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괴로움 #인간 #부분이라는 #관점 #자살 #act'에 해당하는 글 2건

728x90
반응형
SMALL

 

인간에게 있어서 자기제거 행위는 다양한 목적에 의할 수 있지만 그 행위가 말로 주장하고 있는 목적은 대개는 감정, 기억, 생각에 대한 일상적인 어휘들로부터 나온다.

 

예를 들어 자살자의 노트를 조사해보면, 그 메시지들은 삶의 짐이 얼마나 막대한 가를 강조하고 있으며, 미래의 존재 상태(혹은 비존재 상태)가 그 짐들을 없애줄 것임을 암시하고 있다. (Joiner et al., 2002)

 

비록 자살노트에 다른 사람에 대한 사랑과 자살 행위에 대한 수치심이 빈번히 표현되어 있을지라도, 자살노트에는 견뎌내기에는 삶이 너무 고통스럽다는 점 또한 공통적으로 표현되어 있다. (Foster, 2003).

 

일반적으로 자살과 연결되어 있는 감정 그리고 자살과 연결되어 있는 보편적 생각 상태는 죄의식, 불안, 외로움, 슬픔이다. (Baumeister, 1990)

 

자살이라는 현상은 인간의 괴로움에 대한 순전히 증후군에만 기반한 관점의 한계와 결함을 보여준다.

 

 

자살은 증후군이 아니어서 뭐가 되었든 어떤 특정의 잘 정의된 증후군 명칭 아래로 자신을 스스로 죽이는 많은 사람들을 말끔하게 범주화시킬 수는 없다.

(Chiles & Strosahl, 2004).

 

가장 심하게 '건강하지 않은' 형태의 활동이 대부분의 인간 삶에는 어느 정도까지 있지만 다른 종에는 없다면 우리는 분명한 결론, 즉 인간에게만 있는 무언가 때문에 자살을 하게 된다는 결론에 도달하게 된다.

 

보다 정확히 하자면 너무도 쉽게 그 정도까지의 심리적 괴로움에 도달하게 만드는 과정, 바꿔 말하면 인간의 심리에만 특유하게 있는 그런 과정이 있어서 작용을 하고 있는 것이 틀림없다.

 

현대의 정신병리학을 뒷받침하고 있는 연구 책략이 이 과정을 반드시 탐지해 내지는 않게 될 것인데, 그 이유는 이 연구 책략이 인간 행동의 소소한 일상에 특별하게 초점을 두지는 않기 때문이다.

 

 

우리가 거의 모든 사람에게 하나나 그 이상의 진단적 꼬리표를 부여할지라도, 정신병리학 분야의 연구에서의 진전이 워낙 미미하기 때문에 인간의 괴로움이라고 하는 것이 얼마나 도처에 퍼져 있는가를 다루고 또 더 상세히 설명해야 하느라 우리가 많은 수고를 하지 않아도 된다.

 

모든 인간은 다 아파한다. 사실상 '비정상적인 것'이 정상이다.

 

(나름 철학적 전제가 들어가 있는 치료 기법입니다. 실존주의 치료와도 일부 겹치는 부분이 있어 보입니다.)

 

-[수용과 참여의 심리치료] 에서-

 

728x90
반응형
LIST

WRITTEN BY
케노시스
다양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
728x90
반응형
SMALL

 

괴로움이 인간 상태의 한 부분이라는 점을 가장 인상적으로 보여주는 예는 자살이다. 고의적 선택에 의한 죽음은 분명 인간이 살면서 상상할 수 있는 가장 바람직하지 못한 결과이다. 그럼에도 놀랄 만큼 많은 사람이 한두 번쯤은 심각하게 자살을 생각하며, 그들 중 충격적일 만큼 많은 수가 실제로 자살을 시도한다.

 

자살은 의식적이고 계획적이며 목적적으로 자신의 삶을 종결짓는 행위이다.

 

자살에 관해서는 두 가지 사실이 아주 분명하다.

 

[1] 자살은 인간 사회에서 어디에서나 발생한다.

[2] 자살은 인간이 아닌 다른 살아 있는 유기체에는 분명 없다.

 

자살에 관한 기존의 이론들은 이 두 사실 모두를 논리적으로 설명하느라 어려움을 겪고 있다.

 

지금도 그렇고 과거에도 그랬고, 자살은 모든 인간 사회에서 다 보고되는 것이다. 미국에서 100,000명당 대략 11.5명의 사람이 실제로 매해 자살을 한다. (Xu, Kochanek, Murphy, & Tejada-Vera, 2010)

 

2007년의 경우 자살 사망자가 거의 35,000명이었다. 자살은 사실 유아나 아주 어린아이들에게는 발생하지 않으나, 학령기 초기에는 나타나기 시작한다.

 

 

자살생각과 시도는 일반인들 사이에서는 꽤 흔하다. 물질남용 및 정신건강서비스국(Substance Abuse and Mental Health Services Administration)에 의해 위탁된 최근 연구는 8,300만 명에게서 심각한 자살 생각에 대한 연간 귀속 비율을 조사해냈는데, 청소년들의 연간 자살 시도가 약 1.2%에 달했다.

 

물질남용과 관련된 발생 비율보다 더 높은 수준이었다.(Substance Abuse and Mental Health Services Administration, 2009).

 

평생 발생률에 대한 연구는 모든 사람의 약 10%는 어느 땐가는 자살 시도를 할 것이며 다른 20%는 자살생각과 싸우다가 결국은 자살을 성공시킬 수 있는 계획과 방법을 생각해낼 것이라는 점을 보여준다.

 

또 다른 20%는 구체적인 계획은 없이 자살생각과 싸울 것이다. 그래서 전체 인구의 약 절반은 살아가는 동안 중간 정도에서 심각한 정도에 이르는 수준의 자살 위험성을 겪게 될 것이다. (Chiles & Strosahl, 2004).

 

자살 위험성을 '비정상'으로 본다면 이 수치는 설명이 잘 안 될 만큼 충격적으로 높은 수준이다.

 

우리 논의와 관련되어 있는 또 다른 사실은 자살은 인간이 아닌 존재들에게서는 전혀 발생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시간이 흐르면서 이러한 일반화에 대한 몇 가지 과장된 예외가 주목되기도 하였지만, 조사해보니 그러한 예들은 맞지 않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노르웨이 나그네쥐는 아마도 가장 고전적인 사례일 것이다. 나그네쥐는 개체수가 더 이상 유지 불가능한 어느 지점에 도달하면 집단 전체가 혼란스러운 양상으로 달리기를 시작하고 결국은 그 달리기로 인해 다수가 물에 빠짐으로써 죽음에 이른다.

 

자살은 단순한 죽음뿐만 아니라 그 행동의 의도된 결과로서의 개인적 죽음을 향해 마음을 움직이는 모든 심리적 활동까지도 다 포함한다.

 

나그네쥐가 물속에 빠지면 그 쥐는 기어나오려고 애를 쓰며, 기어나오는 데 성공하면 살아남는다. 그러나 다리에서 뛰어내리고 살아났다가 그후 곧바로 다시 뛰어내리는 사람에 대한 수많은 입증 사례가 있다.

 

-[수용과 참여의 심리치료] 에서 -

 

728x90
반응형
LIST

WRITTEN BY
케노시스
다양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