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버나드 '스티브' 브로디는 2차 세계대전 때 ​말라리아약을 만들어 생화학자로 명성을 높였다. 1950년대 소라진과 밀타운이 시판되기 시작했을 때 브로디는 메릴랜드 주 베서스다에 있는 미국 국립보건원 심장 센터 실험실을 맡아 운영하고 있었다.

 

그 뒤 10년에 걸쳐 이 실험실은 정신의학에 혁명을 가져온다.

 

 

 

그 획기적인 실험의 시작은 ​레세르핀 실험​이었다.

 

레세르핀은 ​라우월피아 세르펜티나(​뿌리가 뱀처럼 생겨서 붙은 이름이다)라는 식물에서 추출한 물질로 천 년도 넘는 옛날부터 인도에서 ​고혈압부터 불면증, 뱀독, 영아 산통까지 온갖 병에 만병통치약으로 쓰였다.

 

 

 

그런데 힌두 문헌에 보면 "광기" 치료에도 효과가 있었다고 나와 있다.

 

그 전까지는 서구에서 레세르핀에 별 관심을 두지 않았지만 소라진이 놀라운 효과를 발휘하는 걸 보고 스큅 사 경영진이 레세르핀에 주목하기 시작했다.

 

스큅 사는 네이선 클라인에게 자금을 대주었고 클라인은 이 물질을 로클랜드 주립병원에 있는 환자들에게 시험 삼아 투여했다. 여러 명이 현저하게 호전되었고 불안 때문에 생활에 '장애'를 겪던 환자 몇몇이 퇴원하여 일상으로 돌아갈 정도로 긴장이 크게 완화되었다.

대규모 연구가 시작되었다. 1955년 뉴욕 주 정신위생국장 폴 호크가 뉴욕 주지사 W. 애버렐 해리먼과 협의하여 주 안에 있는 정신병원의 환자 9만 4000명 전부에게 레세르핀을 투여하는 15억짜리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오늘날이라면 이런 연구는 FDA 규정에 따라 시행될 수가 없다)

 

결과는 이랬다.

 

​레세르핀은 일부 환자들에게 효과가 있었지만 소라진만큼은 아니었다. 게다가 심각하고 때로는 치명적인 부작용도 있었다. ​그래서 레세르핀은 임상에서 정신과 약으로는 부적절하다고 간주되었다.

그렇지만 스티브 브로디와 국립보건원 동료들은 레세르핀을 통해 생화학과 행동 사이에서 뚜렷한 관련성을 발견했다.

 

존 개덤이 LSD와 세로토닌의 관계를 통해 발견한 것에 힌트를 얻어 브로디는 토끼에 레세르핀을 투여해 세로토닌 수치에 어떤 변화가 있는지 살폈다. 브로디는 두 가지 흥미로운 사실을 발견했다.

토끼에게 레세르핀을 투여하면 뇌 안의 세로토닌이 감소하고, 그렇게 되면 토끼들이 마치 우울증이 있는 사람처럼 '무기력'하고 '무심'해지는 것으로 보였다.

 

심지어 토끼의 세로토닌 농도를 조절하여 '우울한' 행동을 일으키거나 없앨 수도 있었다. ​브로디는 1955년 <사이언스>에 이 발견을 보고했는데, ​특정 신경전달물질의 농도와 동물의 행동 변화를 연결 짓는 최초의 논문이었다.

한 의학사가는 브로디가 ​신경화학과 행동 사이에 다리를 놓았다고 표현했다.

브로디의 레세르핀 연구는 당시 정신의학자들이 MAOI에 관해 알게된 것과 연결된다. 좀 심하게 단순화해서 말하자면 1950년대 뇌과학자들은 '상류'의 뉴런이 신경전달물질을 시냅스(신경 세포 사이의 아주 작은 공간)로 방출하여 '하류'의 뉴런이 발화하게 한다는 사실을 막 알아낸 참이었다.

 

신경전달물질은 뉴런에서 뉴런으로 빠르게 이동하며 나중 뉴런의 세포막에 있는 수용체와 결합하여 신호를 전달한다.

 

신경전달물질이 시냅스후 뉴런의 수용체에 결합할 때마다 (세로토닌은 세로토닌 수용체에, 노르에피네프린은 노르에피네프린 수용체에 결합한다) 신호를 받는 뉴런의 형태가 바꾸니다.

 

세포막에 구멍이 생겨 뉴런 바깥의 원자가 안으로 쏟아져 들어오게 하여 뉴런의 전압을 바꾼다. 그러면 나중 뉴런이 발화하여 자기 신경전달물질을 주위 시냅스로 방출하게 된다. 이 신경전달물질이 또 다른 뉴런의 수용체에 닿는다.

 

 이런 ​연쇄 반응(​뉴런 발화, 신경전달물질 방출, 다른 뉴런이 발화하게 함)이 우리 뇌 안의 ​수천 억 개의 뉴런과 수조 개의 시냅스 사이에서 이루어져 정서, 지각, 사고를 일으키는 것이다. ​뉴런과 신경전달물질은 정서와 사고의 물질적 재료이고 아직도 많은 부분이 밝혀지지 않은 상태다.

