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프로이트 이론과 함께 공부하면 도움이 될 대상관계 이론...멜라니 클라인의 이론이죠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멜라니 클라인(Melanie Klein, 1882~1960)은 우울증에 시달렸는데, 이를 계기로 프로이트 학파의 정신분석 이론을 받아들였고, 그것을 극복한 후에는 아동 정신분석에 힘쓴 여성 정신분석학자이다.

 

 

프로이트의 딸 안나와의 불화 때문에 결국 프로이트 학파를 떠났고 독자적인 학파를 만들었다.

 

클라인은 프로이트의 '죽음의 본능' 개념에 영감을 얻어 유아가 가진 파괴적인 공격성에 주목했다.

 

유아는 젖이 잘 나오는 '좋은 가슴'에는 만족스럽게 반응하지만 젖이 잘 나오지 않는 '나쁜 가슴'에는 울면서 격렬하게 항의할 뿐만 아니라 분노에 사로잡혀 공격적인 태도를 취한다.

 

이때 유아는 어머니의 일부인 가슴이 자신의 욕구를 충족하는지 그렇지 않은지에만 관심이 있을 뿐, 어머니가 늘 자신에게 안락함과 영양을 제공해준다는 것에는 신경 쓰지 않는다.

 

클라인은 이런 단계를 '부분 대상관계(자신과 타인 간의 정서적 유대)'라고 불렀다.

 

그에 반해 어머니를 좋은 측면과 안 좋은 측면을 모두 갖춘 존재로 인식하는 단계를 '전체 대상관계'라고 부르며 구분했다.

 

멜라니 클라인

 

전체 대상관계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어머니가 충분한 보살핌과 애정을 듬뿍 쏟아붓는 게 중요하다고 클라인은 말한다.

 

단 엄격함도 어느 정도는 필요하다고 덧붙인다.

 

그래야 아이는 세상일이 자기 생각처럼 되지 않는다는 것도 알 수 있고, 때로는 어머니한테 혼남으로써 자기 잘못을 돌이켜보는 법도 배울 수 있다. 전체 대상관계가 부분 대상관계보다 더 발달한 점은 크게 세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1] 상대방을 자신의 일부처럼 여기는 관계에서 자신과 타인을 구별하는 관계로 발달한다는 점이다.

 

[2] 자신의 의도대로 일이 진척되지 않을 때, 남에게 책임을 돌리고 분노나 공격으로 반응하는 외벌적 반응이 아니라 자신에게도 잘못이 있을지 모른다고 돌아보는 자벌적 반응이 발달한다는 점이다. 이것은 자성력(스스로를 돌아보는 능력)의 발달에 비례한다.

[3] 상대방의 입장에서 생각할 줄 안다는 점이다. 여기서 공감 능력이 생기기 시작한다.

 

이 세 가지 변화는 한꺼번에 일어난다.

 

자신을 돌아보는 내성력이 높아지면 공격성을 조절하는 능력도 발달한다. 그리고 공감 능력이 생겨서 상대방의 마음을 헤아릴 수 있게 되면 공격성에 제동을 건다.

 

공격성은 자성력과 공감이라는 이중의 브레이크 구조로 이루어진 것이다.

 

거꾸로 말하면 부분 대상관계에만 머물러 있는 사람은 자신과 타인의 경계에 대한 개념이 없고, 상대방이 자기 생각대로 움직이기를 바라며, 그 기대에 어긋나면 격렬하게 분노를 느끼고 만다. 

 

잘되지 않는 건 전부 상대방 탓으로 돌릴 뿐, 자신을 돌아보지도 상대방의 기분을 생각하지도 않기 때문에 공격성을 조절하지 못한다.

 

자신의 잘못을 받아들이는 데 불쾌감을 느껴 오히려 고압적이 된다. 그리고 상대방을 공격해 우위에 서는 것으로 자신을 보호하려 한다.

 

이런 방어 메커니즘을 '조적 방어'(manic defense)라고 부른다. 

 

잘못한 사람이 도리어 화를 내는 것은 조적 방어의 결과다.

