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자녀 양육에 있어서 어머니가 제공해 주는 'holding environment' 개념이나, 놀이(playing)의

중요성을 강조한 부분, 대상으로서의 어머니와 환경으로서의 어머니를 구분하여 아이를 키울 것을 권고하는 도널드 위니콧은 소아과 의사이자 정신분석학자로서 섬세한 아이의 양육을 강조한다. 아이를

키우고 있는 양육자들이라면 꼭 참고해 볼만한 이론이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Winnicott의 주요 이론

) --> 

 

초기 어머니-유아 관계

) --> 

유아-어머니 관계성의 모체(matrix of infant-mother relationship)

: 모성과 떨어져 따로 존재하는 아기는 없으며 유아는 유아-

어머니 관계성의 모체로부터 출현

-최초 유아의 상태: 타고난 잠재력(성장과 발달의 경향성)을 가지고 있으나 아직 자아가

통합되지 않은 상태.

-모성 경험을 통해 유아의 초기 자기가 진정한 자기로 표현되고 성장할 수 있게 됨.

) --> 

어머니가 유아의 절대적 의존에 잘 맞춰줘야 유아의 잠재력이 아기 자신의 것으로 성장 가능.

-Ex) 임신 말기부터 출산 후 몇 주 동안 헌신적으로 아기에게 몰두하고 아기를 한 몸처럼 돌보는 것 -> 초기 유아의 성숙을 도움

: 일차 모성 몰입(Primary maternal preoccupation) 상태

) --> 

[특징]

-어머니는 유아와 매우 극단적으로 동일시를 함.

-타자인 아기의 경험을 자신의 것처럼 느끼는 상태

-아기와 하나(One-ness)가 되는 것, 서로 다른 둘(Two-ness)인 순간이 공존

) --> 

) --> 

유아의 성장

어머니가 자신에게 몰입해 줌으로써 유아는 어머니와 한 몸(융합)을 이루는 경험을 하게 됨.

: 존재의 연속성(Continuity of being)을 느끼게 됨.

정의: 초기 유아의 내면에서 자발적으로 떠오르는 욕구들이 헌신적으로 몰입하는 어머니에 의해 충족됨으로써 갖게 되는 유아의 주관적 느낌.

-> ‘창조적인 삶놀이를 가능하게 하는 능력의 씨앗 역할

타고난 잠재력 -> 존재의 연속성을 경험 -> 최초의 자기(중심적 자기, 참자기)를 형성

) --> 

안아주기 환경

-최초로 제공되는 적절한 모성적 돌봄: 일차 모성 몰입

-이후에도 촉진적 환경이 지속적으로 제공되어야 함.

) --> 

[적절한 부모의 돌봄 3단계]

[1] 안아주기(holding)

[2] 함께 지내기(living with)

[3] 아버지,어머니,유아 셋이 함께 살기

) --> 

[1] 안아주기(holding) 살펴보기

-유아에게 필요한 전체적인 환경을 제공해 주는 것.

-유아가 필요로 하는 두 상태

<1> 대상으로서 어머니 <2> 환경으로서 어머니

 

) --> 

) --> 

<1> 대상으로서 어머니(Object mother)

-유아는 융합의 상태에서 자신(me)과 자신이 아닌 것(not-me)을 아직 충분히 인식하지 못함. (Ex) 어머니의 얼굴을 보면서 자신의 얼굴이라고 믿는다.)

-만족스러운 융합의 상태를 경험하며 어머니-유아 모체로부터 자기가 출현 : I 단계 -> (3~6개월 사이) I am 단계

I단계: 유아가 하나의 단위(self)를 이룬 상태

I am 단계: 자기로 형성된 상태 +자기로 존재하며 살아가는 상태

: 적절한 모성 돌봄이 지속될 시 -> I am alone 단계로 진입 가능

) --> 

어머니는 유아의 몸짓과 욕구에 대해 전적으로 동일시해 줌으로써 대상이 되어 주어야 한다. : 어머니와 융합된 상태에서 거울 반응이 요구됨

) --> 

<2> 환경으로서 어머니(Environmental mother)

