 주는 개념: 이 약은 활성 대사물질 형태로 약에 들어가서 그 약에서 점점 유리가 되어 나오는 형태다. 다른 약은 흡수를 일단 하고 간에서 대사 돼서 그 다음 약물이 나오는데 paliperidone 은 약의 제형 자체가 스물스물 나오게 만들어져 있다. 우리는 흡수가 소장에서 주로 하는데 밤에는 fluctuaction 이 심해서 예측이 어려워 bioavailablity 가 떨어진다고 함. 그래서 이 약은 아침에 줘야 소장이 흡수를 안정적으로 해서 예측, 흡수가 더 좋다]

 

부작용으로 불면이 있는 약은 아침에 주는 게 좋다. 아침에는 각성 효과를 주는 것이니 말이다. 부작용으로 진정작용이 있으면 저녁에 주면 BDZ 안 줘도 잠을 재울 수 있으니 잘 활용한 거다.

 

mirtazapine(레메론) 은 저녁에 주는 약이다.

-> dizziness 가 아주 심한 약이다. 이것 때문에 못 먹는 사람도 많다.

-> quetiapine dizziness 가 심해서 못 먹는 사람들이 있다.

-> anti-depressant 중에선 레메론이 어지러움이 심하다. 이건 수면제 겸 항우울제라 수면제 달라고 난리 치는 우울증 환자에서 치료적으로 레메론을 활용 가능하다.

-> metabolic Sx 이 다른 항우울제보다 risk가 더 크다.

(사실, anti-depressant antipsychotics 이나 anti-convulsant 와 비교했을 때 metabolic Sx 이 생길 확률이 상대적으로 적다)

-> 유일하게 예외가 레메론이다.

-> 이 약은 DM이 있으면 일단 피해 주는 게 좋다.

-> NaSSA 계열 약물이니까 receptor를 두 개 이상 건드는 거다. TCA 등은 모두 신체 증상에 효과가 있다. (두 개 이상의 receptor 건드니)(그래서 레메론도 신체 증상에 도움이 됨)

 

우울감은 심하지 않은데 화병처럼 남편 생각하면 머리가 지끈거리고, 소화도 안되고, 몸에 열이 오르는 할머니들도 DM 없으면 레메론 주고, BDZ를 빼버려도 되고, HTN 도 없고, 각성 효과 노려야 하면 venlafaxine을 써 볼만 하다

-> venlafaxine 의 부작용 중에 불면이 대표적이다. 그래서 아침에 줘야 한다. [135page]

-> nausea 는 대부분의 정신과약에서 있을 수 있는 부작용이다.(트리메부틴, 가스모틴 등 같이 쓰면 된다)

-> 갑자기 발생하는 HTN 이 있다 보니, HTN 있는 사람에게는 왠만하면 이 약을 first try 안 하는 게 좋다

-> 혈압, 당뇨 둘 다 있고 신체 증상과 우울감을 호소하면 무슨 약을 쓸까? 이 땐 그냥 써보자. 레메론이든 이펙사 든 써 보는 거다.

 

mirtazapine (레메론) 은 식욕을 확실히 올린다.

venlafaxine 이 유발하는 HTN 은 예측이 힘들지만, 비율은 적을 수 있고 말이다.

-> 환자에게 부작용도 설명해 주면서, 선택하게 해 볼 수도 있고, escitalopram TCA를 써 보기

 

 

[TCA]

신체 증상에 효과가 아주 좋다.

-> 최근 들어서 TCA를 많이 안 쓰는 이유는 mirtazapine venlafaxine이 개발되서 그렇다.

-> 항우울 효과에 있어서는 SSRI에게 자리를 내줬고, 그나마 남아 있던 게 불면, 신체 증상 분야였는데 여기마저도 빼앗김[mirtazapine, venlafaxine 이 그 분야도 가져감]

-> therapeutic window 이야기가 나오는 유일한 항우울제다.

-> 과량 복용해서 위험한 약은 lithium, TCA 정도 뿐이다. (정신과 약에서)

드라마에선 환자들이 약 모아서 먹는 걸 보여주는데 그 약 중에 lithium, TCA가 없으면 죽지는 않을 것이다. (대부분)

venlafaxinemirtazapine의 좋은 점은 약물 상호작용이 적은 편이다.

