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요즘 부쩍 조현병에 대한 기사들이 많이 등장하는 것 같습니다. 예전에는 정신분열병으로 부르던 질환입니다.

망상, 환청 등의 양성 증상과 사회적 위축, 제한된 정동 등으로 특징되는 음성 증상이 잘 동반되는 질환으로 심한

경우에는 공격적이거나 자/타해의 위험을 수반하기도 합니다. 조현병 환우에 대한 막연한 경계보다는 바르게 알고, 바르게 이해하는 게 중요할 것 같습니다. 실제로 알콜 중독 환자보다 위험성은 더 낮을 수도 있다는 연구들이 있을 정도로 질환 그 자체가 공격성을 내포하진 않으나, 망상의 내용이나 환청의 종류가 환자로 하여금 기이한 행동을 하게 이끄는 경우들은 적지 않게 있습니다.

 

DSM-5 의 정의는 개정이 될 때마다 조금씩 변동되고 있는 만큼, 사람의 정신 건강, 정상/비정상의 구분이 모호한 부분도 분명 있으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와 같은 분류 체계가 지닌 유용성은 줄어들지 않는 것 같습니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망상장애](Delusional Disorder)

 

진단기준(297.1)(F22)

 

A.   1개월 이상의 지속 기간을 가진 한 가지(혹은 그 이상) 망상이 존재한다.

 

B.    조현병의 진단기준 A에 맞지 않는다.

 

(주의점: 환각이 있다면 뚜렷하지 않고, 망상 주제와 연관된다. (EX) 벌레가 우글거린다는 망상과 연관된 벌레가 꼬이는 감각)

 

C.    망상의 영향이나 파생 결과를 제외하면 기능이 현저하게 손상되지 않고 행동이 명백하게 기이하거나 이상하지 않다.

 

D.   조증이나 주요우울 삽화가 일어나는 경우, 이들은 망상기의 지속 기간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다.

 

E.    장애가 물질의 생리적 효과나 다른 의학적 상태로 인한 것이 아니고, 신체이형장애나 강박장애와 같은 다른 정신질환으로 더 잘 설명되지 않는다.

 

 

 

[다음 중 하나를 명시할 것]

 

1.    색정형: 이 아형은 망상의 중심 주제가 또 다른 사람이 자신을 사랑하고 있다는 것일 경우 적용된다.

 

2.    과대형: 이 아형은 망상의 중심 주제가 어떤 굉장한(그러나 확인되지 않은) 재능이나 통찰력을 갖고 있다거나 어떤 중요한 발견을 하였다는 확신일 경우 적용된다.

 

3.    질투형: 이 아형은 망상의 중심 주제가 자신의 배우자나 연인이 외도를 하고 있다는 것일 경우 적용된다.

 

 

 

4.    피해형: 이 아형은 망상의 중심 주제가 자신이 음모, 속임수, 염탐, 추적, 독극물이나 약물 주입, 악의적 비방, 희롱, 장기 목표 주구에 대한 방해 등을 당하고 있다는 믿음을 수반한 경우 적용된다.

 

5.    신체형: 이 아형은 망상의 중심 주제가 신체적 기능이나 감각을 수반한 경우 적용된다.

 

6.    혼합형: 이 아형은 어느 한 가지 망상적 주제도 두드러지지 않은 경우 적용된다.

 

7.    명시되지 않는 유형: 이 아형은 지배적 망상적 믿음이 분명히 결정될 수 없는 경우, 혹은 특정 유형에 기술되지 않은 경우 (Ex) 뚜렷한 피해 혹은 과대 요소가 없는 관계망상) 적용된다.

 

 

 

[다음의 경우 명시할 것]

 

괴이한 내용 동반: 망상이 분명히 타당해 보이지 않고, 이해 불가하며, 보통의 일상 경험에서 유래되지 않으면 기이한 것으로 간주된다. (Ex) 낯선 이가 자신의 장기는 꺼내가고, 대신 누군가의 장기를 상처나 흉터를 남기지 않은 채 집어넣었다는 믿음)

 

 

 

[다음의 경우 명시할 것]

 

다음의 경과 명시자들은 장애 지속 기간이 1년이 지난 후에만 사용한다.

 

1.    첫 삽화, 현재 급성 삽화 상태: 정의된 진단적 증상과 시간 기준에 합당한 장애의 첫 발현. 급성 삽화란 증상 기준이 충족되는 시간적 기간을 일컫는다.

 

2.    첫 삽화, 현재 부분 관해 상태: 부분 관해란 앞 삽화 이후 호전이 유지되고 정의된 장애 기준이 부분적으로만 충족되는 시간적 기간을 일컫는다.

 

3.    첫 삽화, 현재 완전 관해 상태: 완전 관해란 앞 삽화 이후 더 이상 장애 특이적 증상이 존재하지 않는 시간적 기간을 일컫는다.

 

4.    다중 삽화, 현재 급성 삽화 상태

 

5.    다중 삽화, 현재 부분 관해 상태

 

6.    다중 삽화, 현재 완전 관해 상태

 

7.    지속적인 상태: 장애의 진단적 증상 기준을 충족하는 증상들이 질병 경과의 대부분에서 그대로 남아 있고, 역치 아래의 증상 기간은 전체 경과에 비해 매우 짧다.

 

8.    명시되지 않는 경우

 

 

 

[현재의 심각도를 명시할 것]

 

심각도는 망상, 환각, 와해된 언어, 비정상적 정신운동 행동, 음성 증상 등과 같은 정신병의 일차 증상에 대한 양적 평가를 통해 등급화된다. 이러한 증상 각각은 현재 심각도(지난 7일 중 가장 심한)에 대하여 0 (증상 없음)부터 4 (고도의 증상이 있음) 까지의 5점 척도를 이용해 등급화될 수 있다. (‘평가도구장의 정신병 증상 심각도에 대한 임상의 평정 차원을 참조하시오)

 

 

 

주의점: 망상장애의 진단은 이러한 심각도 명시자의 사용 없이 내려질 수 있다.

 

 

 

  

 

 

 

단기 정신병적 장애(Breif Psychotic Disorder)

 

진단 기준 (298.8)(F23)

 

A.   다음 증상 중 하나(혹은 그 이상)가 존재하고, 이들 중 최소한 하나는 (1) 내지 (2) 혹은 (3) 이어야 한다.

 

1.    망상

 

2.    환각

 

3.    와해된 언어(EX) 빈번한 탈선 혹은 지리멸렬)

 

4.    극도로 와해된 또는 긴장성 행동

 

주의점: 문화적으로 인정되는 반응이면 증상에 포함하지 마시오.

 

B.    장애 삽화의 지속 기간이 최소 1일 이상 1개월 이내이며, 결국 병전 수준의 기능으로 완전히 복귀한다.

 

C.    장애가 정신병적 양상을 동반한 주요우울장애나 양극성장애, 혹은 조현병이나 긴장증 같은 다른 정신병적 장애로 더 잘 설명되지 않으며, 물질(EX) 남용약물, 치료약물)의 생리적 효과나 다른 의학적 상태로 인한 것이 아니다.

 

 

 

[다음의 경우 명시할 것]

 

1.    현저한 스트레스 요인을 동반한 경우(단기 반응성 정신병): 개인의 문화권에서 비슷한 상황이 되면 대개 어떤 사람에게든 현저하게 스트레스를 주는 단일 사건 혹은 중복 사건에 반응하여 증상이 일어나는 경우

 

2.    현저한 스트레스 요인을 동반하지 않는 경우: 개인의 문화권에서 비슷한 상황이 되면 대개 어떤 사람에게든 현저하게 스트레스를 주는 단일 사건 혹은 중복 사건에 반응하여 증상이 일어난 경우가 아닐 때

 

3.    산후 발병: 임신 기간 혹은 산후 4주 내에 발병한 경우

 

 

 

[다음의 경우 명시할 것]

 

1.    긴장증 동반(정의는 127~128쪽의 다른 정신질환과 연관된 긴장증의 진단기준을 참조하시오)

 

2.    부호화 시 주의점: 동반한 긴장증의 존재를 지정하기 위해서는 단기 정신병적 장애와 연관된 긴장증을 위한 추가적 부호 293.89(F06.1)을 사용하시오.

 

 

 

[현재의 심각도를 명시할 것]

 

심각도는 망상, 환각, 와해된 언어, 비정상적 정신운동 행동, 음성 증상 등과 같은 정신병의 일차 증상에 대한 양적 평가를 통해 등급화된다. 이러한 증상 각각은 현재 심각도(지난 7일 중 가장 심한)에 대하여 0 (증상 없음) 부터 4 (고도의 증상이 있음) 까지의 5점 척도를 이용해 등급화될 수 있다. (‘평가도구장의 정신병 증상 심각도에 대한 임상의 평정 차원을 참조하시오)

 

주의점: 단기 정신병적 장애의 진단은 이러한 심각도 명시자의 사용 없이 내려질 수 있다.

 

 

 

 

 

조현양상장애(Schizophreniform Disorder)

 

진단기준 (295.40)(F20.81)

 

A.   다음 증상 중 둘(혹은 그 이상) 1개월의 기간(성공적으로 치료가 되면 그 이하) 동안의 상당 부분의 시간에 존재하고, 이들 중 최소한 하나의 (1) 내지 (2) 혹은 (3) 이어야 한다.

 

1.    망상

 

2.    환각

 

3.    와해된 언어(Ex) 빈번한 탈선 혹은 지리멸렬)

 

4.    극도로 와해된 또는 긴장성 행동

 

5.    음성 증상(Ex) 감퇴된 감정 표현 혹은 무의욕증)

 

B.    장애의 삽화가 1개월 이상, 6개월 이내로 지속된다. 진단이 회복까지 기다릴 수 없이 내려져야 할 경우에는 잠정적을 붙여 조건부 진단이 되어야 한다.

 

C.    조현정동장애와 정신병적 양상을 동반한 우울 또는 양극성 장애는 배제된다. 왜냐하면 [1] 주요우울 또는 조증삽화가 활성기 증상과 동시에 일어나지 않기 때문이거나 [2] 기분 삽화가 활성기 증상 동안 일어난다고 해도 병의 활성기 및 잔류기 전체 지속 기간의 일부에만 존재하기 때문이다.

 

D.   장애가 물질(EX) 남용약물, 치료약물)의 생리적 효과나 다른 의학적 상태로 인한 것이 아니다.

 

 

 

 

 

[다음의 경우 명시할 것]

 

양호한 예후 특징을 동반하는 경우: 이 명시자는 다음의 4가지 특징 중 최소 둘이 있어야 한다. 그 특징은 통상적 행동이나 기능에서 처음 눈에 띄는 변화가 생긴 지 4주 이내에 뚜렷한 정신병적 증상의 발병, 혼돈 혹은 당혹감, 양호한 병전 사회 및 직업 기능, 둔마 혹은 평탄 정동의 부재 등이다.

 

양호한 예후 특징을 동반하지 않는 경우: 이 명시자는 위 특징 중 둘 이상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적용된다.

 

 

 

[다음의 경우 명시할 것]

 

긴장증 동반(정의는 127~128쪽의 다른 정신질환과 연관된 긴장증의 진단기준을 참조하시오)

 

부호화 시 주의점: 동반한 긴장증의 존재를 지정하기 위해서는 조현양상장애와 연관된 긴장증을 위한 추가적 부호 293.89 (F06.1)을 사용하시오.

 

 

 

[현재의 심각도를 명시할 것]

 

심각도는 망상, 환각, 와해된 언어, 비정상적 정신운동 행동, 음성 증상 등과 같은 정신병의 일차 증상에 대한 양적 평가를 통해 등급화된다. 이러한 증상 각각은 현재 심각도 (지난 7일 중 가장 심한)에 대하여 0 (증상 없음) 부터 4 (고도의 증상이 있음)까지의 5점 척도를 이용해 등급화될 수 있다. (‘평가도구장의 정신병 증상 심각도에 대한 임상의 평정 차원을 참조하시오)

 

주의점: 조현양상장애의 진단은 이러한 심각도 명시자의 사용 없이 내려질 수 있다.

 

  

 

 

조현병(Schizophrenia)

 

진단기준(295.90)(F20.9)

 

A.   다음 증상 중 둘(혹은 그 이상) 1개월의 기간(성공적으로 치료가 되면 그 이하) 동안의 상당 부분의 시간에 존재하고, 이들 중 최소한 하나는 (1) 내지 (2) 혹은 (3) 이어야 한다.

 

1.    망상

 

2.    환각

 

3.    와해된 언어(Ex) 빈번한 탈선 혹은 지리멸렬)

 

4.    극도로 와해된 또는 긴장성 행동

 

5.    음성 증상(Ex) 감퇴된 감정 표현 혹은 무의욕증)

 

B.    장애의 발병 이래 상당 부분의 시간 동안 일, 대인관계 혹은 자기관리 같은 주요 영역의 한 가지 이상에서 기능 수준이 발병 전 성취된 수준 이하로 현저하게 저하된다. (혹은 아동기 또는 청소년기에 발병하는 경우, 기대 수준의 대인관계적, 학문적, 직업적 기능을 성취하지 못함)

 

C.    장애의 지속적 징후가 최소 6개월 동안 계속된다. 이러한 6개월의 기간은 진단기준 A에 해당하는 증상 (Ex) 활성기 증상)이 있는 최소 1개월 (성공적으로 치료되면 그 이하)을 포함해야 하고, 전구 증상이나 잔류 증상의 기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전구기나 잔류기 동안 장애의 징후는 단지 음성 증상으로 나타나거나, 진단 기준 A에 열거된 증상의 2가지 이상이 약화된 형태 (Ex) 이상한 믿음, 흔치 않은 지각 경험)로 나타날 수 있다.