-유아는 미분화된 채 자극 없이 홀로 있을 수 있는 고요한 상태가 요구됨. (어머니가 있는 가운데 홀로 있음의 상태)

-요구하지 않고 유아와 함께하는 것(non demanding presence)

-하나의 환경으로만 있어 주는 어머니

) --> 

I am alone 상태= 자아 관계성(ego-relatedness)을 느끼는 상태

: 믿을 만한 어머니와 함께하며 유아가 혼자만의 편안함을 느끼

는 상태

) --> 

유아에게는 흥분된 시기(Excited phase) 고요한 시기(Quite phase)가 존재

-흥분된 시기: 어머니는 유아의 몸짓과 욕구의 대상이 되어주기

-고요한 시기: 어머니는 유아를 침범하거나 요구하지 않는 하나의 환경으로 있어주기

) --> 

 

참자기(True-Self)

) --> 

-유아는 내면의 자연스러운 욕구들이 충족되는 경험을 통해 자기가 원하는 것은 모두 다 이루어진다는 주관적 전능감을 갖게 됨.

-환상의 순간(Moment of illusion): 대상을 원하면 바로 원하는 그대로 대상이 창조된다고 믿는 상태

-> 이를 경험하기 위해 유아는 존재의 핵심(kernel)에 머무를 수 있어야 함.

반대되는 개념: 존재의 껍질(Shell)에 머무는 것-> 어머니의 자기애적 욕구에 따라 자기를 느끼는 것

) --> 

참 좋은 어머니: 유아의 전능성에 반응해 주고 그것을 의미 있게 해 줌. -> 유아는 마술적으로 자신을 만족시키는 외적 실체가 있다고 믿음 -> 믿음을 토대로 유아는 자신의 주관적 전능감을 포기하게 됨.

결과: ‘참자기의 자발성이 외부 세계 사건들과 결합 -> 유아는 전능한 창조와 통제의 환상을 즐길 수 있게 됨

(참자기만이 창조적이고 삶을 생생하게 느끼게 해 줌)

) --> 

거짓자기

) --> 

-자기의 핵을 위협하는 침범이 있을 시: 중심적 자기를 숨기기 위해 (보호하기 위해) 거짓 자기를 조직화 함.

Ex) 좋지 않은 어머니: 유아의 전능성의 몸짓에 반응해 주지 않음 -> 어머니가 자신의 몸짓으로 유아의 몸짓을 대체 -> 유아는 어머니의 몸짓을 자신의 것인 양 받아들임. [거짓 자기의 초기 단계]

) --> 

종류

[1] 극단적인 거짓자기

-거짓자기가 완전히 실제 모습을 대체한 상태

-참자기가 깊숙히 숨겨진 상태

-유아는 자발성을 상실하고 모방과 순응의 삶을 살아감.

) --> 

[2] 방어로서 거짓자기

-거짓자기가 참자기를 완전히 대체하는 것이 아니라 방어하는 상태

-겉으로는 거짓자기의 삶을 살지만 참자기도 잠재적 가능성으로 인정

) --> 

[3] 동일시로서의 거짓자기

-거짓자기가 보다 건강한 경우로 아동기 환경에서 중요했던 인물과의 동일시를 통해 형성된 거짓자기의 삶을 살아감.

) --> 

[2] 건강한 거짓자기

-거짓자기가 감정을 모두 드러내지 않고 공손하고 예의 바른 사회적 태도를 나타냄.

Ex) 거짓자기가 승화되어 연기자로 살아가는 경우

) --> 

이행기 대상(Transitional object)

) --> 

Ex) 담요, 겉이불, 장난감

-구강 성애적 만족과 참된 대상관계 사이의 중간 경험을 얻게 해 주는 대상을 의미.

-Modell, Ogden: 이행기 대상이 갖는 일차적인 심리적 의미-> 내부 세계에 의해 생성된 것과 외부 세계에 존재하는 것 사이에 위치하는 것.

-이행기 대상: 자신의 내면세계를 반영함. , 자기 내면세계를 투사하여 생성한 것.