​이프로니아지드​에 관한 초기 연구에서 이 항생제가 ​모노아민 산화 효소(MAO)​라는 효소를 불활성화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MAO는 시냅스에 쌓이는 ​세로토닌과 노르에피네프린을 ​분해하여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신경전달물질이 시냅스에 분출되면 ​보통은 MAO가 금세 치워서 다음 전달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그렇지만 이프로니아지드를 먹어 MAO가 억제되면 신경전달물질이 신경 말단에 더 오래 남아 있게 된다. 브로디 연구팀은 이프로니아지드가 시냅스에 신경전달물질이 쌓이게 하기 때문에 항우울 효과가 있다는 이론을 펼쳤다.

 

토끼에게 레세르핀을 투여하기 전에 이프로니아지드를 주면 그냥 레세르핀만 투여했을 때처럼 무기력한 상태가 되지 않았다. 브로디 연구팀은 이프로니아지드가 시냅스의 노르에피네프린과 세로토닌 수치를 높여서 토끼가 '우울해지지' 않게 막는다는 결론을 내렸다.


제약업계가 새로운 생각에 눈뜬 순간이었다. ​정신과 약을 '화학적 불균형'을 바로잡는다거나 특정 신경전달물질 결핍을 보충하는 약이라고 선전하여 판매할 수 있다는 사실을 깨달은 것이다.

​호프만라로슈는 1957년 이프로니아지드를 처음 광고하면서 이 약이 '세로토닌, 에피네프린, 노르에피네프린 등의 아민 대사에 영향을 미치는 아민 산화효소 억제제'라고 선전했다.

-[나는 불안과 함께 살아간다] 에서 -

 

*구글 이미지를 활용하였습니다*

 

728x90
반응형
LIST

WRITTEN BY
케노시스
다양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
728x90
반응형
SMALL

 [Endocrinology] 라는 원서 책의 1~2과를 정리한 내용입니다.

우리 몸의 내분비 시스템을 잘 이해하고 있으면 갑상선 관련 질환, 당뇨, 고혈압 등 우리 주변에서 흔히 관찰되는 많은 질환들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신경계, 근골격계 등과 함께 우리 몸의 중요한 한 축을 이루고 있는 내분비의 세계로 들어가 봅시다.

당시에는 새하얀 표지의 깔끔한 책이었는데, 요즘은 개정판이 많이 나왔으리라 생각됩니다.

 

 

 

내분비학 1

 

 

l  Introduction to Endocrinology

(1)  Historical perspective

-       1849년에 Berthold 라는 프랑스 과학자가 endocrine experiment 를 처음 함.

-       1950년도에 vertebrate invertebrate endocrine systems completed

 

-       An endocrine chronology

è  1849년에 Berthold : castrated cockerels -> comb wattles(육수) 가 발달하지 못함

è  Bayliss Starling 이라는 캐나다 생리학자가 1920 년도에: small intestine mucosa 로부터의 substances pancreatic juice 를 자극함 -> secretin

è  1905년에 Starling : factor hormone 이라는 용어를 도입함

 

l  Berthold Experiment : the First endocrine experiment

l  그 다음 장

(1)   1889년에 Von Mering Minkowski : 개로부터 pancrease removal 시킴 -> diabetes mellitus 증상이 나타남 , carbohydrate metabolism defect 로부터 초래됨.

(2)   1922년도에 Banting Best : islets of Langerhans -> carbohydrate metabolism control 에 있어서 필수적인 부분 , pancreatic islets extracts blood glucose level dramatic 하게 낮춤 : 이 물질에 대해 1912년에 Schaefer insulin 이라는 이름을 붙임

(3)   Walter Cannon : ANS(autonomic nerve systems) -> gastrointestinal(GI) smooth muscle cell contraction 하고 relaxation , GI secretion

(4)   1921년에 Otto Loewi : effector cell activity control 하기 위한 chemical messengers -> acetylcholine , norepinephrine

(5)   1953년에 sanger : insulin 을 위한 amino acid sequence 를 밝혀냄 그래서 노벨 상을 받음

(6)   1950년대 Vincent du Vigneaud : oxytocin vasopressin synthesized 해 냄. 그래서 노벨상을 받음

 

l  Neuropeptides and nobel prize

(1)   Sutherland , 1962 : a secondary messenger 로서의 c AMP 를 발견 해서 1971년도에 노벨상을 받음

(2)   Andrew Schally Roger Guillemin : TRH(thyrotropin releasing hormone) 의 구조 -> 250,000 마리의 돼지의 hypothalamus 로부터 extraction 시킴.

(3)   Schally : GnRH chemical structure 를 제공함 -> synthetic GnRH 를 가지고 인간과 domestic animal fertility control 하는 게 가능해 짐.

(4)   Guillemin : somatostatin 의 구조 -> pituitary somatotropin (growth hormone)에 대해 inhibitory , Schally , Guillemin , Rosalyn Yalow 1978년에 노벨상을 받음

(5)   Rita Levi-Montalcini Stanley Cohen : NGF , EGF 를 발견해서 1988년도에 노벨 상을 받음

 

l  C AMP TRH 의 구조

l  내분비학의 과학

(1)   내분비 선: 자신들의 호르몬을 immediate extracellular space 로 분비한다.

(2)   Comparative endocrionology:

-       Similar peptide structures amino acids sequences 를 비교

-       Drosophila : genes of hormones glands 로부터 large chromosomes 을 사용하여 visualized 시킬 수 있다.