 

D.   조현정동장애와 정신병적 양상을 동반한 우울 또는 양극성 장애는 배제된다. 왜냐하면 [1] 주요우울 또는 조증 삽화가 활성기 증상과 동시에 일어나지 않기 때문이거나 [2] 기분 삽화가 활성기 증상 동안 일어난다고 해도 병의 활성기 및 잔류기 전체 지속 기간의 일부에만 존재하기 때문이다.

 

E.    장애가 물질(Ex) 남용약물, 치료약물)의 생리적 효과나 다른 의학적 상태로 인한 것이 아니다.

 

F.    자폐스펙트럼장애나 아동기 발병 의사소통장애의 병력이 있는 경우, 조현병의 추가 진단은 조현병의 다른 필요 증상에 더하여 뚜렷한 망상이나 환각이 최소 1개월(성공적으로 치료되면 그 이하) 동안 있을 때에만 내려진다.

 

 

 

[다음의 경우 명시할 것]

 

다음의 경과 명시자들은 장애 지속기간이 1년이 지난 후에, 그리고 진단적 경과 기준에 반대되지 않을 경우에만 사용되는 것이다.

 

1.    첫 삽화, 현재 급성 삽화 상태: 정의된 진단적 증상과 시간 기준에 합당한 장애의 첫 발현, 급성 삽화란 증상 기준이 충족되는 시간적 기간을 일컫는다.

 

2.    첫 삽화, 현재 부분 관해 상태: 부분 관해란 앞 삽화 이후 호전이 유지되고 정의된 장애 기준이 부분적으로만 충족되는 시간적 기간을 일컫는다.

 

3.    첫 삽화, 현재 완전 관해 상태: 완전 관해란 앞 삽화 이후 더 이상 장애 특이적 증상이 존재하지 않는 시간적 기간을 일컫는다.

 

4.    다중 삽화, 현재 급성 삽화 상태: 다중 삽화는 최소 2회의 삽화(Ex) 첫 삽화 이후 관해와 최소 1회의 재발) 이후에 결정될 수 있다.

 

5.    다중 삽화, 현재 부분 관해 상태

 

6.    다중 삽화, 현재 완전 관해 상태

 

7.    지속적인 상태: 장애의 진단적 증상 기준을 충족하는 증상들이 질병 경과의 대부분에서 그대로 남아 있고, 역치 아래의 증상 기간은 전체 경과에 비해 매우 짧다.

 

8.    명시되지 않는 경우

 

 

 

[다음의 경우 명시할 것]

 

긴장증 동반 (정의는 127~128쪽의 다른 정신질환과 연관된 긴장증의 진단기준을 참조하시오.)

 

부호화 시 주의점: 동반한 긴장증의 존재를 지정하기 위해서는 조현병과 연관된 긴장증을 위한 추가적 부호 293.89 (F06.1)을 사용하시오.

 

 

 

[현재의 심각도를 명시할 것]

 

심각도는 망상, 환각, 와해된 언어, 비정상적 정신운동 행동, 음성 증상 등과 같은 정신병의 일차 증상에 대한 양적 평가를 통해 등급화된다. 이러한 증상 각각은 현재 심각도(지난 7일 중 가장 심한)에 대하여 0 (증상 없음)부터 4(고도의 증상이 있음) 까지의 5점 척도를 이용해 등급화될 수 있다.(‘평가도구장의 정신병 증상 심각도에 대한 임상의 평정 차원을 참조하시오.)

 

 

 

주의점: 조현병의 진단은 이러한 심각도 명시자의 사용 없이 내려질 수 있다.

 

 

 

 

 

 

 

 

 

 

 

조현정동장애(Schizoaffective Disorder)
진단기준

 

A.   조현병의 연속 기간 동안 조현병의 진단 기준 A와 동시에 주요 기분(주요우울 또는 조증) 삽화가 있음

 

주의점: 주요우울 삽화는 진단 기준 A1: 우울 기분을 포함해야 한다.

 

B.    평생의 유병기간 동안 주요 기분(주요우울 또는 조증) 삽화 없이 존재하는 2주 이상의 망상이나 환각이 있다.

 

C.    주요 기분 삽화의 기준에 맞는 증상이 병의 활성기 및 잔류기 부분의 전체 지속 기간의 대부분 동안 존재한다.

 

D.   장애가 물질(Ex) 남용약물, 치료약물)의 효과나 다른 의학적 상태로 인한 것이 아니다.

 

 

 

[다음 중 하나를 명시할 것]

 

295.70 (F25.0) 양극형: 이 아형은 조증 삽화가 발현 부분일 경우 적용됨. 주요우울 삽화도 일어날 수 있다.

 

295.70(F25.1) 우울형: 이 아형은 단지 주요우울 삽화만이 발현 부분일 경우 적용된다.

 

 

 

[다음의 경우 명시할 것]

 

긴장증 동반(정의는 127~128쪽의 다른 정신질환과 연관된 긴장증의 진단 기준을 참조하시오)

 

부호화 시 주의점: 동반한 긴장증의 존재를 지정하기 위해서는 조현정동장애와 연관된 긴장증을 위한 추가적 부호 293.89(F06.1)을 사용하시오.

 

 

 

[다음의 경우 명시할 것]

 

다음의 경과 명시자들은 장애 지속 기간이 1년이 지난 후에, 그리고 진단적 경과 기준에 반대되지 않을 경우에만 사용되는 것이다.

 

첫 삽화, 현재 급성 삽화 상태: 정의된 진단적 증상과 시간 기준에 합당한 장애의 첫 발현, 급성 삽화란 증상 기준이 충족되는 시간적 기간을 일컫는다.

 

첫 삽화, 현재 부분 관해 상태: 부분 관해란 앞 삽화 이후 호전이 유지되고 정의된 장애 기준이 부분적으로만 충족되는 시간적 기간을 일컫는다.

 

첫 삽화, 현재 완전 관해 상태: 완전 관해란 앞 삽화 이후 더 이상 장애 특이적 증상이 존재하지 않는 시간적 기간을 일컫는다.

 

다중 삽화, 현재 급성 삽화 상태: 다중 삽화는 최소 2회의 삽화(Ex) 첫 삽화 이후 관해와 최소 1회의 재발) 이후에 결정될 수 있다.

 

다중 삽화, 현재 부분 관해 상태

 

다중 삽화, 현재 완전 관해 상태

 

지속적인 상태: 장애의 진단적 증상 기준을 충족하는 증상들이 질병 경과의 대부분에서 그대로 남아 있고, 역치 아래의 증상 기간은 전체 경과에 비해 매우 짧다.

 

명시되지 않는 경우

 

 

 

[현재의 심각도를 명시할 것]

 

심각도는 망상, 환각, 와해된 언어, 비정상적 정신운동 행동, 음성 증상 등과 같은 정신병의 일차 증상에 대한 양적 평가를 통해 등급화된다. 이러한 증상 각각은 현재 심각도(지난 7일 중 가장 심한)에 대하여 0 (증상 없음)부터 4(고도의 증상이 있음) 까지의 5점 척도를 이용해 등급화될 수 있다. (‘평가도구장의 정신병 증상 심각도에 대한 임상의 평정 차원을 참조하시오.)

 

 

 

주의점: 조현정동장애의 진단은 이러한 심각도 명시자의 사용 없이 내려질 수 있다.

 

 

 

 

 

 

 

  

 

물질/약물치료로 유발된 정신병적 장애

 

(Substance/Medication-induced psychotic disorder)

 

진단기준

 

A.   다음 증상 중 하나 혹은 둘 다 존재한다.

 

1.    망상

 

2.    환각

 

B.    병력, 신체 검진 또는 검사 소견에 (1) (2) 둘 다의 증거가 있다.

 

1.    진단기준 A의 증상이 물질 중독이나 물질 금단 동안 혹은 직후에, 혹은 치료약물 노출 후에 발생함.

 

2.    수반된 물질/치료약물이 진단기준 A의 증상을 일으킬 만한 능력이 있음

 

C.    장애가 물질/약물치료로 유발된 것이 아닌 정신병적 장애로 더 잘 설명되지 않는다. 독립적인 정신병적 장애라는 증거로 다음이 포함될 수 있다.

 

-      증상이 물질/치료약물 사용 시작보다 선행한다. 증상이 급성 금단 혹은 심한 중독의 중단 이후에도 상당한 기간(Ex) 1개월) 동안 계속된다. 혹은 물질/약물 치료로 유발된 것이 아닌 독립적인 정신병적 장애의 다 른 증거(Ex) 재발성 비물질/치료약물 관련 삽화의 병력)가 있다.

 

D.   장애가 섬망의 경과 중에만 발생되지는 않는다.

 

E.    장애가 사회적, 직업적, 또는 다른 중요한 기능 영역에서 임상적으로 현저한 고통이나 손상을 초래한다.

 

주의점: 이 진단은 진단기준 A의 증상이 임상 양상에서 두드러지고 임상적 주목을 보증할 정도로 충분히 심할 때에만 물질 중독이나 물질 금단의 진단 대신에 내려져야 한다.

 

부호화 시 주의점: [특정 물질/약물치료]로 유발된 정신병적 장애에 대한 ICD-9-CM ICD-10-CM 부호는 다음 표에 제시되어 있다. ICD-10-CM 부호는 동일 종류의 물질에 대한 물질사용장애의 동반이환 여부에 따라 달라진다는 점에 주의한다. 만약 경도의 물질 사용장애가 물질로 유발된 정신병적 장애와 동반이환된다면 4번째 자리의 글자는 ‘1’이고, 임상의는 물질로 유발된 정신병적 장애 앞에 경도 [물질] 사용장애를 기록해야 한다. (Ex) 경도 코카인사용장애, 코카인으로 유발된 정신병적 장애 동반). 만약 중등도 또는 고도 물질사용장애가 물질로 유발된 정신병적 장애와 동반이환된다면 4번째 자리의 글자는 ‘2’이고, 임상의는 동반이환하는 물질사용장애의 심각도에 따라 중등도 [물질] 사용장애 또는 고도 [물질] 사용장애를 기록해야 한다. 만약 동반이환하는 물질사용장애가 없다면 (Ex) 1회의 심한 물질 사용 후) 4번째 자리의 글자는 ‘9’이며, 임상의는 물질로 유발된 정신병적 장애만을 기록해야 한다.

 

 

 

 

ICD-9-CM

ICD-10-CM

 

사용장애

경도

사용장애

중등도 또는 고도

사용장애

없음

알코올

291.9

F10.159

F10.259

F10.959

대마

292.9

F12.159

F12.259

F12.959

펜시클리딘

292.9

F16.159

F16.259

F16.959

기타 환각제

292.9

F16.159

F16.259

F16.959

흡입제

292.9

F18.159

F18.259

F18.959

진정제,수면제 또는 항불안제

292.9

F13.159

F13.259

F13.959

암페타민(또는 기타 자극제)

292.9

F15.159

F15.259

F15.959

코카인

292.9

F14.159

F14.259

F14.959

기타(또는 미상의) 물질

292.9

F19.159

F19.259

F19.959

 

 

 

[다음의 경우 명시할 것]

 

(물질 종류와 연관된 진단을 위해서는 물질관련 및 중독 장애장의 표1을 참조하시오):

 

-      중독 중 발병: 기준이 물질 중독에 맞고, 증상이 중독 동안에 발생하는 경우

 

-      금단 중 발병: 기준이 물질 금단에 맞고, 증상이 금단 동안 혹은 금단 직후 발생하는 경우

 

 

 

[현재의 심각도를 명시할 것]

 

심각도는 망상, 환각, 와해된 언어, 비정상적 정신운동 행동, 음성 증상 등과 같은 정신병의 일차 증상에 대한 양적 평가를 통해 등급화된다. 이러한 증상 각각은 현재 심각도(지난 7일 중 가장 심한)에 대하여 0 (증상 없음) 부터 4 (고도의 증상이 있음) 까지의 5점 척도를 이용해 등급화될 수 있다. (‘평가도구장의 정신병 증상 심각도에 대한 임상의 평정 차원을 참조하시오)

 

 

 

주의점: 물질/약물 치료로 유발된 정신병적 장애의 진단은 이러한 심각도 명시자의 사용 없이 내려질 수 있다.

 

  

 

 

 

다른 의학적 상태로 인한 정신병적 장애

 

(Psychotic Disorder Due to Another Medical Condition)

 

진단기준

 

A.   뚜렷한 환각 혹은 망상

 

B.    장애가 다른 의학적 상태의 직접적인 병태생리학적 결과라는 증거가 병력, 신체 검진 또는 검사 소견에 있다.

 

C.    장애가 다른 정신질환으로 더 잘 설명되지 않는다.

 

D.   장애가 섬망의 경과 중에만 발생되지는 않는다.

 

E.    장애가 사회적, 직업적, 또는 다른 중요한 기능 영역에서 임상적으로 현저한 고통이나 손상을 초래한다.

 

 

 

[다음 중 하나를 명시할 것]

 

두드러진 증상에 기초한 부호

 

-293.81( F06.2) 망상 동반: 망상이 두드러진 증상인 경우

 

-293.82( F06.0) 환각 동반: 환각이 두드러진 증상인 경우

 

부호화 시 주의점: 정신질환의 이름에 기타 의학적 상태의 이름을 포함시킨다(Ex) 293.81 [F06.2] 악성 폐암으로 인한 정신병적 장애, 망상 동반). 기타 의학적 상태는 의학적 상태로 인한 정신병적 장애 바로 앞에 부호와 이름을 별도로 기재해야 한다.(Ex) 162.9 [C34.90] 악성 폐암 ; 293.81 [F06.2] 악성 폐암으로 인한 정신병적 장애, 망상 동반)

 

 

 

 

 

[현재의 심각도를 명시할 것]

 

심각도는 망상, 환각, 와해된 언어, 비정상적 정신운동 행동, 음성 증상 등과 같은 정신병의 일차 증상에 대한 양적 평가를 통해 등급화된다. 이러한 증상 각각은 현재 심각도(지난 7일 중 가장 심한)에 대하여 0 (증상 없음) 부터 4 (고도의 증상이 있음) 까지의 5점 척도를 이용해 등급화될 수 있다. (‘평가 도구장의 정신병 증상 심각도에 대한 임상의 평정 차원을 참조하시오)

 

 

 

주의점: 다른 의학적 상태로 인한 정신병적 장애의 진단은 이러한 심각도 명시자의 사용 없이 내려질 수 있다.