-> 약물 상호작용이 거의 없는 수준이라서 안전하다.

-> 간대사가 걱정되거나, 간 기능이 걱정되거나 하면 이 두 약을 first choice 로 고민하면 된다.

 

 

[combination]

-anti-depressant 중 끝판왕 조합이 venlafaxine+mirtazapine 이다.

-항우울제도 조합을 해서 쓰는데 SSRI+SNRI 로 쓰거나 SNRI + NaSSA

-요즘은 SSRIaripiprazole 도 섞어서 쓰곤 한다.

(SSRI aripiprazole를 섞는 대신 다른 약을 섞는다면? receptor로 고려해 볼 때..)

-> risperidone D2에 특화된 약이고, quetiapine SSRI와 섞어 쓸 수 있다.

-> 우울증도 heterogenous group 이다. 우울 기분을 호소하는 그룹이 있는 반면 여기저기가 아프다는 신체 증상 호소 그룹도 있고 식욕 저하나 불면 등 vegetative Sx을 호소하기도 하고, volitional disturbance 호소 환자도 있다. 가장 마지막의 volitional disturbance 환자들에게 물어 보면 기분은 그럭저럭 괜찮은데 기운이 없다고 말하는데 상당히 치료가 어렵다.

-> volitional disturbance 호소하는 환자들은 dopamine을 건드려 주는 게 좋다.

-> aripiprazoleadding 하던지 bupropionadding 해 주는 게 좋다.

-> dopamine을 건드려 주면 volition 이 확 좋아지기도 함

 

depressed mood가 확고하고, 자살에 대한 생각이 있고 하면 생각할 것 없이 escitalopram을 주면 되고, somatic Sx, 화병, 70대 할머니 등 전형적인 분들은 venlafaxine 이나 mirtazapine부터 주면 되고, 기력 없어 하면 SSRI+ aripiprazole 로 가거나 bupropion(웰부트린)을 넣어 주면 된다.

 

[bupropion 의 적응증]

금연 치료에도 쓸 수 있다.

-> 무엇보다 금연 치료에는 챔픽스(바레니클린)이 더 짱이다.

-> bupropion 은 담배 끊는데 별로 재미를 본 적이 없다고 함

-> 바레니클린은 효과가 상당하다고 함.

 

 

 

※ 모든 이미지는 구글에서 가져왔습니다.

 

 

728x90
반응형
LIST

WRITTEN BY
케노시스
다양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
728x90
반응형
SMALL

 

 

 

1. 음성 증상은 무엇입니까?

 

 

 

​-음성 증상이란 용어는 상당히 장애를 주며 이해하기 어려운 다양한 문제점을 설명하는데 쓰이고 있습니다. 음성 증상은 환청, 망상과 같은 양성 증상에 반대말이기도 합니다만 양성 증상도 음성증상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그래서 음성 증상은 양쪽의 원인이 다 섞여 있고, 질환의 결과 자체와 약물 부작용, 우울증도 영향을 줍니다. 간단히 이해하기 위해 몇 가지 중요한 핵심용어를 살펴보겠습니다. 

 

 

[1] 감정의 둔화: 감정을 소통하는 것을 어려워하거나 자신의 느낌을 얼굴 표정을 통해 표현하기 어려운 것을 말합니다. 생물학적인 원인이 있지만 환경적인 요인도 관여합니다. 사람이 어떤 일로 큰 충격을 받았을 때, 이것은 과거 외상적 사건과 관련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애도반응은 현재에 그 사람이 처해진 상황에서는 적절한 행동일 수 있습니다. 가족에게 보이는 감정표현도 줄어들 수있겠죠. 욕설을 하거나 불쾌한 내용의 환청에 직접적인 반응으로서 '얼어 붙는 반응'을 하는 것은 사실 과도한 외부 지각에 대처하려는 시도로도 볼 수 있습니다. 우울증은 그 자체로 감정이 둔화퇸 특징을 갖고 있습니다. 약물도 이런 상태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항정신병 약물의 부작용, 즉 얼굴이나 신체의 움직임에서 근긴장이나 운동 저하가 올 수 있습니다.