(3)   Clinical endocrinology:

-       재조합 기술에 의해 human GH insulin gene 을 박테리아에 집어 넣을 수 있게 됨 -> 호르몬의 대량 생산이 가능해짐

l  The concept of homeostasis

(1)   Claude Bernard , 19세기의 프랑스 생리학자다. : 그가 말하기를 all the vital mechanisms , however varied they may be , have only one objective , that of preserving constant conditions of life in the internal environment.

(2)   Walter Cannon : organism 내에서 most of the steady states 를 유지하는 coordinated physiological processes 는 너무 복잡하다. 그리고 그래서 , living beings 에게 peculiar 하다. -> I have suggested a specific designation for these states  -> homeostasis

(3)   Homeostatic settings : not invariant 하다. -> timing 이나 , development 하는 stage , age , reproductive status 에 좌우 된다.

(4)   Feedback systems : negative feedback , positive feedback stimulus

 

l  Negative and positive feedback system

l  Two-hormone feedback system

l  Hormone and homeostasis

(1)   Glucose homeostasis

-       Normal human 내에서 blood glucose a precise concentration으로 유지된다. : many factors 가 관련되어 있는데 , 가령 food intake , rate of digestion , metabolism , excretion , exercise , physiological states 등이 관여 한다.

-       Insulin and glucagon

(2)   Calcium homeostasis

-       칼슘 이온은 blood clotting , cellular secretary process , muscle contraction , cellular signal transduction process 에 다 필요하다. -> calcitonin , parathoromone 은 칼슘의 level 에 관여한다.

è  Parathoromone : 1) stored calcium 을 방출하기 위해 뼈에 작용한다.

2) gut 에서 칼슘 absorption 을 자극한다.

3) kidney 에 의해 urine 으로부터 칼슘의 재 흡수를 증강 시킨다.

-> calcitonin : 뼈에 칼슘을 deposit 시킨다.

* glucose homeostasis

* calcium homeostasis

* sodium homeostasis

(1) sodium homeostasis :

- 나트륨은 body 로부터 계속적으로 lost 된다. : kidney 에 있는 osmoreceptors blood 내의 나트륨의 농도를 monitor 한다.

- Renin : a plasma protein angiotensin II 를 만들기 위해 a smaller peptide split 시킨다. -> aldosterone 을 방출하기 위해 adrenal cortex 를 자극 시킨다.

- aldosterone -> urine 으로부터 나트륨의 reabsorption 을 일으킨다.

(2) an endocrine gland 로서의 heart

- De Bold : atria 로부터의 saline extract urinary salt and water excretion marked increase 시킨다.

-ANF (atrial natriuretic factor ) : polypeptide 로서 , overload volume 에 대해 생리적으로 반응하는 a major regulator . -> blood volume 을 낮춘다.

 

*homeostasis 에서 neuroendocrine integration

(1) water balance control

- osmoreceptor and baroreceptor : osmolality detected 된다.

-ADH(antidiuretic hormone) : kidney cells 에서 water re-absorption 을 일으킨다.

-Vasopressin : smooth muscle cells contraction 을 일으킨다. -> blood pressure partial restoration 을 야기시킨다.

(2) body temperature control

- TSH : thyroid hormones 을 방출한다. 그리고 metabolism resulting heat production 을 자극한다.

(3) feeding behavior control

- Glucostat : brain basal hypothalamus 에 위치한다. -> blood 내의 glucose level monitor 한다. -> the sensation of hunger 와 관련된 other neuronal centers activate 시킨다.

 

 

l  Hormones and behavior , growth regulation and cancer

(1)   Sexual behavior :

-       Hormone courtship , mating , maternal behaviors 를 조절한다.

-       Male 내의 libido : gonads 에 의해 만들어진 androgens effects .

(2)   Hormones and homosexuality :

-       Anomalous sexual behaviors : some homosexual males anatomy male and female anatomical structure 사이 어딘가에 위치할 수도 있다. -> sexual activities biologically driven 되었을지도 모른다.

(3)   Oncogenes and proto-oncogenes :

-       Normal cellular growth control , abnormal cell growth 를 이끄는 cellular mechanisms activate 시키는 growth factor 또는 growth factor receptors 를 만들고 , 그들 스스로 uncontrolled(mutated) 될 것이다.

 

2 . Vertebrate endocrine system

 

l  Vertebrate endocrine system

(1)   Endocrine glands and their hormones

-       Endocrine glands (ductless glands) their products directly 하게 blood stream 으로 분비한다.

-       Adrenal steroidogenic tissue hormone 들은 compact mass of tissue 내에서 합성된다.

(2)   Bayliss and starling

-       소장은 bloodstream 으로 방출되는 the source of a substance . -> pancreas , secretin 등이 작용한다.

(3)  Neurotransmitters:

-       Chemical messengers neurons 으로부터 , nerve 사이의 synapse 로 방출된다.

(4)   ACTH 등과 같은 많은 peptide hormone. classical sense 로 기능한다. Blood borne hormones 은 또한 central and peripheral nervous system 내의 specific neurons 내에서 합성된다. -> neurotransmitter 로 기능한다.

(5)   Hypothalamus 는 가장 풍부한 chemical messenger 를 지닌다. 그리고 , endocrine hypothalamus 로 간주되어야 한다.

(6)   Neurohormones : hormones nerve cells 로부터 만들어 진다. -> neuropeptides(dopamine )

-       Neurohormones bloodstream 으로 분비될지도 모른다. -> 이것들은 또한 neuronal function 을 조절하는데 , neurotransmitter 처럼 nervous system 내에서 이런 기능을 담당한다.