 

 

 

 

 

 

 

긴장증(Catatonia)

 

다른 정신질환과 연관된 긴장증(긴장증 명시자)

 

(Catatonia associated with another mental disorder)(catatonia specifier)

 

(293.89) (F06.1)

 

A. 다음 증상 중 3가지 (혹은 그 이상)이 임상 양상에서 뚜렷하다

 

1. 혼미(, 정신운동 활동이 없음, 주변에 대한 능동적 관여가 없음)

 

2. 강경증(, 중력에 반해 유지되는 자세의 수동적 유도)

 

3. 납굴증(, 검사자가 취하게 하려는 자세에 대한 약한 저항)

 

4. 함구증(, 언어 반응이 없거나 아주 적음[실어증을 배제해야 함])

 

5. 거부증(, 지시나 외부 자극에 반대 혹은 무반응)

 

6. 자세유지증(, 중력에 반한 자세의 자발적, 능동적 유지)

 

7. 매너리즘(, 정상 행위의 이상하고 상세한 희화화)

 

8. 상동증(, 반복적, 비정상적으로 빈번한, 비목표지향적 운동)

 

9. 초조, 외부 자극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음

 

10. 찡그림

 

11. 반향언어증(Ex) 다른 사람의 말을 따라 함)
12.
반향동작증(Ex) 다른 사람의 행동을 따라 함)

 

 

 

 

 

 

 

부호화 시 주의점: 이 상태의 이름을 기록할 때, 연관된 정신질환의 이름을 명시하시오(Ex) 293.89[F06.1] 주요 우울장애와 연관된 긴장증). 연관된 정신질환(Ex) 신경발달장애, 단기 정신병적 장애, 조현양상장애, 조현병, 조현정동장애, 양극성장애, 주요우울장애, 다른 정신질환)의 부호를 먼저 적으시오.(Ex) 295.70 [F25.1] 조현정동장애, 우울형, 293.89[F06.] 조현정동장애와 연관된 긴장증)

 

 

 

 

 

 

 

  

 

다른 의학적 상태로 인한 긴장성장애

 

(Catatonic Disorder due to another medical condition)

 

진단기준 (293.89)(F06.1)

 

A.   임상 양상은 다음 증상 중 3가지 (혹은 그 이상)에 의해 장악된다.

 

1.    혼미(Ex) 정신운동 활동이 없음, 주변에 대한 능동적 관여가 없음)

 

2.    강경증 (Ex) 중력에 반해 유지되는 자세의 수동적 유도)

 

3.    납굴증(, 검사자가 취하게 하려는 자세에 대한 약한 저항)

 

4.    함구증(, 언어 반응이 없거나 아주 적음[실어증을 배제해야 함])

 

5.    거부증(, 지시나 외부 자극에 반대 혹은 무반응)

 

6.    자세유지증(, 중력에 반한 자세의 자발적, 능동적 유지)

 

7.    매너리즘(, 정상 행위의 이상하고 상세한 희화화)

 

8.    상동증(, 반복적, 비정상적으로 빈번한, 비목표지향적 운동)

 

9.    초조, 외부 자극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음

 

10. 찡그림

 

11. 반향언어증(Ex) 다른 사람의 말을 따라 함)

 

12. 반향동작증(Ex) 다른 사람의 행동을 따라 함)

 

B.    병력, 신체 검진 또는 검사 소견에 장애가 다른 의학적 상태의 직접적인 병태생리학적 결과라는 증거가 있다.

 

C.    장애가 다른 정신질환(Ex) 조증 삽화)으로 더 잘 설명되지 않는다.

 

D.   장애가 섬망 경과 중에만 발생되지는 않는다.

 

E.    장애가 사회적, 직업적, 또는 다른 중요한 기능 영역에서 임상적으로 현저한 고통이나 손상을 초래한다.

 

 

 

부호화 시 주의점: 정신질환의 이름에 의학적 상태의 이름을 포함시킨다.(Ex) 293.89[F06.1] 간성뇌증으로 인한 긴장성 장애). 기타 의학적 상태는 의학적 상태로 인한 긴장성장애 바로 앞에 부호와 함께 별도로 기재해야 한다.(Ex) 572.2 [K71.90] 간성뇌증; 293.89 [F06.1] 간성뇌증으로 인한 긴장성장애)

 

 

 

 명시되지 않는 긴장증(Unspecified Catatonia)

 

이 범주는 긴장증의 특징적인 증상들이 사회적, 직업적, 또는 다른 중요한 기능 영역에서 임상적으로 현저한 고통이나 손상을 일으키지만, 기저 정신질환이나 기타 의학적 상태의 본성이 불확실하거나, 긴장증의 완전한 기준을 만족하지 않거나, 혹은 좀 더 특정한 진단을 내리기에 정보가 불충분한(Ex) 응급실 상황) 발현 징후들에 적용된다.

 

 

 

부호화 시 주의점: 먼저 781.99 (R29.818) 신경계와 근골격계를 침범하는 기타 증상의 부호를 붙이고, 뒤이어 293.89 [F06.1] 명시되지 않는 긴장증의 부호를 이어서 붙이시오.

 

 

 

 

 

달리 명시된 조현병 스펙트럼 및 기타 정신병적 장애

 

(Other specified schizophrenia spectrum and other psychotic disorder) (298.8)(F28)

 

이 범주는 사회적, 직업적, 또는 다른 중요한 기능 영역에서 임상적으로 현저한 고통이나 손상을 일으키는 조현병 스펙트럼 및 기타 정신병적 장애의 특징적인 증상들이 두드러지지만, 조현병 스펙트럼 및 기타 정신병적 장애의 진단 부류에 속한 장애 중 어느 것에도 완전한 기준을 만족하지 않는 발현 징후들에 적용된다. 달리 명시된 조현병 스펙트럼 및 기타 정신병적 장애 범주는 발현 징후가 어떤 특정 조현병 스펙트럼 및 기타 정신병적 장애의 기준에 맞지 않은 특정한 이유에 대해 교감하기 위해 임상의가 선택한 상황들에서 사용된다. 이는 달리 명시된 조현병 스펙트럼 및 기타 정신병적 장애를 기록하고, 이어서 특정한 이유(Ex) ‘지속적 환청’)를 기록한다.

 

달리 명시된이라는 지정 문구를 사용해 분류될 수 있는 발현 징후들의 예는 다음과 같다.

 

1.    지속적 환청: 어떤 다른 특징들 없이 나타남

 

2.    상당한 중복 기분 삽화를 동반한 망상: 이는 망상적 장애의 실질적 부분에 있는 중복 기분 삽화의 기간이 동반된(그래서 망상장애에서 단기성 기분장애만을 규정하는 기준에 맞지 않는) 지속적 망상을 포함함

 

3.    약화된 정신병 증후군: 이 증후군은 완전한 정신병의 역치 아래에 있는 정신병 같은 증상들이 특징임(Ex) 증상들이 덜 심하고 더 일시적이며, 상대적으로 병식이 유지됨)

 

4.    망상장애가 있는 사람의 동반자의 망상 증상: 관계라는 맥락에서 지배적 동반자로부터의 망상 재료가 그것만 아니면 망상장애의 기준에 전적으로 맞지 않을 사람의 망상적 믿음에 내용물을 제공함

 

 

 

명시되지 않는 조현병 스펙트럼 및 기타 정신병적 장애

 

(Unspecified Schizophrenia spectrum and other psychotic disorder)
(298.9) (F29)

 

이 범주는 사회적, 직업적, 또는 다른 중요한 기능 영역에서 임상적으로 현저한 고통이나 손상을 일으키는 조현병 스펙트럼 및 기타 정신병적 장애의 특징적인 증상들이 두드러지지만, 조현병 스펙트럼 및 기타 정신병적 장애의 진단 부류에 속한 장애 중 어느 것에도 완전한 기준을 만족하지 않는 발현 징후들에 적용된다. 명시되지 않는 조현병 스펙트럼 및 기타 정신병적 장애 범주는 기준이 특정 조현병 스펙트럼 및 기타 정신병적 장애의 기준에 맞지 않은 이유를 명시할 수 없다고 임상의가 선택한 상황들에서 사용되며, 좀 더 특정한 진단을 내리기에는 정보가 불충분한(Ex) 응급실 상황) 발현 징후들을 포함한다.

 

*모든 이미지는 구글 이미지에서 가져왔습니다.*

728x90
반응형
LIST

WRITTEN BY
케노시스
다양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
728x90
반응형
SMALL

Ch8. opiomelanocortins

 

l  melanotropic hormones

è  smith and Allen: color change control 하는 a source of a hormone 으로서의 pituitary gland

è  알파-melanocyte-stimulating hormone(MSH) or 알파-melanotropin neurointermediate lobe (pars intermedia)내에 localized 되어 있다.

è  Pars intermedia :

-      infundibulum(누두부) adenohypophysial anlage (선하수체 소질) 사이의 contact 의 결과로 develop 한다.

-      Amphibians , reptiles , and most mammals , the MSH secreting cells a well form 한다. – difined pars intermedia -> size change color 와 상호 관련이 있다.

 

l  ACTH 와 비교된 bovine 감마, 베타 , 알파-MSH amino acid sequences.

l  ACTH와 알파-MSH binsynthesis prohoromne theory

 

[Figure8.3][Figure8.4]

 

 

 

l  melatnotropins synthesis chemistry

è  알파-MSH , another MSH discovery 후에 바로 베타-MSH pituitary 로부터 isolated

è  인간에게서 , 베타-MSH ACTH 는 항상 상호관련이 있다.

è  많은 종들의 Pituitaries any known pituitary peptide 보다 더 큰 a melaonotropic peptide 를 포함했다.

è  베타-LPH (베타 lipotropic hormone) 91 A.A 를 포함한다. -> complete 베타-MSH this peptide 41~58 sequence 내에 포함되어 진다.

è  CLIP(corticotropinlike peptide) pars intermedia 에서 발견됨. 이것은 ACTH 18~39 A.A seuqnece 로 구성되어져 있다.

è  POMC(pro-opiomelanocortin) ACTH , 베타-LPH , 알파-MSH , 베타-MSH , 감마-MSH sequences 를 포함한다.

 

l  MSH secretion control

è  hypothalamus MSH release 를 넘어서 inhibitory control 도 한다.

è  Dopaminergic control:

-      hypothalamus 에 의한 MSH secretion inhibition a catecholamine 에 의해 controlled 된다. 특히 , dopamine 에 의해서 말이다. -> 이건 chloropromazine (a dopaminergic receptor antagonist) 에 의해 antagonized 된다.

-      Dopaminergic receptor agonist , ergot alkaloids in vivo and in vitro 에서 pars intermedia MSH secretion 에 대한 inhibitory .

-      Choliergic neurons synapses 에서 release of acetylcholine 에 의해 aminoergic neurons antagonize 할지도 모른다.

 

è  other neurohormones 에 의한 control :

-      TRH CRF 는 알파-MSH release 에서 stimulatory effects 를 지닌다. : 반면에 dopamine , GABA and neuropeptide Y 는 알파-MSH release inhibit 한다.

-      Nonmammalian species , serotonin MSH secretion stimulate 한다.

 

l  cells of the pars intermedia and pars distalis 에 의한 POMC m RNA synthesis differential control

l  the neuroendocrine reflex-regulating pigment dispersion

l  MSH secretion control 을 위한 model

l  MSH Physiological roles

è  skin melanin pigmentation

-      pigment cells basal layers of the epidermis 에서 발견된다.

-      Melanocyte synthesis of melanin 을 위해 tyrosine 을 사용한다.

-      Melanotropins melanocytes 내에서 melanin production 을 증강시킨다.

è  만들어진 melanosome  cell dendritic process migrate 한다.

-      hair color -> MSH steroid hormone action

-      pigment cells 내의 seasonal alterations -> environmental condition 에서 yearly change confirm 하는 animal’s ability

-      frog 에서 morphological color change ->  MSH 에 의해 controlled 된다. , melanocytes 의 수가 극적으로 변화된다.

-      Birds a pars intermedia lack 하다. -> pars distalis (anterior lobe ,전엽) MSH  를 합성하고 분비한다.

 

l  frog Rana pipiens epidermal melanin units

l  hair melanin pigmentation 상의 injected 알파-MSH effect

l  morphological color change

l  frogs epidermis 에서 melanophores photomicrograph

l  melanocortin ligands , receptors , responses

l  a melanophore index melanosome movements 를 평가하기 위해 사용된다.

l  Lizard dermal chromatophore unit

l  melanotropins other putative(추정되는) roles

è  feteal pituitary-adrenal axis :

-      a-MSH b-LPH 를 포함하는 a larger protein 으로부터 derived 되었다.

-      Endorpins POMC 내에서 b-LPH sequence 로부터 derived 되었다.

-      B-endorpin fetal life 동안 more prominent 일지도 모른다. -> parturition …. Fetus protect 한다.

-      Parturition control 하는 the chain of events 에서의 key mechanism : a-MSH production ACTH synthesis  switch 시킨다.??

è  melanotropin and behavior:

-      CNS activity 에 영향을 미친다. : arousal , increased motivation , longer attention span , memory retention , and increased learning ability

è  thermoregulation:

-      melanotropin the central control of body temperature and fever 에 포함될지도 모른다. -> a-MSH ACTH hypothermia 를 야기할 것이다.

 

l  other putative roles of melanotropins

è  pregnancy :

- MSH ACTH , angiotensin II synergy act 하면서 aldosterone , corticosterone , synthesis secretion stimulate 한다.