 

​[2] 무논리증: ​생각이 없어지는 것으로 생각되며 사실 대화하는 것이 무척 어려워지는 상태입니다. 실제적인 비난을 받거나 비난을 받을 것을 예상해서, 입을 닫아 버리는 반응으로 일견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불안이나 외부 압력을 느끼고 대화를 차단하고, 대화의 흐름을 끊고, 심지어 사고의 중단(thought blocking)으로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3] 무의욕증: ​의욕이나 동기의 결여는 음성 증상 중에서 가장 심한 증상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확실히 가장 무력하게 만드는 증상 중 하나입니다. 환자는 느릿하고, 게을러 보이고 뭔가를 하려고 하지 않아 '옴짝달싹 안한다'는 표현이 맞을 것 같습니다. 어떤 노력도 하지 않으려고 하는 것이 문제점으로 보이는 경우도 많지만, 항상 그런 건 아닙니다. 다양한 재능이나 성취를 이뤄낸 사람들도 무의욕증을 보일 수 있습니다. 할 수 있는 수행 능력의 급격한 저하가 흔하며 기대하는 결과도 달성하기 어려워 이런 일을 앞두고 불안과 압박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뭔가를 더 잘해보려고 할수록, 성공적으로 해내는 것이 더 적어져서 악순환에 빠지면 더욱 좌절감과 황폐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그들 주위를 둘러싼 다른 이들이 더 잘해 보라고 조언을 주는 것도 당사자들 입장에서는 일종의 '압박'으로 느낄 수 있습니다. 우리 사회도 결혼해라, 취업해라 등의 사회적 압력을 끊임 없이 부과합니다. 많은 사람들에게 이것은 어려운 일이 아니지만, 병을 앓는 어떤 이들에게는 끔찍한 악몽일 수 있습니다.

 

​[4] 무쾌감증: ​우울증과 혼동될 수 있지만 본질적으로 공허하고, 기본적으로 감정증상이라기보다는 음성 증상이라고 생각됩니다. 황폐화, 절망감, 스트레스로 인한 멍해지는 상태와도 관련이 있습니다.

 

​[5] 주의력 결핍: ​정신건강 문제가 생길 때, 집중이 안되고 주의력이 떨어지는 것에는 상당한 근거가 있습니다. 환자들은 일반인들보다 심리검사에서 낮은 점수가 나옵니다. 환청이 너무 생생하고, 침습적이라면 환각으로 인해서 주의분산과 증상에 몰입하는 일이 흔합니다. 또한 다른 생각, 망상적이거나 강박적인 주제에 집착하지만, 단순히 걱정만 하고 있거나 자기 자신에게만 몰두하는 경우도 흔합니다. 당신이 만약 경찰이 당신을 추적하거나 세상의 종말이 온 것 같이 생각한다면, 당신은 지금의 치료나 평가나 심리검사에 집중하기보다 이런 생각에 빠져들게 됩니다. 과도한 자극도 주의력 결핍에 영향을 줍니다. 사람이 좀 더 집중하면 할수록 이런 생각 자체에 대한 생각도 ('제기랄, 나는 쓸모없는 존재야!') 많아지게 되면서 주의력이 흐트러집니다.

 

​[6] 사회적 위축: ​이것은 과도한 자극에 대한 적절한 대응기전으로 생각되며, 재활의 측면에서 중요한 주제로 부각되고 있습니다. 사회적으로 과도한 자극은 특별히 불쾌한 스트레스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2. 어떻게 도울 수 있을까요?

-영국이나 캐나다의 연구에서 인지치료가 양성 증상과 음성 증상을 줄여준다는 충분한 근거들이 발표되었습니다. 일반적인 치료와 함께 인지치료가 뭔가를 해 주는 측면도 있지만, 사람들이 약물이 왜 필요한지를 이해시키며, 약물복용을 좀 더 잘 할 수 있도록 준비시키는 면도 있다고 보여집니다. 약물은 환청과 사고장애가 현저한 망상과 같은 양성 증상을 감소시키는 데 분명한 도움을 주며, 최근에는 우울증, 동기부여에도 좋은 영향이 있음이 밝혀졌습니다. 클로자핀(clozapine)은 이런 경우에 음성 증상에 직접적으로 작용하는 가장 강력한 약물입니다.

 


 

-[조현병과 망상장애의 인지 치료] 에서 -

 

 

 

모든 이미지는 구글에서 가져왔습니다.

 

728x90
반응형
LIST

WRITTEN BY
케노시스
다양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