(7)   Guillermin : hormone a cell 에 의해 방출되는 any substance 로 정의된다. 그리고 another cell near or far 에서 작용하는 것이다. source singularity or ubiquity 와 관계없이 그리고 conveyance , blood stream , axoplasmic flow or immediate intercellular space 등에 관계 없이 말이다.

 

 

[Table2.1] 참고

l  General classes of chemical messengers

(1)   Peptide hormones :

-       Amino acids 로 구성되어 있다. 3 amino acids , TRH : 180 A.A , pituitary gonadotropins -> peptide hormones

-       Linear chain : 알파-MSH or angiotensin II

-       A ring structure : disulfide bond 를 통한 bridge formation -> oxytosin (Fig 7.2) , vasopressin or somatostatin (figure 6.6)

è  Two chains : insulin , FSH , LH 와 같은 larger hormones

è  Interchain disulfide bonds : insulin , prolactin , GH

-       Amino acids sequences species 들 마다 다르다 : ACTH , calcitonin -> peptide hormone two or more isoforms a single species of animal 내에 존재할지도 모른다.

-       Peptides families

è  NCG , relaxin , somatomedins

è  Melanotropin family : ACTH , 알파-MSH , other melanotropins etc.

 

(2)   Thyroid hormones :

-       Throsine(T4) , triiodothyronine(T3) : normal growth and development 를 위한 indispensable.

(3)   Steroid hormones :

-       Adrenal or gonadal origin steroidogenic tissue 에 의해 만들어 진다.

-       Glucocorticoid : steroidogenic tissues 에 의해 만들어 진다. -> cortisol , corticosterone , and cortisone

-       Gonadal origin 에 의해 만들어 지는 mineral corticoids -> aldosterone

è  이러한 corticoids carbohydrate metabolism electrolyte balance 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       Sex steroids: androgens , estrogens , and progestins -> gonads or ovaries 에서 만들어진다.(pregnancy 동안에는 , placenta progestins estrogens 을 만들어 내는 an additional source 가 된다.)

 

[Figure 2.1]

[Figure 2.2]

[Table 2.2]

 

(4)   Neurotransmitter : - another nerve cells , a muscle cells , or a secretory cell 을 조절한다.(salivary gland cells)

-       Acetylcholine , norepinephrine , dopamine , serotonin

-       Dopamine : hypothalamus 로부터 방출 , 그리고 pituitary hormone secretion 을 조절하기 위해 blood borne hormone 으로서 작용하기도 한다.

 

(5)   Neuropeptides:
- endorphins : the central nerve system
을 통해 widely 하게 distributed 된다. -> opiate receptors 상에서 기능한다. , methionine enkephaline , leucine enkephaline and 베타-endorpins.

l  Neurotransmitters

[Figure 2.3]

(6)   Chalones : - endogenous mitotic inhibitors , TGF-베타

(7)   Peptide growth-stimulating factors : - NGF: neuronal maturation , EGF , erythropoietin (erythrocyte stimulating factors) , FGF 등등

(8)   Eicosanoids : - prostaglandins fatty acids 로부터 합성된다. ; thromboxanes , prostacyclines and leukotrienes

(9)   Pheromones : - one animals 에 의해 liberated 되는 a chemical substance . 그리고 a recipient animal chemoreception 에서 a relatively specific behavior modification 을 야기시킨다. -> air 에 의해 transported 되고 , olfactory stimulate 시킨다.

(10) Other growth regulators : - cell function 을 조절하는 chemical messengers : H+ , HCl , Ca2+ , Na+ , glucose , arginine

 

[Figure 2.4]

[Figure 2.5]

[Table 2.3]

 

l  Hormone synthesis

(1)   Peptide hormones : ribosomes 상에서 합성된다. -> rough ER 로 전달된다. -> Golgi apparatus 로 간다 -> secretory vesicles

(2)   Steroid hormones : - smooth ER 내에서 합성된다.

-       Mitochondria 내의 complex multiple enzyme systems  formation of steroids 에 책임이 있다.

(3)   Thyroid hormones : - thyroid gland 내의 production secretion

(4)   Neurotransmitters: - neurons axonal endings 내에서 합성된다.

(5)   Neuropeptides : - brain 내의 neuronal perikarya(핵 주위부) 내에서 합성된다.

(6)   Prohormones : - preprohormone -> prohormone -> active hormone

 

l  Control of hormone secretion

(1)   호르몬은 cell 내에서 합성되고 , secretory vesicles 내에서 packed 된다. : thyroid and steroid hormones 에서는 예외다.

(2)   Stimulation intrinsic (internal) 도 있고 extrinsic (light , sound , smell , temperatures ) 도 있다.

(3)   호르몬은 other endocrine glands other hormone secretion 을 자극한다. -> TSH , FSH , LH , and ACTH gonads target cells 을 자극한다. 그리고 thyroxine , gonadal steroid 등을 만들어 내기 위해 adrenal steroids 를 자극한다.

(4)   Metabolic substrates (glucose , amino acids ,) ions ( Ca2+ ) hormone secretion a selective stimulus 를 제공한다.

(5)   Cellular receptors hormones 또는 metabolites interact 한다.

(6)   Hormone secretion 과 관련된 Positive and negative inhibition : autoinhibition

 

l  Hormone delivery

(1)   Endocrine : messenger substances bloodborne -> classical definition

(2)   Neurocrine : neuron exonal extensions 에 의해 its target cells contacts 한다.