 - MSH tropic fetal adrenal stimulus 로 작용할지도 모른다.

- human placenta POMC-derived peptide ACTH , a-MSH , b-endorpin , CRH 를 포함한다.

    -> pregnancy 동안 maternal plasma 에서 high concentration of CRH

    -> labor 동안 high circulating b-endorpin

 

è  neuroplasticity:

-      melanorpic peptides neurotransmitter synthesis alter 한다 -> nerve system adaptational abilities improve 하기 위해 이용되는 behavioral responses 에 영향을 미친다. ??

 

l  MSH action mechanism

è  melanosome movements:

-      MSH a dendritic processes of melanophores dispersion of melanosomes 을 유도한다. -> caffeine , theophylline , (Bu)2c AMP 에 의해 mimicked 될 수 있다.

-      C AMP MSH second messenger .

-      Melanosome dispersion b-adrenergic receptors 를 통해 mediated 된다.

-      MSH action a calcium requiring process -> MSH action 을 위해 Ca2+ 에 대한 구체적인 receptor 가 쓰임?

è  Melanogenesis:

-      mouse melanocytes prostaglandin repond 하는 MSH receptors 를 지닌다. -> c AMP elevate 하기 위해 adenylate cyclase activate 시킨다. 그리고 이게 enhanced tyrosinase activity increased melanocytes 를 야기시킨다.

 

l  MSH Ca2+ 의 역할을 위한 hypothetical model

 

[Figure8.15]

 

l  melanin-concentrating hormone(MCH) primary structure

[Figure8.16]

MCH a-MSH 에 대해 antagonist 하다. : MSH 에 대한 melanosome aggregation reversible 하다.

 

l  MCH related fragment analogs primary structures

l  MCH in vitro bioassay

 

 

Ch9. calcium homeostasis hormonal control

 

l  calcium homeostasis hormonal control

è  calcium : neurophysiological functions 에서의 a key element

-      bone growth 에 중요하다

-      normal blood clotting 에 필수적이다.

-      Transmembrane cell potential 을 유지시켜 준다.

-      Cell replication 과도 관련이 있다.

 

è  three hormones 이 중요하다

-      parathyroid hormone(PTH) : circulating Ca2+ level 을 증가시켜준다.

-      Calcitonin : circulating Ca2+ level 을 줄여 준다.

-      Vitamin D : serum Ca2+ level 을 증가시킨다.

->PTH-related peptide(PTHrP) : Ca2+ homeostasis control

 

l  calcium and bone physiology

è  calcium plasma level : 10 mg/ 100ml

è  half of the calcium free ionized form 이고 절반은 albumin bound 되어 있다.

è  Three factors distribution of calcium alter 할 수 있다.

-      albumin concentration

-      acid-base disturbances

-      protein abnormalities

è  cellular process mineralization demineralization 을 포함한다.

-      osteoblasts(조골세포) : collagen 분자들을 합성하고 방출한다.

-      Calcium phosphate ions collagen matrix , hydroxyapatite bound 되어 있다.-> Ca10(PO4)6(OH)2

-      Osteoclasts(파골세포) : acid phosphatase hyaluronic acid 를 방출한다 -> p H 의 감소가 Ca2+ PO4-3 의 방출을 이끈다.??

 

 

l  parathormone

è  parathyroid glands

-      two cell types 으로 이뤄짐 : chief cells and oxyphil cells

-      chief cells PTH 를 만들어 낸다.

è  synthesis ,chemistry , metabolism

-      84 A.A 로 이뤄진 Polypeptide -> preproPTH 로부터 만들어짐

-      Human , pig , cow , and other animals primary structure determined .

è  secretion control

-      PTH 방출은 circulating level of Ca2+ 에 의해 controlled 된다.

-      Ca2+ low concentration 이 되면 PTH release 가 증가한다.

-      Ca2+sensing receptor bovine parathyroid glands 로부터 최근에 cloned. -> theophylline and c AMP PTH release stimulate 한다.

 

l  parathyorids 가 붙은 human thyroid

[figure 9.1]

 

l  parathormone comparative structures

[Figure9.2]

 

l  parathormone physiological roles

è  bone mineral metabolism

-      PTH major target tissue bone , osteoblast cells -> osteoclastic activity stimulate 하는 cytokines 을 분비한다.

è  Renal re-absorption of calcium

-      renal re-absorption of Ca2+가 증가한다.

è  renal excretion of phosphate

-      PTH urinary PO4-3 a rapid increase 를 야기시킨다.

-      Plasma Ca2+ ionization 이 증가하고 , Mg2+ absorption 이 증가한다.

è  calcium intestinal absorption : Vitamin D 에 의해 mediated 된다.

è  Vitamin D synthesis control : 1,25-dihydoxyvitamin D3 biosynthesis stimulate 한다.

è  Other possible actions of PTH : reticulocytes mitosis thymic lymphocytes mitosis 를 증가 시킨다.

 

l  parathormone related peptide(PTHrP)

è  PTHrP : PTH 에 대해 high degree N-terminal homology 를 보인다.

è  PTHrP gene wide spread expression : growth and development 에서 a paracrine and autocrine 을 제안한다.

è  In developing fetus : Ca2+ regulatory roles important possibility 로 제안되었다.

è  Rat mammary gland lactate 시킴 : high levels of PTHrP m RNA 를 보임 -> removal of pups 에 의해 감소됨

è  Large quantities of PTHrP or fragments of PTHrP milk 내에서 발견 된다.

è  PTHrP suckilng 동안 nipple the delivery of milk modulate 하는 역할을 한다.

 

l  PTH and PTHrP 1~34 region aligned sequences [Figure9.3]

l  calcitonin

è  parafollicular cells

-      C cells calcitonin 을 합성하고 분비한다.

è  synthesis , chemistry , metabolism

-      Human CT thyroid medullary carcinoma 로부터 isolated 된다.

-      CGRP(calcitonin gene related protein) nervous system 에서 발견된다. -> CT and CGRP homology

è  secretion control

-      hypercalcemic blood-> CT secretion stimulate 한다.

-      Estrogen and androgen CT secretion enhance 시킨다. -> gonadal function decrease age and sex related CT secretion 에 기여한다?

 

 

l  calcitonin physiological roles

è  bone mineral metabolism

-      CT hypercalcemia prevention 에 작용한다.

-      음식 먹는 동안 foods 로부터 calcium absorption 에 관여

-      우유로부터 absorbed Ca2+ 를 경유하여 skeletal bone mineralization 을 증강 시킨다.

-      CT 는 임신 기간 , lactation(수유) , prolonged Ca2+ deprivation 동안 skeleton 으로부터의 Ca2+ loss 를 보호한다. -> excessive demineralization 에 대항하여 maternal skeleton 을 보호해 준다.

è  a satiety hormone 으로서의 calcitonin

-      CT feeding and appetite regulation 과도 관련이 있다.

è  Vitamin D regulation

-      CT vitamin D metabolism stimulate 한다.

 

l  human calcitonin primary structure [Figure 9.4]

l  some calcitonin comparative structure [Figure9.5]

l  Vitamin D

è  vitamin D : colecalciferol , ergocalciferol -> rickets(구루병) prevent 하고 cure 한다.

è  Vitamin D metabolites target tissues 에서 their actions mediate 한다.

è  Source , synthesis , chemistry , and metabolism

-      Vitamin D3 (cholecalciferol) 7-dehydrocholesterol 로부터 UV 에 의해 human skin 에서 만들어 진다.

-      Skin 으로부터 cholecalciferol a binding protein (transcalciferol) 에 의해 transported 된다.

-      Sun 에 노출되면 , previtamin D3 lumisterol tachysterol photoisomerize 한다.

-      Rickets , a vitamin D-deficient disease the skin adequate irradiation 을 받지 않으면 develop 할지도 모른다. -> irradiated food an adequate supply of the vitamin 을 제공해 준다.

 

l  cholecalciferol(Vitamin D3) photic stimulation [Figure 9.6]

l  ergosterol ergocalciferol production [Figure9.7]

l  vitamin D biosynthesis sequential steps

l  Vitamin D metabolism regulation

è  1,25-(OH)2D3 의 생산은 low Ca2+ diets animal 내에서 stimulated 된다. 그리고 high Ca2+ diets 내에서 suppressed 된다. -> the serum Ca2+ level 1,25-(OH2)D3 를 만들어 내기 위한 animals ability 사이의 strict inverse relationship.

è  1,25-(OH)2D3 synthesis suppressed 될 때마다 24,25-(OH)2D3 synthesis stimulated 된다.

è  PTH 1,25-(OH)2D3 를 만들어 내기 위해 hupocalcemic animals ability restore 시킨다. 그리고 24,25-(OH)2D3 의 생산을 suppress 한다.

-      PTH a c AMP-mediated mechanism 을 통해 25-OH-D3 metabolism alter 한다.

è  1,25-(OH)2D3 생산을 조절하는 feedback mechanism Figure9.8 로 요약될 수 있다.

è  PTH phosphate renal excretion stimulate 한다.

 

l  vitamin D biosynthesis feedback control [Figure 9.9]

l  vitamin D physiological roles

è  intestine

-      intestine 으로부터의 calcium absorption vitamin D best-documented action 이다.

-      Vitamin D gut epithelium 을 가로질러 PO4-3 translocation 을 야기한다.

-1,25-(OH)2D3 Ca2+ entry stimulate 함으로써 intestine 내에서 trasepithelial Ca2+ transport stimulate 한다.

->  bone

- sunlight이 없는 상태이든지 , vitamin D precursors a dietary source 가 부재한 상황이면 , rickets(bone demineralization) develop 한다.

- Vitamin D 는 또한 Ca2+ possibly PO4-3 를 제공하기 위해 demineralization 을 야기시킨다.

-> kidney

- 1,25-(OH)2D3 kidney 내에서 Ca2+ tubular re-absorption stimulate 한다.

 

è  pregnancy

-      prolactin plasma transcalciferin levels a marked suppression 시킨다.

-      Androgen this protein plasma levels elevate 시킨다.

è  other putative roles

-      많은 tissues 들이 specific 1,25-(OH)2D3 receptor 를 지닌다.

-      Cell proliferation differentiation 내의 essential roles -> hematopoietic stem cells , myoblast , and dermal keratinocytes differentiation maturation

-      Soltriol(1,25-(OH)2D3) 라는 skin derived hormone of sunshine : all vital systems 에 영향을 미치는 a somatotropic activator and modulator

-      Elevated serum levels PTH release 를 감소시킨다고 알려져 있다.

->a long feedback loop : Ca2+ increased serum concentration , 이것은 PTH secretion production 을 위한 inhibitory signal 을 대표한다.

-> a short feedback loop : 1,25-(OH)2D3 PTH synthesis 를 직접적으로 inhibit 한다.

 

l  calcium homeostasis 1 hormone mechanism

è  parathormone

-      renal(신장) cortex PTH action a major site 이다. : PTH main source of information 이다. -> c AMP 를 증가 시킨다.

-      Two mechanism of actions  : 1) c AMP 2) IP3/DG pathway -> different G proteins 이 관련되어져 있다.

-      PTH in vivo 에서 bone 으로부터 Ca2+ mobilization 을 위해 vitamin D 에 의존한다.

è  calcitonin

-      cleavage of 1~7 disulfide bond considerable loss of biological activity 를 야기시킨다.

-      CT 를 위한 receptors skeletal tissue , kidney , testicular Leydig cells 내에 존재한다. -> PTH/PTHrP receptor 에 대해 homologous

-      CT receptor G proteins , GS , G i , G p coupled 되어 있을지도 모른다.

 

l  PTH 를 위한 Cell surface receptor two classes of G proteins coupled 되어 있다. [Figure 9.10]

l  calcium homeostasis 2 hormone mechanisms of action

è  PTH-related peptide

-      c DNA of PTH/PTHrP receptor seven transmembrane domain 을 지닌다. -> PTH PTHrP 에 대해 equal affinity 를 지닌다. 그리고 both ligands 는 다 adenylate cyclase stimulate 시킨다.

-      PTH/PTHrP receptor CT receptor structural similarity : novel receptors functional features 를 공유할지도 모른다.

è  vitamin D

-      steroid hormone 1,25-(OH)2D3 transcriptional and translational processes activate 시키기 위해 target tissue nuclear receptors interact 한다. -> lag period of 2 hours 는 제안하기를 induction of new proteins(CaBP) action of hormone 을 위한 prerequisite 이다.

-      1,25-(OH)2D3 a vitamin D –responsive element 를 통해 자신의 효과를 행사한다. -> DNA domain vitamin D’s induction of osteocalcin potent glucocorticoid repression control 한다.

 

l  action and general function of 1,25-(OH)2D3 mechanism [Figure9.11]

l  calcium homeostasis 1 내의 hormoneintegration

è  osteoblasts and osteoclasts obtained 되고 , PTH, CT , Vitamin D effects studied 되었다.

è  CT osteoclasts 상에서 two hormones action inhibit 한다.

è  PTH c AMP production 을 통해 its effects mediate 한다.

è  Vitamin D PTH similar cellular process activate 시킨다. 그리고 이러한 것들을 separate receptors , plasma membrane , and cytosol 을 통해 행한다.

è  PTH and Vitamin D actions osteoblasts bone-resorbing activity 를 증강시킴으로써 serum Ca2+ levels elevate 시킨다.

è  CT demineralization 없이 osteoclastic(bone-resorbing) activity inhibiting 함으로써 its serum Ca2+ lowering effects mediate 한다.

è  PTH CT bone 에서 c AMP production 을 증가시킨다. -> PTH effect osteoblasts 에서 발생하고 , CT effect osteoclasts 에서 발생한다.

l  calcium homeostasis 2 상의 hormone integration

è  CT osteoclast acitivity morphology altering 함으로써 bone resoprtion inhibit 한다.