 

클라인의 대상관계 이론은 생각처럼 되지 않는 사람을 이물질 (혹은 악)이라고 규정하고 공격하려는 메커니즘을 이해하는 데 선구적인 역할을 했다.

 

-[나는 왜 저 인간이 싫을까?], 오카다 다카시 저-

 

 

728x90
반응형
LIST

WRITTEN BY
케노시스
다양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
728x90
반응형
SMALL

마가렛 말러의 분리-개별화 시기와 멜라닌 클라인의 투사, 투사적 동일시 개념 등을 활용해서 학교 폭력 사태를 간단하게 고찰해 봅시다.

 

 

 

[학교 폭력과 투사’,‘투사적 동일시’, '분리-개별화']

-청소년기는 제2의 분리-개별화 시기로서 자신만의 심리적 형태를 멋지게 만들고 싶은 시기이다.

 

 정체성이 형성되는 시기이고, 자신의 내면에 있는 나쁜 부분들은 없애고 싶어진다.

 

그러다 보니 자신의 나쁜 부분을 학교 내의 가장 약한 사람에게 투사(Projection)하게 된다.

(일종의 발달적 투사 작용함)

Ex) 부산 여고생 폭행 사건

비유를 하자면 아직 분리-개별화가 확고하게 되지 않았기 때문에 자기 내면의 더러운 을 해치워 버리고 싶은데 자꾸 자신의 엉덩이에 이 묻어 있는 것처럼 찝찝한 것이다.

 

 즉, 자신이 괴롭히는 약자와 자신간의 연결성이 계속 유지되어 있다고 느끼는 것이다.

 

자신의 더러운 부분을 태워서 없애 버리고 싶은데 태워도 태워도 계속 남아 있는 것 같은 찝찝함을 느끼다고 표현할 수도 있다. 

 

가해자는 자신을 열등하다고 인식하다 보니 혼자서 그 더러운 것을 제거할 자신이 없을 것이고, 여럿이서 무리를 지어서 더러운 똥을 태워 버리면 마음이 더 편해지는 것이다.

 

(자신의 부정적인 내면 요소를 약한 타인에게 '투사'하여 타인이 '문제가 있는 사람'인 것처럼 만들어 버림)

 

그러나 너무 과도하게 태우다 보면 자신의 더러운 부분이 사라지고 멋진 부분만 남는 게 아니라 다 타서 없어져 버린다.

 

즉, 가해자도 자신의 인간성을 상실하고 더욱 인간 이하의 상태로 추락해 버리는 것이다. 이런 청소년들에게는 break를 걸어 주고, 누군가가  도움 및 제제를 가해 줘야 한다.

 

 

 

728x90
반응형
LIST

WRITTEN BY
케노시스
다양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
728x90
반응형
SMALL

 

 

 

[학교 폭력과 투사’,‘투사적 동일시’]

 

  -청소년기는 제2의 분리-개별화 시기로서 자신만의 심리적 형태를 멋지게 만들고 싶은 시기이다. 정체성이 형성되는 시기이고, 자신의 내면에 있는 나쁜 부분들은 없애고 싶어진다. 그러다 보니 자신의 나쁜 부분을 학교 내의 가장 약한 사람에게 투사하게 된다. (일종의 발달적 투사 작용함)

 

 

Ex) 부산 여고생 폭행 사건

 

  비유를 하자면 아직 분리-개별화가 확고하게 되지 않았기 때문에 자기 내면의 더러운 을 해치워 버리고 싶은데 자꾸 자신의 엉덩이에 이 묻어 있는 것처럼 찝찝한 것이다. 즉, 자신이 괴롭히는 약자와 자신간의 연결성이 계속 유지되어 있다고 느끼는 것이다. 자신의 더러운 부분을 태워서 없애 버리고 싶은데 태워도 태워도 계속 남아 있는 것 같은 찝찝함을 느끼다고 표현할 수도 있다.  가해자는 자신을 열등하다고 인식하다 보니 혼자서 그 더러운 것을 제거할 자신이 없을 것이고, 여럿이서 무리를 지어서 더러운 똥을 태워 버리면 마음이 더 편해지는 것이다. 그러나 너무 과도하게 태우다 보면 자신의 더러운 부분이 사라지고 멋진 부분만 남는 게 아니라 다 타서 없어져 버린다. 즉, 가해자도 자신의 인간성을 상실하고 더욱 인간 이하의 상태로 추락해 버리는 것이다. 이런 청소년들에게는 break를 걸어 주고, 누군가가  도움 및 제제를 가해 줘야 한다.