-       Neuroendocrine : the nerve 에 의해 방출되는 hormone bloodborne 이다.

(3)   Paracrine : an adjacent cells 로 방출되는 호르몬의 diffuse

-       Lumonal : 여기서 hormone the lumen of the gut 으로 방출된다.

(4)   Autocrine : 이런 특성을 지닌 hormones 은 그것을 만들어 내는 cell 상에서 fed back된다.

 

[Figure 2.7]

 

l  Hormone circulation and metabolism

(1)   Peptide hormones : - a short half life 를 지닌다. : shorter peptides MSH oxytocin 2~30 분이라는 특별히 짧은 half life 를 지닌다.

-       Peptidases biological regulation 에서 an essential role 을 수행한다.

è  Exopeptidase , endopeptidase , insulinase ; disulfide bond reduction

(2)   Steroid and thyroid hormones :

-       Steroid hormones half life plasmas proteins binding 함으로써 증가된다.

-       Thyroxine(T4) and triiodothyronine (T3) many tissues 내에서 deiodinated 된다. -> sulfate and glucuronides 를 형성하기 위해 liver 내에서 conjugate 된다.

(3)   Adrenal catecholamine and neurotransmitters : - COMT and MAO 에 의한 orthomethylation and oxidative deamination

-       Neurotransmitter action 은 매우 빠르게 종료된다. -> presynaptic axon 으로 다시 재흡수되어 , 재사용 된다.

[Figure 2.7]

[Figure 2.8]

[Figure 2.9]

l  Hormones 의 생리적인 역할

(1)   세포 합성과 , 다른 호르몬의 분비에 영향을 미친다.

(2)   Metabolic processes 에 영향을 미친다. : most cells 내에서의 anabolic and catabolic ->

Carbohydrates , lipids 등의 synthesis degradation ……

(3)   Muscle metabolism Contraction , relaxation 에 영향을 미친다.

(4)   Reproductive processes 을 조절한다. -> gonadal differentiation , maturation , gametogenesis

(5)   Hormones cellular proliferation 에서 stimulatory or inhibitory  하다 -> growth 에 영향을 미친다.

(6)   Inorganic cations anions excretion re-absoprtion 에 영향을 미친다. -> Na+ , Ca+ , phosphate ions

(7)   호르몬은 other hormones effects 에 대해 permissive actions 을 지닌다. -> certain hormones effectiveness another hormones action 에 의해 증강된다.

(8)   Animal behavior 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 sexual and aggressive behavior

 

l  Endocrine pathophysiology

(1)   충분한 호르몬을 만들어 내기 위한 a gland and tissue 의 실패 -> insulin

(2)   충분한 호르몬을 secrete 하는데 실패 -> tuberculosis 와 같은 질병에 의해 endocrine glands 가 파괴되었을 때

(3)   Hormone secretion overproduction -> excess cortisiol secretion Cushings syndrome 을 야기한다. ; hyperglycemia 를 일으킨다.

(4)   Excess hormone secretion many endocrinopathies neoplasm 으로부터 야기되는 거다. -> tumor 는 과도한 양의 호르몬을 만들어 낸다.

(5)   Endocrine disorders 는 호르몬-target cell interaction 과 관련된 a number of events 로부터 야기될 수 있다. -> testicular feminizing syndrome ; target cells hormones 과 반응하는데 실패한다.

 

 

* 모든 이미지는 구글 이미지를 통해 얻었습니다*

 

 

 

 

 

 

 

728x90
반응형
LIST

WRITTEN BY
케노시스
다양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
728x90
반응형
SMALL

앞날에 대한 막연한 근심은 대뇌피질 전두엽(Frontal lobe)의 과잉 활성화로 나타난다.

 

 

 

 

 

 

  일부 사람들이 사람들 앞에서 말을 할 때 느끼는 심한 불안이나 아주 수줍음이 많은 사람이 사람들 앞에서 느끼는 불안은 뇌의 전대상회라고 하는 부분의 과잉 활성화로 나타난다.

 

  한편 강박적 불안은 뇌 스캔으로 들여다보면 전두엽과 기저핵 안에 있는 하부 중추를 연결하는 회로에 교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1980년대 신경학자 조지프 르두의 선구적 연구 덕에 공포와 관련된 정서와 행동은 편도(amygdala)라는 기관에서 만들어 지거나 아니면 적어도 여기에서 처리된다는 것이 이제 잘 알려져 있다.

 

  편도는 뇌 아래쪽에 있는 아몬드 모양의 기관 인데 지난 15년 동안 불안에 관한 신경학 연구 대부분이 이 기관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프로이트나 키에르케고르는 정확히 몰랐지만 지금 우리는 세로토닌, 도파민, GABA, NE, Neuropeptide Y 등 여러 신경전달물질이 불안을 줄이거나 높이는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안다.

 

  또 불안에는 강력한 유전적 요인이 있다는 것도 안다. 구체적으로 어떤 요인인지도 이제 알아나가기 시작했다.