è  Osteoblast PTH action 을 위한 main target cell 이다.

è  PTH or Vitamin D or cytokines (IL-1,TNF) 의 영향 아래에서 : osteoclasts factor(IL-6) inducing 하는 one or more osteoclast differentiation 을 분비한다.

è  Acidic condition 아래에서 : osteocyte matrix protein proteolysis -> Ca2+ PO4-3 release

è  Calcitonin osteoclastogenesis osteoclastic activity inhibitory . -> bone demineralization 을 막는 역할을 한다.

è  Estrogens(E2) cytokine release inhibitory . E2 는 또한 IL-1 TNF release 에 대한 inhibitory .

è  Postmenopause woman , absence of estrogen : osteoblast 에 의한 cytokine 의 분비가 증가된다. 그래서 osteoclatic activity 가 증가된다. -> osteoporosis 가 유발된다.

 

l  bone mineralization demineralization control 하는 hormones role에 대한 generalized model [Figure 9.12]

l  intracellular calcium hormonal regulation [Figure9.13]

l  calmodulin actions mechanisms [Figure 9.14]

l  pathophysiology

è  hypoparathyroidism

-      hypoparathyroid patients hypocalcemia 를 나타낸다. -> 1,25-(OH)2D3 partial deficiency

-      hyperphosphatemia PTH deficiency 로부터 초래되는데 , 이것은 1,25-(OH)2D3 production suppress 한다.

è  hyperparathyroidism

-      severe hypercalcalcemia 를 지닌다. 그리고 elevated plasma 1,25-(OH)2D3 를 지닌다.

-      Secondary hyperthyroidism a chronic renal failure 였다.

-      Retention of phosphate serum Ca2+ levels depresses 시킨다. 그리고 1,25-(OH)2D3 synthesis 를 줄인다. -> intestinal Ca2+ absorption 을 손상 시킨다.

-      Ca2+ sensing receptor structure cloned 되었다. -> familial hypocalciuric hypercalcemia and neonatal severe hyperparathyroidism

è  Malignant(악성의) hypercalcemia

-      tumor 에 의해 Ca2+ metabolism alter 된다. -> hypercalcemia가 야기된다.

-      A tumor-secreting peptide structure determined 되었다. -> PTH 보다 more potent 하다.

 

l  predicted BoPCaR1 Ca2+ -sensing receptor protein 을 위한 proposed structural model

l  pathophysiology

è  osteomalacia

-      성인의 bone 에서 normal mineralization 에 실패 -> vitamin D-resistant

-      Sunlight 에 대한 inadequate exposure , or Ca2+ intestinal malabsoprtion -> familial or acquired renal-tubular phosphate wasting

è  paget’s disease

-      focal disorder excessive number of osteoclasts -> weakend bone tissue

-      calcitonin a pain suppressant . Natural opiate , b-endorpin 의 분비를 stimulating 하면서 말이다.

-      CT bone resoprtion inhibit 하고 , pain relieve 시킨다. -> bone disease 에서 사용된다.

-      Sales of CT : 10억 달러 , insulin 이후에 second 으로 ranking이 매겨짐.

 

l  I PTH 를 위한 immunoradiometric assay[Figure9.16]

l  An RIA 에 의해 측정되는 intact I PTH [Figure 9.17]

l  Osteoporosis

è  Type I (postmenopausal) osteoporosis

-      average women bone mass 30~50% 를 잃을 것이다.

-      65세 때 , the incidence of spine and hip fracture 는 거의 지수 배로 rises 한다.

-      Gonadal steroids 가 감소한다. : estrogen usage postmenopausal fractures risk 를 낮춘다.

-      CT  deficiency 의 결과와 관련이 있다. -> CT 단독으로 그리고 1,25-(OH)2D3 와 함께도 bone mineral content 를 증강시키는데 효과적이다.

è  type II (senile) osteoporosis

-      나이 든 사람에서 , 1,25-(OH)2D3 분비가 감소한다. 또한 PTH plasma level 도 감소한다. : sunlight vitamin D fortified milk 가 필요해 진다.

 

l  VDR 에서 Natural mutations [Figure 9.16]

l  Pharmacology

è  vitamin D preparation

-      1,25-(OH)2D3 oral administration -> vitamin deficient patients 에게 효과적이다. 그러나 hyperglycemia 를 일으킬지도 모른다.

-      Novel alternative method : phototherapy 와 결합시켜서 1,25-(OH)2-7-dehydrocholesterol 을 사용하는 거다. -> prolonged release and sustained stimulation of interstitial Ca2+ absorption

è  dietary calcium osteoporosis

-      성인 때 Ca2+ intake osteoporosis 와 관련이 없을 지도 모른다.

-      Ca2+ high concentration intake kidney stone 를 일으킬지도 모른다. 그리고 Ca2+ supplements vitamin D production cut off 할지도 모른다.

 

Ch10. gastrointestinal hormones

 

l  gastrointestinal hormone

è  gut : many hormones source

è  gastrointestinal mucosa : largest endocrine organ

è  secretin : small intestine epithelium 으로부터 released 된다.

è  GI peptides : gastrin , secretin , cholecystokinin(CCK) , gastric inhibitory peptide(GIP)

è  GI hormones :

-      food product digestion and movement

-      enzymes activity enhance 시킨다. -> p H optimization

-      food substrates molecular form 으로 conversion 시키는 걸 용이하게 해 준다. -> bloodstream 으로의 access gain 하게 된다.

 

l  gastrointestinal tract structure and function

è  GI tract : peristaltic contractions -> neurons 에 의해 controlled 된다.

è  Pancreas : islet of Langerhans -> carbohydrate metabolism , insulin , glucagon control 에 중요하다.

è  Gallbladder : reservoir of bile salts -> fats emulsification 에 필수적이다.

è  Mouth: saliva 내에 존재하는 a-amylase

è  Stomach : protein digestion 을 시작한다 -> chief cell 에서 방출되는 pepsin

è  Small intestine : trypsin , chymotrypsin , carboxypeptidase pancreas 로부터 방출된다. -> smaller peptides free amino acids split 시킨다.

 

l  gastrointestinal hormones source and chemistry

è  hormone gastrin family

-      gastrin and CCK C-terminal A.A sequences identical 하다.

-      C-terminal tetrapeptide minimal active fragment . -> pentagastrin full agonistic activity 를 지니는데 이게 clinical study 에서 이용된다.

è  hormone secretin family

-      glucagon structure 가 유사하다

-      GIP VIP 는 공통적인 many amino acids 를 지닌다.

-      GLP-1 other hormones , insulin secretion 을 함께 regulate 한다.

è  other candidate hormone:

- motilin , somatostatin , substance P , neurotensin , gastrin-releasing peptides

 

 

l  human G-17 gastrin CCK A.A sequences [Figure10.1]

l  pentagastrin structure [Figure10.2]

l  human gastrin iosforms A.A sequences [Table 10.1]

l  the secretion family porcine peptides A.A sequences [Figure 10.3]

l  the gut candidate hormones [Table 10.2]

l  gastrointestinal hormones physiological roles -1-

è  GI major role : food degrade 하기 위해 필수적인 enzymes stimulate 하고 secrete 한다.

è  Structure 가 유사하다 : overlapping actions exhibit 한다.

è  Nutrient receptors hormone surface-secreting cells- 에 존재한다.-> GI tract lumen communicate 한다.

è  Gastrin :

-      gastric acid secretion control 한다. -> food primary stimulus.

-      Stomach 내의 HCl pepsinogen secretion stimulate 한다.

-      Gastrin 을 위해 the known targets -> histamine releasing ECL(enterochromaffin like) cells , and acid secreting parietal cells

 

l  enteroendocrine cells possible actions [Figure 10.4]

l  gastric acid secretion neuroendocrine integration [Figure10.5]

l  gastrointestinal hormones physiological roles -2-

è  secretin :

-      secretion 을 방출하는 것은 p H dependent 하다.

-      Pancreas 에서 HCO3- duodenum 으로 분비하는 걸 stimulate 한다. -> HCO3- stomach 으로부터 H+ neutralize 시킨다.

-      Pancreatic bicarbonate secretion stimulate 하고 , CCK potentiate 한다.

è  Cholecystokinin(CCK):

-      contraction 을 야기시키고 , gallbladder emptying 시킨다.

-      CCK Carboxyterminal five A.A gastrin 의 그것과 identical 하다

-      Pancreatic enzyme secretion stimulate 한다.

-      Intestine 에 의한 nutrient absorption digestion 을 위한 optimal conditions ensure 한다.

-      Satiety hormone 으로 기능한다.

 

l  small intestine homeostatic closed-loop endocrine mechanism[Figure10.6]

l  정상 사람과 , bulimia(대식증) 을 지닌 환자에 대한 CCK responses

l  Gastrointestinal hormones physiological roles -3-

è  gastric inhibitory peptide (GIP) :

-      gastric-acid secretion 에서 inhibitory effects

-      insulin release potentiate 한다. -> glucose-dependent insulinotropic peptide

-      pancreatic water electrolyte secretion a potent stimulator

è  vasoactive intestinal peptide (VIP):

-      a variety of smooth muscles relax 시키고 , effects of  smooth muscle constrictor agents antagonize 한다.

-      Histamine and pentagastrin-stimulated gastric acid secretion inhibit 한다.?

-      Lipolysis , glycogenolysis , insulin secretion stimulate 한다.

-      GI tract 에서 neurocrine or paracrine mechanism 에 의해 act 하는 neurohormone

 

l  rat small intestine 에서 immunoreactive VIP nerve plexus[Figure10.8]

l  gastrointestinal hormones physiological roles -4-

è  substance P (SP) :

-      11 A.A 으로 구성된 peptide -> brain gut 에서 처음으로 발견된 neuropeptide

-      Tachykinins (neurokinin A , neurokinin B)이라는 family 의 한 member .

-      SP arterial blood pressure 를 낮춘다. -> most potent vasodilators

è  somatostatin:

-      GH releasing-inhibiting hormone -> GI mucosa D cell 내에 localized

è  Gastrin-releasing peptide(GRP):

-      mammalian brain GI tract localized -> bombesin 과 유사하다.

è  Motilin:

-      gastric motor activity stimulate 한다. -> chime small intestine 으로 emptying 시킴

-      밥 먹은 후에 2h cycles 로 일어나는 contraction regulate 한다 -> intestine empty 시킨다.

 

l  somatostatin schematic drawing [Figure 10.9]

l  bombesin GRP primary structure

l  action gastrointestinal hormone mechanisms

è  gastric acid secretion :

-      gasatric acid secretion regulation : hormonal and neurohormonal factors 사이의 complex interactions

-      most secretory process c AMP 에 의해 regulated 된다.

-      Acetycholine histamine 은 또한 HCl secretion stimulator .

è  exocrine pancreatic secretion:

- pancreatic acinar cells two distinct classes of receptors 를 지닌다.

    -> 1) secretin(VIP) pancreatic c AMP levels elevate 시키고 , amylase secretion stimulate 시킨다.   2) CCK Ca2+ mobilization 에 의해 pancreatic amylase secretion stimulate 한다.

->  GI hormones tropic actions:

    - GI mucosa several peptides tropic effects sensitive 하다. -> gastrin entire length of the gut 과 함께 RNA, DNA , protein synthesis stimulate 한다.

 

l  human b-urogastrone A.A sequences [Figure 10.11]

l  gastrin , ECL , parietal , somatostatin cells interaction [Figure 10.12]

l  CCK secretin synergistic actions 을 위한 hypothetical model [Figure 10.13]

l  GI function control [Figure 10.14]

l  GI hormones physiological roles or effects [Table 10.3]

l  Peptides CCK-gastrin family [Figure 10.15]

l  Cionin structure [Figure 10.16]

l  Peptide related substance P primary structure [Figure 10.17]

l  A female frog stomach 내에서 tadpole 이 자라는 걸 보호하는 prostaglandin roles [Figure 10.18]

 

 

* 모든 이미지는 구글 이미지에서 가져왔습니다.*

728x90
반응형
LIST

WRITTEN BY
케노시스
다양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
728x90
반응형
SMALL

자신의 아이가 학교 진도를 제대로 따라가지 못하고 있거나, 학교 수업에 집중하지 못하고 있다면? 그리고, 또래 친구들과의 어울림 속에서 사회 기술 능력이 떨어져 보이고 문제 해결 능력이 저조해 보인다면?

우리는 경도의 지적장애부터 시작해서 ADHD 등의 많은 증상들을 모르고 지나쳤다가 뒤늦게서야 자녀들의 문제점을 발견하고 후회하는 가정들을 주변에서 종종 보곤 합니다.

신경발달장애의 진단 기준 전반에 대해서는 분명하게 알아둘 필요가 있으며 자세한 지적장애 판정 참고 표는 DSM-5

공식 자료집을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신경발달장애(Neurodevelopmental Disorders)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지적장애(Intellectual Disabilities)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지적장애(지적발달장애)

 

(Intellectual Disabilities)[Intellectual Developmental Disorder]
진단기준

 

지적장애(지적발달장애)는 발달 시기에 시작되며, 개념, 사회, 실행 영역에서 지적 기능과 적응 기능 모두에 결함이 있는 상태를 말한다. 다음의 3가지 진단기준을 충족해야 한다.

 

A.   임상적 평가와 개별적으로 실시된 표준화된 지능 검사로 확인된 지적 기능(추론, 문제 해결, 계획, 추상적 사고, 판단, 팍업, 경험 학습)의 결함이 있다

 

B.    적응 기능의 결함으로 인해 독립성과 사회적 책임 의식에 필요한 발달학적, 사회문화적 표준을 충족하지 못한다. 지속적인 지원 없이는 적응 결함으로 인해 다양한 환경(가정, 학교, 일터, 공동체)에서 한 가지 이상의 일상 활동(의사소통, 사회적 참여, 독립적 생활) 기능에 제한을 받는다.

