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 중에 조현병 진단을 받은 구성원이 있는 경우 [조현병, 마음의 줄을 고르다] 라는 책을 많이 권하는 편입니다. 대한조현병학회에서 공식적으로 발행된 책이라서 정보의 정확성이 높고, 이해하기 쉽게 쓰여 있기 때문입니다. 조현병을 진단받은 당사자가 가장 고생이겠지만, 가족들이 겪는 마음 고생도 상당하리라 생각됩니다. 짧지만, 중요한 마음 가짐 한 가지를 그대로 인용해서 소개해 봅니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의외로 많은 가족들이 환자가 병에 걸린 이유가 부모가 잘못 키웠다거나 가족이 스트레스를 많이 주었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자신의 잘못 때문에 환자가 병에 걸렸다는 죄책감 또는 정신장애라는 수치심을 느껴서 이 사실을 부끄러워하고 감추려고만 합니다.
췌장에 문제가 생기면 당뇨병이 생기고 혈관 벽이 두꺼워지면 고혈압이 생깁니다.
마찬가지로 조현병은 뇌에 문제가 생긴 신체질병입니다.
정신장애라고 하여 비도덕적이고 양심에 문제가 발생한 것이 아니며 영혼이 더럽혀진 것은 더더욱 아닙니다.
또한 가족 중 어느 누구의 잘못으로 발생한 것도 아닙니다. 가족이 수치심과 죄책감을 지니고 있으면 환자와 가족 모두에게 나쁜 결과를 가져올 뿐입니다.
서로 비난하고 자신을 부끄럽게 여기는 가족을 바라보면서 환자는 절망하고 이 세상에 혼자라는 외로움에 힘들어 할 것입니다.
조현병의 원인은 어느 누구의 책임도 아니지만, 치료와 회복은 우리 모두의 책임입니다.
-[조현병, 마음의 줄을 고르다] 에서 -
'의학 > 조현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현병] 조현병 및 정신증(망상장애 포함)의 인지치료적 접근 (0) | 2018.12.14 |
---|---|
[조현병]{정신건강교육 자료집5} 의욕적으로 되어보기[음성증상][2] (0) | 2018.11.16 |
[조현병]{정신건강교육 자료집1} 무엇이 문제일까요? (0) | 2018.11.16 |
WRITTEN BY
- 케노시스
다양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나누는 공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