 

  수백 편의 연구 중 하나를 예로 들자면 하버드 대학교 연구자들이 2002년에 어떤 유전자를 집어냈고 언론에서 "우디 앨런 유전자"라는 이름을 붙였다. 이 유전자가 편도 등 공포 관련 행동을 관장하는 신경 회로 중요 부분에서 특정 뉴런 집단을 활성화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오늘날에는 연구자들이 이런 '후보 유전자' 여러 개를 목표로 두고 접근하면서 특정 유전자 변이와 특정 불안장애 사이의 통계적 상관관계를 살피고 이 관계를 '중재'하는 화학적, 신경해부학적 매커니즘을 탐구하고 있다. 유전적 성향이 어떻게 하여 실제로 불안한 정서나 장애로 발현되는지를 정확히 밝히는 게 목표다. ​

 

미국 국립정신건강연구소장 토머스 인셀 박사는 이렇게 말한다.

 

"불안을 정서로 보든 장애의 하나로 보든 이런 연구들을 통해 분자, 세포, 기관계에 대한 이해가 정서와 행동의 이해로 바로 이어질 수 있다는 사실이 가장 흥미롭다. 마침내 유전자와 세포와 뇌, 신경계 사이의 연관을 만들어나갈 수 있게 된 것이다."​

 

 

 

※ 모든 이미지는 구글에서 가져왔습니다.

728x90
반응형
LIST

WRITTEN BY
케노시스
다양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
728x90
반응형
SMALL

 

일부 사회공포증 환자는 긍정적인 관심도 싫어한다.

생일파티에서 손님들이 생일 축하 노래를 불러주면 울음을 터뜨리는 아기를 생각해보라.

노벨상을 받으러 가기를 겁낸 엘프리데 옐리네크도 있었다.

​긍정적이고 지지해주는 관심이라고 할지라도 공포 신경회로를 자극한다.

진화론적 관점에서 납득할 수 있는 일이다.

긍정적인 관심을 끌면 질투나 경쟁심을 유발할 수 있다.

...................


  부정적인 생각과 스스로를 하찮게 보는 것, 이런 자아상을 감추려는 절박함 등은 사회공포증의 교과서적 특징이다. 대중서이건 학술서이건 사회공포증을 다룬 책은 하나같이 열등감과 남의 비판이나 부정적 평가에 대한 극도의 민감함 등이 사회불안장애와 관련 있다는 점을 지적한다.




<뇌 과학과 사회 공포증>


  공포 반응이 ​편도​와 ​해마 뉴런​에 단단하게 자리 잡는다. 그래서 공포증을 떨쳐 버리기가 어렵기도 하다. 안타깝게도 불안은 이렇듯 스스로를 강화한다. ​스트레스​가 편도를 활성화하면 불안이 증대된다. ​불안​이 증대되면 ​HPA​축을 자극하고 그러면 ​편도​가 더욱 자극을 받는다. 이런 신경 활동 전반이 불안과 공포 자극(사회적 상호작용이건 흔들리는 비행기건)의 연결을 깊이 새긴다. 줄여 말해, 불안해하면 앞으로 더욱 불안해하게끔 된다.

 


 

<호르몬과 사회 공포증>

 

  세로토닌 작동이 강화된(뇌 시냅스에 세로토닌이 많다는 의미) 원숭이는 세로토닌(Serotonin) 수치가 정상인 원숭이에 비해 지배 성향이 더 강하고 더 사교적이고 동료들과 더 강하게 결속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  반면 세로토닌 수치가 낮은 원숭이들은 사회적 상호작용을 피하고 혼자 있으려 하는 회피 행동을 보일 가능성이 높다. 최근에 사람을 대상으로 연구하여 사회불안장애 진단을 받은 환자의 뇌 일부 부위에서 세로토닌 기능이 다르게 나타남을 확인했다. 이런 사실로 프로작이나 팍실 같은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SSRI)가 사회불안 치료에 효과가 있는 까닭도 설명할 수 있다. (불안증이나 우울증이 없는 사람이 SSRI를 먹으면 더 사교적이 된다는 연구도 있다.)

  도파민(Dopamine)도 사회적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 혼자 지내던 원숭이들을 우리에서 꺼내어 무리를 만들어 놓았을 때 ​높은 서열에 오르는 원숭이는 뇌에 도파민이 더 많다. ​사회불안장애 진단을 받은 사람은 도파민 수치가 평균보다 낮다는 연구와 견주어 볼 수 있다.

  뇌 속 도파민 부족과 관련이 있는 신경계 질환인 파킨슨병과 사회불안 사이에서 놀라운 상관관계가 나타나기도 했다.

  2008년에 어떤 연구에서는 파킨슨병 환자 절반이 리보위츠 사회불안 척도에서 사회공포증 진단을 받을 정도로 높은 점수를 기록했다. 사회불안 환자의 뇌에서 "도파민 결합력의 변화"를 발견한 최근 연구도 여럿 있었다.

  머리 스타인도 사회공포증 환자의 행동이 어색하고 어설픈 것은 도파민 기능 문제와 직접적 관련이 있다는 가설을 내세웠다. 사회적 행동 교정을 도와주는 도파민의 '강화/보상' 경로가 사회공포증 환자의 뇌에서는 뭔가 비뚤어져 있을 수 있다는 말이다.

​.........


  도파민과 세로토닌이 사회공포증과 관련 있다고 해서 신경전달물질(Neurotransmitters) 부족이 사회불안증을 ​일으킨다​고 입증되는 것은 아니다. ​신경전달물질 이상은 사회불안의 '결과' 일 수도 있다. ​뇌가 늘 각성된 상태로 사회적 위협이 없는지 쉴 새 없이 주위를 살피고 있기 때문에 지나치게 스트레스를 받아 생긴 신경화학적 '흉터'일 수도 있다. 그렇지만 도파민과 세로토닌이 시냅스 간에 얼마나 효율적으로 전달되는지는 유전적으로 결정된다는 연구가 나오고 있다.