 

C.    지적 결함과 적응 기능의 결함은 발달 시기 동안에 시작된다.

 

주의점: 지적장애라는 진단명은 ICD-11의 지적발달장애와 동의어다. 이 편람에서는 지적장애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지만, 다른 진단 체계와의 연관성을 명확히 하고자 제목에는 가지 용어 모두 기재하였다. 더욱이 미연방 법령(공법 111-256, 로사법)에서 정신지체라는 용어 대신 지적장애라는 용어를 사용하기로 결정하였고, 학술지에서도 지적장애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이 지적장애라는 용어는 의학, 교육 및 기타 전문직 뿐 아니라 일반 시민과 시민 단체에서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현재의 심각도를 명시할 것. (1을 참조하시오)
317(F70)
경도

 

381.0(F71) 중등도

 

381.1(F72) 고도

 

381.2(F73) 최고도

 

<1> 지적장애(지적발달장애)의 심각도 수준

 

 

 

 

 

 

 

 

 

 

전반적 발달지연(Global Developmental Delay)

 

315.8 (F88)

 

이 진단은 5세 이하의 아동에서 임상적 심각도 수준을 확실하게 평가할 수 없을 때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이 범주는 개인이 지적 기능의 여러 영역에서 기대되는 발달이정표에 도달하지 못할 때 진단하게 되며, 연령이 너무 어려서 지적 기능을 체계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표준화된 검사를 시행할 수 없는 개인에게 적용할 수 있다. 이 범주를 적용한 뒤에는 일정 기간이 지난 후 재평가가 요구된다.

 

  

 

명시되지 않는 지적장애(지적발달장애)

 

(Unspecified Intellectual Disability)[intellectual Developmental Disorder]
319 (F79)

 

이 범주는 5세 이상의 개인이 부수적인 감각 또는 신체적 손상(EX) 실명 또는 언어 습득 이전의 난청, 운동 능력 장애, 심각한 문제 행동이 있거나 동반된 정신질환이 있는 경우)로 인해 현재 사용 가능한 절차로 지적장애(지적발달장애)의 정도를 평가하는 것이 어렵거나 불가능한 경우를 진단하기 위한 것이다. 이 범주는 예외적인 상황에서만 사용해야 하며, 일정 기간이 지난 후에 재평가가 요구된다.

 

 

 

 

 

 

 

 

 

의사소통장애(Communication Disorders)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언어장애(Language Disorder)

 

진단기준 315.32(F80.2)

 

A.   언어에 대한 이해와 생성의 결함으로 인해 언어 양식(, , , 수화 또는 기타)의 습득과 사용에 지속적인 어려움이 있으며, 다음 항목들을 포함한다.

 

1.    어휘(단어에 대한 지식과 사용) 감소

 

2.    문장 구조(문법이나 형태론적 법칙을 기초로 단어와 어미를 배치하여 문장을 만드는 능력)의 제한

 

3.    담화 (주제나 일련의 사건을 설명하거나 기술하고 대화를 나누기 위해 어휘를 사용하고 문장을 연결하는 능력)의 손상

 

B.    언어 능력이 연령에 기대되는 수준보다 그리고 정량적으로 낮으며, 이로 인해 개별적으로나 어떤 조합에서나 효율적인 의사소통, 사회적 참여, 학업적 성취 또는 직업적 수행의 기능적 제한을 야기한다.

 

C.    증상의 발병은 초기 발달 시기에 시작된다.

 

D.   이러한 어려움은 청력이나 다른 감각손상, 운동 기능이상 또는 다른 의학적, 신경학적 조건에 기인한 것이 아니며, 지적장애(지적발달장애)나 전반적 발달지연으로 더 잘 설명되지 않는다.

 

 

 

 

 

 

 

 

 

말소리 장애(Speech Sound Disorder)

 

진단기준 (315.39)(F80.0)

 

A.   말 소리 내기에 지속적인 어려움이 있고, 이는 언어 명료도를 방해하거나 전달적인 언어적 의사소통을 막는다.

 

B.    장애가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제한하여, 사회적 참여, 학업적 성취, 또는 직업적 수행을 각각 혹은 조합해서 방해한다.

 

C.    증상의 발병은 초기 발달 시기에 시작된다.

 

D.   이러한 어려움은 뇌성마비, 구개열, 청력 소실, 외상성 뇌손상이나 다른 의학적 또는 신경학적 조건과 같은 선천적 혹은 후천적 조건으로 인한 것이 아니다.

 

 

 

 

 

 

 

 

 

 

 

 

 

 

 

 

 

아동기 발병 유창성장애(말더듬)
(Childhood-Onset Fluency Disorder) (Stuttering)

진단기준 (315.35)(F80.81)
A.
말의 정상적인 유창성과 말 속도 양상의 장애로서 이는 연령이나 언어 기술에 비해 부적절하며, 오랜 기간 지속된다. 다음 중 한 가지 이상이 자주, 뚜렷하게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다.

 

1.    음과 음절의 반복

 

2.    자음과 모음을 길게 소리 내기

 

3.    단어의 깨어짐(EX) 한 단어 내에서 머뭇거림)

 

4.    소리를 동반하거나 동반하지 않는 말 막힘(말의 중단 사이가 채워지거나 채워지지 않음)

 

5.    돌려 말하기(문제 있는 단어를 피하기 위한 단어 대치)

 

6.    과도하게 힘주어 단어 말하기

 

7.    단음절 단어의 반복(Ex) “---나는 그를 본다.”)

 

B. 개별적으로나 복합적으로 장애는 말하기에 대한 불안 혹은 효과적인 의사소통, 사회적 참여, 또는 학업적, 직업적 수행의 제한을 야기한다.

 

C. 발병은 초기 발달 시기에 시작된다. (주의점: 늦은 발병의 경우 307.0[F98.5] 성인기 발병 유창성장애로 진단한다.)

 

D. 장애는 언어-운동 결함 또는 감각 결함, 신경학적 손상(Ex) 뇌졸중, 종양, 외상)에 의한 비유창성, 또는 다른 의학적 상태로 인한 것이 아니며, 다른 정신질환으로 더 잘 설명되지 않는다.

 

 

 

 

 

사회적(실용적) 의사소통장애

 

(Social[Pragmatic] Communication Disorder)

 

진단기준 (315.39)(F80.89)

 

A.   언어적,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사회적인 사용에 있어서 지속적인 어려움이 있고, 다음과 같은 양상이 모두 나타난다.

 

1.    사회적 맥락에 적절한 방식으로 인사 나누기나 정보 공유 같은 사회적 목적의 의사소통을 하는 데 있어서의 결함

 

2.    교실과 운동장에서 각기 다른 방식으로 말하기, 아동과 성인에게 각기 다른 방식으로 말하기, 그리고 매우 형식적인 언어의 사용을 피하는 것과 같이 맥락이나 듣는 사람의 요구에 맞추어 의사소통 방법을 바꾸는 능력에 있어서의 손상

 

3.    자기 순서에 대화하기, 알아듣지 못했을 때 좀 더 쉬운 말로 바꾸어 말하기, 상호작용을 조절하기 위해 언어적, 비언어적 신호를 사용하기와 같이 대화를 주고 받는 규칙을 따르는 데 있어서의 어려움

 

4.    무엇이 명시적 기술이 아닌지(Ex) 추측하기), 언어의 비문자적 또는 애매모호한 의미(Ex) 관용구, 유머, 은유, 해석 시 문맥에 따른 다중적 의미)가 무엇인지를 이해하는 데 있어서의 어려움

 

B.    개별적으로나 복합적으로 결함이 효과적인 의사소통, 사회적 참여, 사회적 관계, 학업적 성취 또는 직업적 수행의 기능적 제한을 야기한다.

 

C.    증상의 발병은 초기 발달 시기에 나타난다.(그러나 결함은 사회적 의사소통 요구가 제한된 능력을 넘어설 때  까지는 완전히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

 

D.   증상은 다른 의학적 또는 신경학적 상태나 부족한 단어 구조 영역과 문법 능력에 기인한 것이 아니며, 자폐스펙트럼장애, 지적장애(지적발달장애), 전반적 발달지연, 또는 다른 정신질환으로 더 잘 설명되지 않는다.

 

  

 

 

 

명시되지 않는 의사소통장애

 

(Unspecified Communication Disorder)

 

307.9 (F80.9)

 

이 범주는 사회적, 직업적, 또는 다른 중요한 기능 영역에서 임상적으로 현저한 고통이나 손상을 일으키는 의사소통장애의 특징적인 증상들이 두드러지지만, 의사소통장애 또는 신경발달장애 진단 부류에 속한 장애 중 어느 것에도 완전한 기준을 만족하지 않는 발현 징후들에 적용된다. 명시되지 않는 의사소통장애 범주는 기준이 의사소통장애 또는 특정 신경발달장애의 기준에 맞지 않은 이유를 명시할 수 없다고 임상의가 선택한 상황들에서 사용되며, 좀 더 특정한 진단을 내리기에는 정보가 불충분한 발현 징후들을 포함한다.

 

 

 

 

 

 

 

 

자폐스펙트럼장애(Autism Spectrum Disorder)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자폐스펙트럼장애(Autism Spectrum Disorder)
진단기준 (299.00)(F84.0)
A.
다양한 분야에 걸쳐 나타나는 사회적 의사소통 및 사회적 상호작용의 지속적인 결함으로 현재 또는 과거력 상 다음과 같은 특징으로 나타난다.(예시들은 실례이며 증상을 총망라한 것이 아님, 본문을 참조하시오)

 

1.    사회적-감정적 상호성의 결함(Ex) 비정상적인 사회적 접근과 정상적인 대화의 실패, 흥미나 감정 공유의 감소, 사회적 상호작용의 시작 및 반응의 실패)

 

2.    사회적 상호작용을 위한 비언어적인 의사소통 행동의 결함(Ex) 언어적,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불완전한 통합, 비정상적인 눈 맞춤과 몸짓 언어, 몸짓의 이해와 사용의 결함, 얼굴 표정과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전반적 결핍)

 

3.    관계 발전, 유지 및 관계에 대한 이해의 결함(Ex) 다양한 사회적 상황에 적합한 적응적 행동의 어려움, 상상 놀이를 공유하거나 친구 사귀기가 어려움, 동료들에 대한 관심 결여)

 

 

 

현재의 심각도를 명시할 것:
심각도는 사회적 의사소통 손상과 제한적이고 반복적인 행동 양상에 기초하여 평가한다. (2를 참조하시오.)

 

B. 제한적이고 반복적인 행동이나 흥미, 활동이 현재 또는 과거력상 다음 항목들 가운데 적어도 2가지 이상 나타난다 (예시들은 실례이며 증상을 총망라한 것이 아님. 본문을 참조하시오.)

 

1. 상동증적이거나 반복적인 운동성 동작, 물건 사용 또는 말하기 (Ex) 단순 운동 상동증, 장난감 정렬하기, 또는 물체 튕기기, 반향어, 특이한 문구 사용)

 

2. 동일성에 대한 고집, 일상적인 것에 대한 융통성 없는 집착, 또는 의례적인 언어나 비언어적 행동 양상 (Ex) 작은 변화에 대한 극심한 고통, 변화의 어려움, 완고한 사고방식, 의례적인 인사, 같은 길로만 다니기, 매일 같은 음식 먹기)

 

3. 강도나 초점에 있어서 비정상적으로 극도로 제한되고 고정된 흥미(Ex) 특이한 물체에 대한 강한 애착 또는 집착, 과도하게 국한되거나 고집스러운 흥미)

 

4. 감각 정보에 대한 과잉 또는 과소 반응, 또는 환경의 감각 영역에 대한 특이한 관심(Ex) 통증/온도에 대한 명백한 무관심, 특정 소리나 감촉에 대한 부정적 반응, 과도한 냄새 맡기 또는 물체 만지기, 빛이나 움직임에 대한 시각적 매료)

 

 

 

현재의 심각도를 명시할 것:

 

   심각도는 사회적 의사소통 손상과 제한적이고 반복적인 행동 양상에 기초하여 팡가한다. (2를 참조하시오)

 

C.증상은 반드시 초기 발달 시기부터 나타나야 한다. (그러나 사회적 요구가 개인의 제한된 능력을 넘어서기 전까지는 증상이 완전히 나타나지 않을 수 있고, 나중에는 학습된 전략에 의해 증상이 감춰질 수 있다.)

 

D. 이러한 증상은 사회적, 직업적 또는 다른 중요한 현재의 기능 영역에서 임상적으로 뚜렷한 손상을 초래한다.

 

E. 이러한 장애는 지적장애(지적발달장애) 또는 전반적 발달지연으로 더 잘 설명되지 않는다. 지적장애와 자폐스펙트럼장애는 자주 동반된다. 자폐스펙트럼장애와 지적장애를 함께 진단하기 위해서는 사회적 의사소통이 전반적인 발달 수준에 기대되는 것보다 저하되어야 한다.

 

 

 

주의점: DSM-4의 진단기준 상 자폐성장애, 아스퍼거 장애 또는 달리 분류되지 않는 광범위성 발달장애로 진단된 경우에서는 자폐스펙트럼장애의 진단이 내려져야 한다. 사회적 의사소통에 뚜렷한 결함이 있으나 자폐스펙트럼장애의 다른 진단 항목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에는 사회적(실용적) 의사소통장애로 평가해야 한다.