-이행기 대상을 생성하는 기제: 함입과 투사

) --> 

-유아의 전능감의 손상에서 오는 좌절을 처리해 줌.

Ex) 유아가 젖떼기를 하는 과정에서 느끼는 좌절과 불안을 처리해 주는 역할

4~6개월 부터 8~12개월: 이행기 현상이 시작됨.

) --> 

-의의

: 아이가 이행기 대상을 갖고 놀며 자신이 중요한 인물을 아직도 조절할 수 있다고 느끼는 것. -> 대상 자체가 아닌 대상과 관계하는 내용이 중요하며 환영의 과도기적 세계가 창조적인 환상, 문화, 예술의 기원이 된다고 봄.

) --> 

 

유아가 이행기 대상과 맺는 관계의 특징

[1] 유아는 이행기 대상에 대해 마음대로 할 수 있는 권리가 당연히 있다고 여김

[2] 이행기 대상은 따뜻한 사랑을 받을 수도 있지만 잔인하게 손상될 수도 있음.

[3] 이행기 대상은 유아가 바꾸지 않는 한 절대 바뀌어서는 안 됨.

[4] 이행기 대상은 본능적인 사랑과 미움 그리고 공격까지도 견뎌내야 함

[5] 이행기 대상은 유아에게 따스함을 주고 움직임과 질감을 느끼게 해 주어야 함.

[6] 이행기 대상은 우리의 관점에서 비롯되는 것도 아니고 유아의 관점에서 오는 것도 아님. 그렇다고 내면으로부터 오는 것도 아니며 환각도 아님.

[7] 이행기 대상은 서서히 탈리비도 부착이 이루어짐. 건강한 경우, 이행기 대상은 내면으로 사라지는것이 아님. 그렇다고 이행기 대상과 관련된 감정이 억압되는 것도 아님. 그것은 잊히는 것이 아니므로 애도 반응도 없음. 이행기 대상은 단지 그 의미를 상실할 뿐임.

) --> 

-LaMothe: 이행기 대상을 1,2차로 구분함.

1차 이행기 대상: 자기 자신에 대해 생각하고 반성할 수 있는 능력이 형성되기 전 시기에 나타나는 것

2차 이행기 대상: 상징화가 가능하여 언어를 사용할 수 있게 되고 자기 자신에 대해 반성할 수 있는 시기에 나타나는 것

) --> 

1차 이행기 대상(Primary transitional object)

-자신이 바라는 것과 엄마가 바라는 것이 하나라고 여기며 전능함으로 충만한 시기(공생단계)를 지나 엄마를 자신과 분리된 독립적 대상으로 지각하게 되고 자기 마음대로 할 수 있는 대상이 아니라는 것을 인식하는 시기에 출현

전능감이 깨지면서 자신의 한계를 경험하며 느끼는 유아의 불안을 진정시키기 위해 도와주는 기능을 함.

엄마와 느꼈던 생생한 전능감이 1차 이행기 대상에 전달

유아가 자신의 감정을 다스리기 위해 사용한 첫 번째 내가 아닌 대상(not-me object)

) --> 

-이를 활용하여 대상에 대해 자신의 조절감과 전능감의 영역을 지니게 됨

-이를 껴안거나 쓰다듬으면서 새로운 환상 세계와 대상을 창조할 수도 있고, 이행기 대상을 쥐어뜯거나 집어 던지면서 대상을 파괴할 수도 있게 됨.

-유아가 내면에서 갖게 되는 실질적 느낌과 자신의 외부 현실을 완전히 구분하지 못하고 겹쳐서 경험하는 것

-좋은 부모의 역할: 이행기 대상을 갖고 노는 아이에게 반영(Mirroring)을 잘 해 주기 -> 자신감과 신뢰 경험

) --> 

2차 이행기 대상(Secondary transitional object)

-언어를 사용하게 되고 자신에 대해 반성할 수 있는 능력이 생기면서 출현

-보다 복잡한 상징적인 대상이나 행동들을 배우게 됨.

-일상적인 언어나 상징적인 놀이에서 사용하는 대상이나 관계들의 기본적인 틀을 제공받음.