  어떤 세로토닌 전달 유전자를 가지고 있느냐에 따라 뉴런 안의 세로토닌 수용체 밀도가 달라진다.


  세로토닌 수용체 밀도가 상대적으로 높으냐 낮으냐에 따라 내성적 성격과 외향적 성격 사이 어딘가에 위치하게 된다.

 


 

-[나는 불안과 함께 살아간다] 에서 -

 

 

※ 모든 이미지는 구글에서 가져왔습니다.

 

 

728x90
반응형
LIST

WRITTEN BY
케노시스
다양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
728x90
반응형
SMALL

우울증의

화학물질

 

  기내 잡지 뒤표지에는 한 항공사가 오고 가는 모든 도시를 표시한 비행지도가 그려져 있다. 그 지도의 모양을 한번 떠올려보자. 그 지도를 보면 신경전달물질계(neurotransmitter system)가 어떻게 조직되어 있는지 아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신경전달물질계란 단순히 말해 특정 신경전달물질을 방출하거나 그에 반응하는 모든 뉴런을 총칭한다.

 


 

  예를 들어 세로토닌계는 세로토닌을 방출하거나 세로토닌에 반응하는 모든 뉴런이다. (이렇게 보면 델타 시스템이란 델타 항공사가 연결하는 모든 도시가 되겠다.) 뇌는 수많은 신경전달물질계에 의지해 다양한 유형의 작업을 처리하며, 그 신경전달물질들은 각자 다른 방식으로 우울증에 원인을 제공한다.

 


 

 


 

  1960년대에는 노르에피네프린(norepinephrine)이라는 신경전달물질이 너무 적으면 우울증이 발생한다고 생각했다.

 


 

  그러다 몇 년 후에는 세로토닌 결핍이 우울증을 유발한다는 설로 바뀌었다. 지금 우리는 우울증이 훨씬 더 복잡한 문제라는 걸 안다. 세로토닌과 노르에피네프린이 관련된 것은 분명하지만, 도파민을 비롯한 다른 신경화학물질들도 관련돼 있다.

 


 

  아주 다양한 신경전달물질계가 우울증에 영향을 미치고 영향을 받는다. 목록이 조금 길지만 여기 정리된 신경전달물질계 대부분은 앞으로 거듭 등장할 것이다. 지금 다 외울 필요는 없고, 각 신경전달물질계가 몇 가지 기본적인 효과를 갖고 있다는 것만 알아두자.


 


-세로토닌 : 의지력, 활동 의욕, 기분을 향상시킨다.

-노르에피네프린 : 사고와 집중력, 스트레스 대처 능력을 증강한다.

-도파민: 쾌감을 증가시키고 나쁜 습관을 고치는 데 꼭 필요하다

-옥시토신: 신뢰감, 사랑, 연대감을 증진하고 불안을 떨어뜨린다.

-가바: 긴장을 풀어주고 불안을 감소시킨다.

-멜라토닌: 수면의 질을 높인다.

-엔도르핀: 고통을 완화하고 고양된 감정을 안겨준다.

-엔도카나비노이드: 식욕을 증진하고 평온함과 안녕감을 증가시킨다.

 

  너무 단순하게 정리하긴 했지만, 전체적으로 볼 때 각 신경전달물질은 우울증의 각기 다른 증상에 영향을 미친다.

 

  세로토닌계가 제 기능을 못 하면 의지력이나 활동 의욕이 부족해진다.

 

  집중하거나 사고하기가 어렵다고 느끼면 노르에피네프린계에 문제가 생겼을 수 있다.

 

  도파민계의 기능에 장애가 생기면 나쁜 습관을 갖게 되고 즐거움을 잘 느끼지 못한다.

 

  뇌의 수십 가지 회로가 제대로 기능을 수행하려면 이 신경전달물질이 모두 다 필요한데, 이들이 또 서로 상호작용을 하기 때문에 일이 더 복잡해진다.

 

치 아프게도 우울증은 단순히 노르에피네프린과 세로토닌, 도파민이 부족해 생기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이 신경전달물질의 수치를 높여주는 것만으로는 해결할 수 없다.

 

 


  그러나 이것도 해결책의 일부이기도 하다.

 

 


  세로토닌 활동이 늘어나면 기분이 더 좋아지고 목표를 세우는 능력과 나쁜 습관을 피하는 능력이 향상된다.

 

 


  노르에피네프린이 증가하면 집중력이 높아지고 스트레스를 덜 받는다.

 

  도파민이 많아지면 전반적으로 훨씬 더 즐거워진다.

 

 


  이 책은 생활의 작은 변화가 신경전달물질계의 활동을 어떻게 바꾸는지 설명한다. 기술적인 부분은 꽤 복잡하지만 요점만 살펴보자. 기본적으로 '세로토닌 활동을 늘린다'는 말은 여러 가지를 의미한다. 뇌가 세로토닌을 더 많이 만들어낸다는 의미일 수도 있고, 세로토닌 수용체(serotonin receptor)의 수를 늘린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그 수용체들이 세로토닌에 더 잘 달라붙게 된다는 뜻일 수도 있다. 또한 생성된 세로토닌이 너무 빨리 분해되지 않는 것, 시냅스로 방출된 세로토닌이 한동안 시냅스에 머묾으로써 세로토닌을 방출한 뉴런으로 재흡수되지 않고 다음 뉴런에 결합될 기회를 늘리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이런 요인 중 하나만 바꾸어도 세로토닌 활동이 증가한다.