 

 

 

다음의 경우 명시할 것:

 

지적 손상을 동반하는 경우 또는 동반하지 않는 경우

 

언어 손상을 동반하는 경우 또는 동반하지 않는 경우

 

알려진 의학적, 유전적 상태 또는 환경적 요인과 연관된 경우

 

(부호화 시 주의점: 관련된 의학적 또는 유전적 상태를 식별하기 위해 추가적인 부호를 사용하시오)
다른 신경발달, 정신 또는 행동 장애와 연관된 경우

 

(부호화 시 주의점: 관련된 신경발달, 정신 또는 행동 장애를 식별하기 위해 추가적인 부호를 사용하시오)

 

긴장증 동반(정의에 대해서는 다른 정신질환과 관련이 있는 긴장증의 기준을 참조하시오) (부호화 시 주의점: 공존 긴장증이 있는 경우에는 자폐스펙트럼장애와 관련이 있는 긴장증에 대한 추가적인 부호 293.89[F06.1]을 사용할 것)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진단기준

 

A.   기능 또는 발달을 저해하는 지속적인 부주의 및 과잉행동-충동성이 (1) 그리고/또는 (2)의 특징을 갖는다.

 

1.    부주의: 다음 9개 증상 가운데 6개 이상이 적어도 6개월 동안 발달 수준에 적합하지 않고 사회적, 학업적/직업적 활동에 직접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정도로 지속됨.

 

주의점: 이러한 증상은 단지 반항적 행동, 적대감 또는 과제나 지시 이해의 실패로 인한 양상이 아니어야 한다. 후기 청소년이나 성인(17세 이상)의 경우에는 적어도 5가지의 증상을 만족해야 한다.

 

a.    종종 세부적인 면에 대해 면밀한 주의를 기울이지 못하거나, 학업, 작업 또는 다른 활동에서 부주의한 실수를 저지름(ex. 세부적인 것을 못 보고 넘어가거나 놓침, 작업이 부정확함)

 

b.    종종 과제를 하거나 놀이를 할 때 지속적으로 주의집중을 할 수 없음(ex. 강의, 대화 또는 긴 글을 읽을 때 계속해서 집중하기 어려움)

 

c.    종종 다른 사람이 직접 말을 할 때 경청하지 않는 것처럼 보임(ex. 명백하게 주의집중을 방해하는 것이 없는데도 마음이 다른 곳에 있는 것처럼 보임)

 

d.    종종 지시를 완수하지 못하고, 학업, 잡일 또는 작업장에서의 임무를 수행하지 못함(ex. 과제를 시작하지만 빨리 주의를 잃고 쉽게 곁길로 샘)

 

e.    종종 과제와 활동을 체계화하는 데 어려움이 있음(ex. 순차적인 과제를 처리하는 데 어려움, 물건이나 소지품을 정리하는 데 어려움, 지저분하고 체계적이지 못한 작업, 시간 관리를 잘 하지 못함, 마감 시간을 맞추지 못함)

 

f.     종종 지속적인 정신적 노력을 요구하는 과제에 참여하기를 기피하고, 싫어하거나 저항함(ex. 학업 또는 숙제, 후기 청소년이나 성인의 경우에는 보고서 준비하기, 서류 작성하기, 긴 서류 검토하기)

 

g.    과제나 활동에 꼭 필요한 물건들(ex. 학습 과제, 연필, , 도구, 지갑, 열쇠, 서류 작업, 안경, 휴대폰)을 자주 잃어버림

 

h.    종종 외부 자극(후기 청소년과 성인의 경우에는 관련이 없는 생각들이 포함될 수 있음)에 의해 쉽게 산만해짐

 

i.      종종 일상적인 활동을 잊어버림(ex. 잡일하기, 심부름하기, 후기 청소년과 성인의 경우에는 전화 회답하기, 청구서 지불하기, 약속 지키기)

 

 

 

2.    과잉행동-충동성: 다음 9개 증상 가운데 6개 이상이 적어도 6개월 동안 발달 수준에 적합하지 않고 사회적, 학업적/직업적 활동에 직접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정도로 지속됨.

 

주의점: 이러한 증상은 단지 반항적 행동, 적대감 또는 과제나 지시 이해의 실패로 인한 양상이 아니어야 한다. 후기 청소년이나 성인(17세 이상)의 경우, 적어도 5가지의 증상을 만족해야 한다.

 

a.    종종 손발을 만지작거리며 가만두지 못하거나 의자에 앉아서도 몸을 꿈틀거림.

 

b.    종종 앉아 있도록 요구되는 교실이나 다른 상황에서 자리를 떠남(ex. 교실이나 사무실 또는 다른 업무 현장, 또는 자리를 지키는 게 요구되는 상황에서 자리를 이탈)

 

c.    종종 부적절하게 지나치게 뛰어다니거나 기어오름(주의점: 청소년 또는 성인에서는 주관적으로 좌불안석을 경험하는 것에 국한될 수 있다.)

 

d.    종종 조용히 여가 활동에 참여하거나 놀지 못함

 

e.    종종 끊임없이 활동하거나마치 태엽 풀린 자동차처럼행동함(ex. 음식점이나 회의실에 장시간 동안 가만히 있을 수 없거나 불편해함, 다른 사람에게 가만히 있지 못하는 것처럼 보이거나 가만히 있기가 어려워 보일 수 있음)

 

f.     종종 지나치게 수다스럽게 말함

 

g.    종종 질문이 끝나기 전에 성급하게 대답함 (ex. 다른 사람의 말을 가로챔. 대화 시 자신의 차례를 기다리지 못함)

 

h.    종종 자신의 차례를 기다리지 못함(ex) 줄 서 있는 동안)

 

i.      종종 다른 사람의 활동을 방해하거나 침해함(ex) 대화나 게임, 활동에 참견함, 다른 사람에게 묻거나 허락을 받지 않고 다른 사람의 물건을 사용하기도 함, 청소년이나 성인의 경우 다른 사람이 하는 일을 침해하거나 꿰찰 수 있음)

 

B.    몇 가지의 부주의 또는 과잉행동-충동성 증상이 12세 이전에 나타난다.

 

C.    몇 가지의 부주의 또는 과잉행동-충동성 증상이 2가지 또는 그 이상의 환경에서 존재한다. (Ex) 가정, 학교나 직장, 친구들 또는 친척들과의 관계, 다른 활동에서)

 

D.   증상이 사회적, 학업적 또는 직업적 기능의 질을 방해하거나 감소시킨다는 명확한 증거가 있다.

 

E.    증상이 조현병 또는 기타 정신병적 장애의 경과 중에만 발생되지는 않으며, 다른 정신질환(ex. 기분장애, 불안장애, 해리장애, 성격장애, 물질 중독 또는 금단)으로 더 잘 설명되지 않는다.

 

 

 

다음 중 하나를 명시할 것:

 

314.01(F90.2) 복합형: 지난 6개월 동안 진단기준 A1(부주의)과 진단기준 A2(과잉행동-충동성)를 모두 충족한다.

 

3014.00(F90.0) 주의력결핍 우세형: 지난 6개월 동안 진단기준 A1(부주의)은 충족하지만 A2(과잉행동-충동성)는 충족하지 않는다.

 

314.01(F90.1) 과잉행동/충동 우세형: 지난 6개월 동안 진단기준 A2(과잉행동-충동성)는 충족하지만 A1(부주의)은 충족하지 않는다.

 

 

 

다음의 경우 명시할 것:

 

 부분 관해 상태: 과거에 완전한 진단기준을 충족하였고, 지난 6개월 동안에는 완전한 진단기준을 충족하지는 않지만 여전히 증상이 사회적, 학업적 또는 직업적 기능에 손상을 일으키는 상태다.

 

 

 

현재의 심각도를 명시할 것:

 

경도: 현재 진단을 충족하는 수준을 초과하는 증상은 거의 없으며, 증상으로 인한 사회적, 학업적 또는 직업적 기능의 손상은 경미한 수준을 넘지 않는다.

 

중등도: 증상 또는 기능적 손상이 경도고도사이에 있다.

 

고도: 진단을 충족하는 수준을 초과하는 다양한 증상 또는 특히 심각한 몇 가지 증상이 있다. 혹은 증상이 사회적 또는 직업적 기능에 뚜렷한 손상을 야기한다.

 

 

 

달리 명시된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Other Specified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314.01 (F90.8)

 

이 범주는 사회적, 직업적 또는 다른 중요한 기능 영역에서 임상적으로 현저한 고통이나 손상을 일으키는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의 특징적인 증상들이 두드러지지만,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또는 신경발달장애의 진단 부류에 속한 장애 중 어느 것에도 완전한 기준을 만족하지 않는 발현 징후들에 적용된다. 달리 명시된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범주는 발현 징후가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또는 어떤 특정 신경발달장애의 기준에 맞지 않은 특정한 이유에 대해 교감하기 위해 임상의가 선택한 상황들에서 사용된다. 이는 달리 명시된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를 기록하고, 이어서 특정한 이유(Ex) ‘불충분한 부주의 증상이 있는 경우’)를 기록한다.

 

  

 

명시되지 않는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Unspecified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314.01[F90.9]

 

이 범주는 사회적, 직업적 또는 다른 중요한 기능 영역에서 임상적으로 현저한 고통이나 손상을 일으키는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의 특징적인 증상들이 두드러지지만,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또는 신경발달장애 진단 부류에 속한 장애 중 어느 것에도 완전한 기준을 만족하지 않는 발현 징후들에 적용된다. 명시되지 않는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범주는 기준이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또는 특정 신경발달장애의 기준에 맞지 않은 이유를 명시할 수 없다고 임상의가 선택한 상황들에서 사용되며, 좀 더 특정한 진단을 내리기에는 정보가 불충분한 발현 징후들을 포함한다.

 

 

 

 

 

  

 

특정학습장애

 

(Specific Learning Disorder)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특정학습장애(Specific Learning Disorder)
진단기준

 

A.   학습 기술을 배우고 사용하는 데 있어서의 어려움. 이러한 어려움에 대한 적절한 개입을 제공함에도 불구하고 아래에 열거된 증상 중 적어도 한 가지 이상이 최소 6개월 이상 지속된다.

 

1.    부정확하거나 느리고 힘겨운 단어 읽기(Ex) 단어를 부정확하거나 느리며 더듬더듬 소리 내어 읽기, 자주 추측하며 읽기, 단어를 소리 내어 읽는 데 어려움이 있음)

 

2.    읽은 것의 의미를 이해하기 어려움(Ex) 본문을 정확하게 읽을 수 있으나 읽은 내용의 순서, 관계, 추론 또는 깊은 의미를 이해하지 못함)

 

3.    철자법의 어려움(ex) 자음이나 모음을 추가하거나 생략 또는 대치하기도 함)

 

4.    쓰기의 어려움(ex) 한 문장 안에서 다양한 문법적, 구두점 오류, 문단 구성이 엉성함, 생각을 글로 표현하는 데 있어 명료성이 부족함)

 

5.    수 감각, 단순 연산값 암기 또는 연산 절차의 어려움(ex) 숫자의 의미, 수의 크기나 관계에 대한 빈약한 이해. 한 자리 수 덧셈을 할 때 또래들처럼 단순 연산값에 대한 기억력을 이용하지 않고 손가락을 사용함, 연산을 하다가 진행이 안 되거나 연산 과정을 바꿔 버리기도 함)

 

6.    수학적 추론의 어려움(ex) 양적 문제를 풀기 위해 수학적 개념, 암기된 연산값 또는 수식을 적용하는 데 심각한 어려움이 있음)

 

 

 

B.    보유한 학습 기술이 개별적으로 실시한 표준화된 성취도 검사와 종합적인 임상 평가를 통해 생활연령에 기대되는 수준보다 현저하게 양적으로 낮으며, 학업적, 직업적 수행이나 일상생활의 활동을 현저하게 방해한다는 것이 확인되어야 한다. 17세 이상인 경우 학습의 어려움에 대한 과거 병력이 표준화된 평가를 대신할 수 있다.

 

C.    학습의 어려움은 학령기에 시작되나 해당 학습 기간을 요구하는 정도가 개인의 능력을 넘어서는 시기가 되어야 분명히 드러날 수도 있다.(Ex) 주어진 시간 안에 시험 보기, 길고 복잡한 리포트를 촉박한 마감 기한 내에 읽고 쓰기, 과중한 학업 부담)

 

D.   학습의 어려움은 지적장애, 교정되지 않은 시력이나 청력 문제, 다른 정신적 또는 신경학적 장애, 정신사회적 불행, 학습 지도사가 해당 언어에 능숙하지 못한 경우, 불충분한 교육적 지도로 더 잘 설명되지 않는다.

 

주의점: 4가지의 진단 항목은 개인의 과거력(발달력, 의학적 병력, 가족력, 교육력), 학교의 보고와 심리교육적 평가 결과를 임상적으로 통합하여 판단한다.

 

부호화 시 주의점: 손상된 모든 학업 영역과 보조 기술에 대해 세부화할 것. 한 가지 이상의 영역에 손상이 있는 경우 다음의 세부 진단에 따라 개별적으로 부호화할 것.

 

다음의 경우 명시할 것:

 

315.00(F81.0) 읽기 손상 동반:

 

  단어 읽기 정확도

 

  읽기 속도 또는 유창성

 

  독해력

 

   주의점: 난동즉(dyslexia)은 정확하거나 유창한 단어 인지의 어려움, 해독 및 철자 능력의 부진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장애의 한 종류를 일컫는 또 다른 용어다. 이러한 특정한 패턴의 어려움을 난독증이라고 명명한다면, 독해나 수학적 추론과 같은 부수적인 어려움이 동반되었는지 살펴보고 명시하는 것이 중요하다.

 

 

 

315.2(F81.81) 쓰기 손상 동반:
.        
철자 정확도

 

   문법과 구두점 정확도

 

   작문의 명료도와 구조화

 

315.1(F81.2) 수학 손상 동반:

 

   수 감각

 

   단순 연산값의 암기

 

   계산의 정확도 또는 유창성

 

   수학적 추론의 정확도

 

주의점: 난산증(dyscalculia)은 숫자 정보 처리, 단순 연산값의 암기와 계산의 정확도와 유창도 문제의 어려움을 특징으로 하는 또 다른 용어다. 만일 이러한 특수한 패턴의 수학적 어려움을 난산증으로 명명한다면, 수학적 추론이나 단어 추론의 정확성과 같은 부수적인 어려움이 동반되었는지 살펴보고 명시하는 것이 중요하다.