-2차 이행기 대상과 상징적인 놀이를 통해 상징적인 대상들을 다룰 수 있는 조절감을 경험.

) --> 

놀이(Playing)의 특징

[1]그 자체에 몰입하는 것,

[2]놀이가 일어나는 영역은 이행기 영역이다.

[3]아동은 놀이를 할 때 자신의 공상이나 꿈을 위해 외부의 상황을 이용하며, 선택된 외부 상황에 공상의 의미와 감정을 부여

[4]이행기 대상이 놀이로 직접 발달-> 놀이로부터 함께 나누는 놀이로 발전-> 문화적 경험을 향해 발달

[5]신뢰감을 의미, 타인에게 거의 절대적으로 의존하는 아기와 아기의 요구에 적절하게 반응하는 엄마 사이에 존재하는 잠재적인 영역

[6]신체를 포함함 (일부는 일정한 신체적 흥분과 연관)

[7]필수적으로 만족스러워야 함

[8]본질적으로 신나며 예측 불가능함.

) --> 

2차 이행기 대상

내가 아닌 대상(not-I object)과 자기로서 나(I-ness)를 동시에 인식

내가 아닌 대상을 인식: 아이에게 불안을 야기 -> 2차 이행기 대상은 아이를 진정시키고 평안을 주고 (I)’ 인식을 느끼게 해 줌.

아이와 부모가 신뢰하고 지지받는 상호 인정의 관계를 경험하는 것

) --> 

좋은 부모의 역할: 아이의 놀이를 방해하지 말고, 아이에게 이행기 대상이 필요하다는 것과 놀고 싶어함을 지속적으로 인정해 줘 아이가 신뢰, 안정을 가지고 살아 있음의 경험을 자신이 아닌 대상에까지 상징적으로 연결할 수 있게 해 주기

-> 궁극적으로는 삶의 생기라는 주관적인 느낌이나 현실감을 다른 사람들과 상호 공유할 수 있는 수준까지 나아가게 해주기

-> 우정과 사랑 등의 상호관계를 가능케 함

-2차 이행기 대상에 대한 아이의 필요성을 적절하게 인정해 주지 않을 때, 상징들이나 언어를 사용하는 아이의 능력이 저하됨.

) --> 

공격성(Aggression)

-특정한 본능적 욕동이 아닌 일반적인 생명력과 활동성의 표현

-최초의 공격성: 일차 공격성(Primary aggression)

: ‘생명의 힘’ or ‘세포의 활력

: 식욕과 본능적 사랑인 구강 사랑의 일부분

: 탐욕스럽게 어머니 젖을 빨아먹는 모습

-> 유아가 의도를 가지고 공격하는 것이 아니라 우연일 뿐임

) --> 

살펴 봐야 할 네 가지 측면

[1] 성애적 요소와 융합을 이루는 가 여부

[2] 어떤 외부 대항에 직면하는가 여부

[3] 그런 과정에서 실제 외부에 존재한다고 느낄 수 있는 외적 대상이 제공되는가 여부

[4] 쾌감이 아니라 대상을 필요로 함

) --> 

[1] 성애적 요소와 융합을 이루는 가 여부

-성애적(erotic) 요소와 공격적(aggressive) 요소의 융합을 당연한 것이 아닌 축하해야 할 성취로 봄.

-> 초기 성장과정에서 성취하지 못한 융합은 분석가와의 전이관계에서 성취되어야 함.

성애적 관계: 아기가 감각적으로 공존하는 상태, 즉 일차 모성 몰입과 연관

공격적 관계: 어머니와의 잔인한(ruthless) 관계

) --> 

-관심의 단계(stage of concern)

: Klein 의 우울자리와 유사

-> 어머니의 인격을 인식할 만큼 충분히 통합된 상태

-> 죄책감을 지닐 수 있는 능력을 갖게 됨.

(죄책감: 흥분된 관계에서 사랑하는 사람에게 손상을 입혔다는 감정)-> 관심의 느낌을 발달시키기 위해서는 아이의 마음에 대상으로서의 어머니’, ‘환경으로서의 어머니를 함께 떠올리는 능력이 요구됨.