 

 

 

※ 모든 이미지는 구글에서 가져왔습니다.

 

 

728x90
반응형
LIST

WRITTEN BY
케노시스
다양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
728x90
반응형
SMALL

 

 

 

[사례]

a. 아이가 불편감이나 괴로움을 느껴서 운다. 아이는 상대나 주위 여건을 고려하지 않고 무조건 울어 버린다. 그래서 아이의 울음은 그냥 괴로움을 호소하는 울음이 아니라 마치 피해를 받아서 우는 것 같은 울음이다. '나에게 필요한 것을 해 주지 않는다.' 혹은 '제대로 날 보살피지 않아서 결과적으로 날 괴롭힌다.' 는 식의 울음이다. (투사) 

 

b. 아마도 유아는 자신의 불편감이나 괴로움을 엄마나 아빠도 똑같이 느끼기를 원할 것이다. 그래서 더욱 절실하게 괴로움을 전하기 위해서 아이는 사정없이 운다. (연결감 유지)


 

c. 아이가 그치지 않고 계속 울면 엄마도 짜증이 나고 괴로워진다. 마치 제대로 보살피지 못하는 엄마에게 화를 내는 것처럼 들린다. 다시 말해서, 아이가 자신을 공격하는 것처럼 느껴지기 시작한다. 엄마는 곧 아이가 느끼는 감정과 똑같은 감정을 느끼게 된다. (조종)

 


 

d. 아이의 울음 때문에 불편해지고 화가 난 엄마는 "얘가 왜 이렇게 울어, 조그만 게 성질은 못돼가지고. 그만 그치지 않을 거야!" 하며 아이의 엉덩이를 한 대 때린다. (투사적 역-동일시)

 


 

e. 전혀 공감적이지 않고 실제 아이를 공격하는 엄마의 반응은 아이를 더욱 괴롭게 만들어 더욱 자지러지게 울게 만든다. (재내면화)

 


 

-> 우리가 흔히 취하는 행동 양상입니다. 이를 좀 더 건설적인 방식으로 변경해 봅시다.

 


 

  어머니가 이 상황(투사적 동일시의 의미가 담긴 아이의 울음)을 효과적으로 다루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담아내기 과정이 필요하다. a와 b의 투사하고 조종하려는 과정은 어쩔 수 없는 부분이나, 그 조종(control)에 어떻게 반응하느냐에 따라 효율적일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c') "아이고, 우리 똥강아지 화났어!" 하며 엄마는 아이가 투사한 '안 좋은 감정'을 그대로 받아준다. 다만 그것을 '나에게 화내는 것'으로 받아들이지 않고, 뭔가 괴로움은 있으나 아직 제대로 표현 못하는 아이의 어쩔 수 없는 방식으로 받아들인다. (담아내기 시작)

 


 

(d') 부모도 아이의 반응이 아주 기분 좋은 것은 아니나 (아이가 투사한 부정적인 감정을 받아들임), 아이처럼 부정적이고 조절되지 않는 식으로, 즉 격렬하게 표현하지 않는다. 오히려 '따뜻할게 안아주고' '말로 얼러준다.'

 


 

(e') 아이는 자신의 괴로움과 격렬한 공격성을 투사했는데 부모로부터 돌아오는 것은 자신이 동화하고 흡수할 수 있는 감정이다. 그래서 얼러 주는 것을 받아들일 수 있게 된다. (동화와 내재화)


 

 

-대상관계이론을 중심으로 쉽게 쓴 정신분석이론- 에서

 

 

※ 모든 이미지는 구글에서 가져왔습니다.

728x90
반응형
LIST

WRITTEN BY
케노시스
다양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