 

 

 

 

 

  예컨대 대부분의 항우울제도 세로토닌 수송체(serotonin transporter)라고 알려진 세로토닌 흡수 단백질을 차단하고, 그럼으로써 세로토닌 수용체에 작용할 수 있는 세로토닌의 양을 늘려 약효를 발휘한다.

 

  신경전달물질 외에 다른 신경화학물질도 극적인 효과를 낸다. 예를 들어, 뇌유래신경영양인자(BDNF, 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는 신생 뉴런의 성장과 전반적인 뇌 건강에 도움을 준다. 심지어 면역계에서 나오는 특정 화학물질도 신경 신호를 바꾸고 우울증에서 나타나는 활동을 변화시킬 수 있다.

 

 

-[우울할 땐 뇌과학] 에서 발췌 -​


 
 
모든 이미지는 구글에서 가져왔습니다.

 

728x90
반응형
LIST

'의학 > 주요우울장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요우울장애] 우울증의 뇌과학  (0) 2018.11.16
토네이도와 우울증의 닮은 점  (0) 2018.11.16

WRITTEN BY
케노시스
다양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
728x90
반응형
SMALL



 

우울증의 뇌과학

 

 

 

 

 우울증의 신경과학을 본격적으로 들여다보기 전에 뇌에 관한 기초적인 사항부터 이야기해보자.

 사람의 뇌는 작은 신경세포인 뉴런 수십억 개로 이루어져 있다. 뉴런은 수십억 개의 작은 마이크로칩처럼 뇌에 컴퓨터 능력을 제공한다.

 

 


  이 뉴런은 전선과 같은 기능을 하는 긴 가지(가지돌기)에 전기 신호를 흘려보냄으로써 서로 끊임없이 대화를 주고받는다. 전기 신호가 가지 끝에 도달하면 신경전달물질(neurotransmitter)이라는 화학 신호를 뿜어내는데, 신경전달 물질은 뉴런과 뉴런 사이의 공간, 즉 시냅스로 흘러들어가 다음 뉴런에 달라붙음으로써 정보를 전달한다.

 

 


  그러니까 뇌는 전기 신호를 내보내고 그 신호를 의사소통용 화학 신호로 바꾸어 전달하는 수십억 개의 뉴런 집합체라고 말할 수 있다.

 

 


  각각의 전기 신호와 그 결과 방출되는 신경전달물질의 작용은 다음 뉴런에게 해야 할 행동을 지시하는 명령이 아니다. 그보다는 다음 뉴런이 무엇을 해야 한다고 의견을 내는 '투표'에 가깝다. 전체 활동 패턴은 대통령 선거와 비슷하다. 누가 대통령이 되어야 할지를 두고 모두 투표하고 그에 따라 이쪽이든 저쪽이든 국가가 나아갈 방향이 결정된다. 중요한 경합주 몇 곳에서 아주 적은 백분율로라도 득표수가 바뀌면, 나라 전체가 나아갈 방향이 극적으로 변한다.

 

 


  뇌도 마찬가지다.

 

 


​  몇 가지 중요한 영역에서 뉴런이 발화하는 비율이 바뀌면 전체 뇌의 활​동 패턴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서로 연결된 뉴런이 수십억 개라니 혼란스럽게 들릴지도 모르지만, 뉴런은 뇌의 작은 영역들에 나뉘어 각자 무리를 지으며 아주 구체적인 방식으로 조직되어 있다. 어떤 영역들은 뇌의 표면 쪽, 곧 피질(cortex)에 위치한다.

 

  '표면'이란 말이 오해를 일으킬 수 있는데, 뇌는 주름져 있기 때문에 피질 영역 중에도 사실 꽤 깊이 들어간 부분들이 있다.

 

 물론 이보다 훨씬 더 깊은 곳에는 ​피질하 영역(subcortical region)​이 있다. 이 부위는 진화상 피질보다 훨씬 더 오래된 것이다.

 

 각 영역에 있는 뉴런들은 서로 대화를 나눌 뿐 아니라 뇌 전체에 퍼져 있는 다른 영역들과도 대화를 나눈다. 이렇게 서로 의사소통하는 뉴런들의 네트워크를 ​신경 회로(neural circuit)라고 한다. 우리 뇌는 모두가 서로 연결된 일련의 작은 컴퓨터들처럼 작동한다.

 

 머리말에서 말했듯이 수십 가지의 다양한 회로가 우리 삶을 통제한다. 이 회로 중 다수는 서로 중첩되는 동일한 뇌 영역들에 기반을 두며, 이 모든 다양한 회로가 서로 영향을 주고 받는다. 우울하거나 행복하거나 배가 고프거나 성적인 흥분을 느낀다면 그것은 이 전체 회로 무리가 서로에게 영향력을 행사한 결과다.

 

 

-[우울할 땐 뇌과학], 앨릭스 코브 저-

 

 

※ 모든 이미지는 구글에서 가져왔습니다.

728x90
반응형
LIST

WRITTEN BY
케노시스
다양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