) --> 

[2] 어떤 외부 대항에 직면하는가 여부

-일차 공격성은 외부 환경이 어떤 대항을 하는 가에 따라 삶의 힘에서 잠재적 공격성으로 바뀜

-지나친 대항: 공격성을 성애적 본능과 융합할 수 없게 만듦

(유아는 반응(respond)하지 못하고 반작용(react)을 할 뿐)

-침범에 대해 반작용하는 것: 자기 느낌과 존재의 연속성(continuity-of-being)이 방해받는 것을 의미

-> 공격성과 리비도의 융합이 실패, 자기의 침해를 초래

) --> 

충동에 대한 대항

Ex) 유아의 공격성에 대해 -> “아이고, 우리 똥강아지 화났어.” 하며 받아 줌 (공격성과 성애적 경험의 융합) -> ‘-아닌 것(not-me)’의 경험이 시작됨.

-> 어머니가 유아의 공격에 살아남을 때 유아는 자기의 (환상 속의) 파괴에도 불구하고 (실제 세계에서) 살아 남는 사람을 알게 됨 -> 자신의 전능한 통제 너머에 존재하는 현실을 감각하고 타인을 인식하게 됨.

) --> 

대상관계와 대상 사용

잔인한 사랑

-원시적인 잔인한 자아(Primitive ruthless self)

: 일차 공격성에 따라 행동하는 유아

-초기 유아의 본능적 사랑’ = ‘잔인하다’(Ruthless)

-초기 유아는 어머니가 잔인한 관계를 당연히 견딜 것이라고 느끼기 때문에 잔인하다.

-유아의 잔인성: 상대에 대한 파괴적 본능에서 오는 것이 아니라, 전능한 어머니에 대한 전적인 믿음에 근거함.

) --> 

어머니가 잔인한 유아에게 어떻게 반응하느냐가 타고난 공격성이 유아의 정서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영향을 줌.

Ex) 어머니가 유아의 잔인함을 함께 즐길 때, 공격성은 건강하게 인격 속으로 통합되고 잔인성은 예술가의 창조성과 긍정적으로 연결됨.

-잔인성: 건설적인 활동의 한 근원, 건설적 측면과 파괴적 측면이 함께 포함되는 개념

) --> 

대상관계(Object-relating): 자기(Me)와 자기 아닌 것(Not-me)를 구분하지 못하여 대상을 주관적으로 인식할 수 밖에 없는 유아 시기에 세상과 관계하는 방식

대상사용(Object-usage): 촉진적 환경에서 참 좋은 어머니에 의해 잘 성장한 유아가 세계를 객관적으로 인식하게 되는데 이 시기에 유아가 대상과 관계하는 방식

Ex) 1.유아는 자신과 어머니를 구분하지 못하는 상태일 때 어머니를 자신의 전능감 속에서 주관적으로 관계함(대상관계)

2. 유아가 어머니를 독립된 대상으로 객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때 -> (대상사용)이 가능해짐

) --> 

참 좋은 어머니(Good enough mother)

Freud 의 어머니 개념: 욕동을 만족시키는 대상으로 이차적인 중요성을 지닌 존재

Winnicott의 어머니 개념: 어머니의 양육 과정은 아이의 심리성장과 정서 발달에 절대적으로 중요

) --> 

[1] 유아의 자발적 욕구에 대해 거울 반응(mirroring)을 해 주고 또 유아가 홀로 있으며 자아 관계성을 느낄 수 있게 끔 해 줌

EX) 유아가 찾을 땐 곁에 있어 주고, 찾지 않을 땐 가만히 (관심 속에서) 내 버려둘 수 있는 어머니

[2] 유아의 이행기 대상 경험을 존중해 줌

[3] 유아의 공격성을 보복하지 않고 견뎌 냄으로(survival) 유아가 대상을 사용할 수 있게 도와줌.


-[대상관계 이론을 중심으로 쉽게 쓴 정신분석이론] 에서-

 

*모든 이미지는 구글에서 가져왔습니다*

728x90
반응형
LIST

WRITTEN BY
케노시스
다양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