 

  

 

 

 

현재의 심각도를 명시할 것:

 

경도: 한 가지 또는 2가지 학업 영역의 학습 기술에 있어 약간의 어려움이 있으나 적절한 편의나 지지 서비스가 제공된다면 (특히 학업 기간 동안), 개인이 이를 보상할 수 있고 적절히 기능할 수 있을 정도로 경미한 수준이다.

 

중등도: 한 가지 또는 2가지 학업 영역의 학습 기술에 있어 뚜렷한 어려움이 있으며, 그로 인해 학업 기간 동안 일정한 간격을 두고 제공되는 집중적이고 특수화된 교육 없이는 능숙해지기 어렵다. 활동을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완수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학교나 직장, 집에서 보내는 시간의 일부 동안이라도 편의와 지지 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한다.

 

고도: 여러 학업 영역에 영향을 끼치는 학습 기술의 심각한 어려움이 있으며, 그로 인해 대부분의 학업 기간 동안 집중적이고 개별적이며 특수화된 교육이 지속되지 않는다면 이러한 기술을 납득하기 어렵다. 가정, 학교, 직장에서 일련의 적절한 편의와 서비스를 제공받았음에도 불구하고 모든 활동을 효율적으로 수행하지 못할 수도 있다.

 

 

 

 

 

 

 

 

 

 

 

 

 

운동장애(Motor Disorders)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발달성 협응장애(Developmental Coordination Disorder)

 

진단기준 (315.4)(F82)

 

A.   협응된 운동의 습득과 수행이 개인의 생활연령과 기술 습득 및 사용의 기회에 기대되는 수준보다 현저하게 낮다. 장애는 운동 기술 수행(Ex) 물건 잡기, 가위나 식기 사용, 글씨 쓰기, 자전거 타기 또는 스포츠 참여)의 지연과 부정확성 뿐만 아니라 서투른 동작(Ex) 물건 떨어뜨리기 또는 물건에 부딪히기)으로도 나타난다.

 

B.    진단기준 A의 운동 기술 결함이 생활연령에 걸맞은 일상생활의 활동(Ex) 자기 관리 및 유지)에 현저하고 지속적인 방해가 되며, 학업/학교 생활의 생산성, 직업 활동, 여가, 놀이에 영향을 미친다.

 

C.    증상은 초기 발달 시기에 시작된다.

 

D.   운동 기술의 결함이 지적장애(지적발달장애)나 시각 손상으로 더 잘 설명되지 않으며, 운동에 영향을 미치는 신경학적 상태(Ex) 뇌성마비, 근육퇴행위축(muscular dystrophy), 퇴행성 질환)에 기인한 것이 아니어야 한다.

 

  

 

 

 

상동증적 운동장애(Stereotypic Movement Disorder)
진단기준 (307.30)(F98.4)

 

A.   반복적이고 억제할 수 없는 것처럼 보이고, 목적이 없는 것 같은 운동 행동(Ex) 손 흘들기, 손장난하기, 몸 흔들기, 머리 흔들기, 물어뜯기, 자기 몸 때리기)

 

B.    반복적인 운동 행동이 사회적, 학업적 또는 기타 활동을 방해하고, 자해의 원인이 될 수 있다.

 

C.    초기 발달 시기에 발병한다.

 

D.   반복적 운동 행동은 물질의 생리적 효과나 신경학적 상태로 인한 것이 아니며, 다른 신경발달장애나 정신질환(Ex) 발모광, 강박장애)으로 더 잘 설명되지 않는다.

 

다음의 경우 명시할 것:

 

자해 행동을 동반하는 경우(또는 예방 조치가 없다면 부상을 초래할 수 있는 행동)

 

자해 행동을 동반하지 않는 경우

 

다음의 경우 명시할 것:

 

알려진 의학적, 유전적 상태, 신경발달장애 또는 환경적 요인과 연관된 경우(ex) 레쉬-니한 증후군, 지적장애[지적발달장애], 태아 알코올 노출)

 

 

 

부호화 시 주의점: 연관된 의학적 또는 유전적 조건이나 신경발달장애를 식별하기 위해 추가적 부호를 사용한다.

 

 

 

 

 

현재의 심각도를 명시할 것:

 

경도: 감각 자극이나 주의 전환에 의해 증상이 쉽게 억제된다.

 

중등도: 증상에 대한 확실한 방어책과 행동 조정이 필요하다.

 

고도: 심각한 부상을 예방하기 위해 지속적인 관찰과 예방책이 필요하다.

 

 

 

  

 

 

 

틱장애(Tic Disorders)
진단기준

 

주의점: 틱은 갑작스럽고 빠르며 반복적이고 비율동적인 동작이나 음성 증상을 말한다.

 

투렛장애  (307.23)(F95.2)

 

A.   여러 가지 운동성 틱과 한 가지 또는 그 이상의 음성 틱이 질병 경과 중 일부 기간 동안 나타난다. 2가지 틱이 반드시 동시에 나타날 필요는 없다.

 

B.    틱 증상은 자주 악화와 완화를 반복하지만 처음 틱이 나타난 시점으로부터 1년 이상 지속된다.

 

C.    18세 이전에 발병한다.

 

D.   장애는 물질(Ex) 코카인)의 생리적 효과나 다른 의학적 상태(ex) 헌팅턴병, 바이러스성 뇌염)로 인한 것이 아니다.

 

 

 

지속성(만성) 운동 또는 음성 틱장애 (307.22)(F95.1)

 

A.   한 가지 또는 여러 가지의 운동 틱 또는 음성 틱이 장애의 경과 중 일부 기간 동안 존재하지만, 운동 틱과 음성 틱이 모두 나타나지는 않는다.

 

B.    틱 증상은 자주 악화와 완화를 반복하지만 처음 틱이 나타난 시점으로부터 1년 이상 지속된다.

 

C.    18세 이전에 발병한다.

 

D.   장애는 물질(Ex) 코카인)의 생리적 효과나 다른 의학적 상태(Ex) 헌팅턴병, 바이러스성 뇌염)로 인한 것이 아니다.

 

 

 

E.    투렛장애의 진단기준에 맞지 않아야 한다.

 

다음의 경우 명시할 것:

 

운동 틱만 있는 경우

 

음성 틱만 있는 경우

 

 

 

잠정적 틱장애 (307.21)(F95.0)

 

A.   한 가지 또는 다수의 운동 틱 또는 음성 틱이 존재한다.

 

B.    틱은 처음 틱이 나타난 시점으로부터 1년 미만으로 나타난다.

 

C.    18세 이전에 발병한다.

 

D.   장애는 물질(Ex) 코카인)의 생리적 효과나 다른 의학적 상태(Ex) 헌팅턴병, 바이러스성 뇌염)로 인한 것이 아니다.

 

E.    투렛장애나 지속성(만성) 운동 또는 음성 틱장애의 진단기준에 맞지 않아야 한다.

 

 

 

 

 

달리 명시된 틱장애(Other Specified Tic Disorder)
(307.20)(F95.8)

 

이 범주는 사회적, 직업적 또는 다른 중요한 기능 영역에서 임상적으로 현저한 고통이나 손상을 일으키는 틱 장애의 특징적인 증상들이 두드러지지만,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또는 신경발달장애의 진단 부류에 속한 장애 중 어느 것에도 완전한 기준을 만족하지 않는 발현 징후들에 적용된다. 달리 명시된 틱장애 범주는 발현 징후가 틱장애 또는 어떤 특정 신경발달장애의 기준에 맞지 않은 특정한 이유에 대해 교감하기 위해 임상의가 선택한 상황들에서 사용된다. 이는 달리 명시된 틱장애를 기록하고, 이어서 특정한 이유(Ex. “18세 이후에 발병한 경우”)를 기록한다.

 

 

 

  

 

명시되지 않는 틱장애(Unspecified Tic Disorder)

 

(307.20)(F95.9)

 

이 범주는 사회적, 직업적 또는 다른 중요한 기능 영역에서 임상적으로 현저한 고통이나 손상을 일으키는 틱 장애의 특징적인 증상들이 두드러지지만, 틱장애 또는 신경발달장애 진단 부류에 속한 장애 중 어느 것에도 완전한 기준을 망족하지 않는 발현 징후들에 적용된다. 명시되지 않는 틱장애 범주는 기준이 틱장애 또는 특정 신경발달장애의 기준에 맞지 않은 이유를 명시할 수 없다고 임상의가 선택한 상황들에서 사용되며, 좀 더 특정한 진단을 내리기에는 정보가 불출분한 발현 징후들을 포함한다.

 

 

 

 

 

 

 

 

 

 

 

기타 신경발달장애

(Other Neurodevelopmental Disorders)

 

달리 명시된 신경발달장애

 

(Other Specified Neurodevelopmental Disorder)
315.8(F88)

 

이 범주는 사회적, 직업적, 또는 다른 중요한 기능 영역에서 임상적으로 현저한 고통이나 손상을 일으키는 신경 발달장애의 특징적인 증상들이 두드러지지만, 신경발달장애의 진단 부류에 속한 장애 중 어느 것에도 완전한 기준을 만족하지 않는 발현 징후들에 적용된다. 달리 명시된 신경발달장애 범주는 발현 징후가 어느 특정한 신경발달장애의 기준에 맞지 않은 특정한 이유에 대해 교감하기 위해 임상의가 선택한 상황들에서 사용된다. 이는 달리 명시된 신경발달장애를 기록하고, 이어서 특정한 이유(Ex) “태아가 알코올 노출과 연관된 신경발달장애”)를 기록한다.

 

달리 명시된이라는 지정 문구를 사용해 분류될 수 있는 발현 징후들의 예는 다음과 같다.

 

태아기 알코올 노출과 연관된 신경발달장애: 이 장애는 자궁 내에서 알코올에 노출된 후에 발달장애를 보이는 것이 특징이다.

 

 

 

  

 

명시되지 않는 신경발달장애

 

(Unspecified Neurodevelopmental Disorder)
315.9(F89)

 

이 범주는 사회적, 직업적, 또는 다른 중요한 기능 영역에서 임상적으로 현저한 고통이나 손상을 일으키는 신경발달장애의 특징적인 증상들이 두드러지지만, 신경발달장애의 진단 부류에 속한 장애 중 어느 것에도 완전한 기준을 만족하지 않는 발현 징후들에 적용된다. 명시되지 않는 신경발달장애 범주는 기준이 특정한 신경발달장애의 기준에 맞지 않은 이유를 명시할 수 없다고 임상의가 선택한 상황들에서 사용되며, 좀 더 특정한 진단을 내리기에는 정보가 불충분한(Ex) 응급실 상황) 발현 징후들을 포함한다

728x90
반응형
LIST

WRITTEN BY
케노시스
다양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
728x90
반응형
SMALL

Ch5. pituitary Hormones

 

l  pituitary hormones

 

pituitary (뇌하수체) : endocrine gland master , adrenals , thyroids , gonads controls 한다.

 

-      oral cavity ectoderm 으로부터 만들어짐 , brain 으로부터 neuroectoderm 으로부터 만들어짐.

-      0.5~1.0 g 정도의 size 를 지님.

-      여성의 size pregnancy 과정 중에 larger 하게 된다.

-      1886년에 , Marie : acromegaly(말단비대증) 은 종종 pituitary tumorous condition 과 함께 일어난다.

-      Cushing’s disease : hyperglycemia or diabetic mellitus 를 일으키는 corticotrophin elevation -> anterior pituitary 를 제거하면 빠른 회복이 일어난다.

-      여성과 남성의 pituitary gland gonadectomy 로 인해 enlarged 된다.

-      Smith : rat hypophysectomy -> complete stasis of growth 그리고 , adrenals , thyroid , gonads 의 빠른 regression 이 일어난다.

 

[Figure5.1]

 

l  pituitary gland anatomy

 

pituitary gland (hypophysis)

 

adenohypophysis

1)     pars distalis

2)     pars Tuberalis

(1)   2) anterior lobe )

3)     pars intermedia

(2)   intermediate lobe .)

 

Neurohypophysis

1)     pars nervosa

2)     infundibulum

(1)   2) posterior lobe .)

(intermediate lobe posterior lobe 는 합쳐서 neurointermediate lobe .)

 

 

[Figure 5.2]

[Figure 5.3]

[Figure 5.4]

[Figure 5.5]

[Table 5.1]

 

l  pituitary hormones

pituitary hormones 4 families

1.     growth hormone and prolactin

(1)  growth hormone

-      hypophysectomized young rats adult size 로 자라는 데 실패한다. -> extracts of the pituitary stimulated growth

-      somatotropin anterior pituitary wet weight 4~10% 를 설명한다.

-      GH secretion absence 되면 dwarfism 이 일어난다.

-      GH overproduction : acromegalic characteristics 이 일어난다.

(2)  prolactin

-      mammary growth development regulate 한다.

-      PRL production estrogen 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그리고 pregnancy 동안 PRL level 은 올라간다.

-      LH or FSH 와 함께 , corpus luteum 에서 progesterone 의 생산을 stimulate 한다.

 

l  24시간 동안 PRL Human plasma levels

[Figure 5.6]

 

l  pituitary hormones 4 families

2.     the glycoprotein hormones : TSH , FSH , LH 는 알파와 베타 subunit 을 지닌다.

(1)  thyrotropin(TSH)

-      thyroid gland function control

-      thermogenesis 의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      Metamorphosis 를 유도하는데 책임이 있다.

(2)  Lutropin

-      ovaries 에서 follicular growth stimulate 한다. 그리고 testis 에서 spermatogenesis 를 증가시킨다.

-      LH testosterone synthesis stimulate 시킨다. -> LH action FSH induction 에 의존적이다.

(3)  Follitropin

-      남성에게서 FSH 의 역할 : 1) LH receptor population 을 증가시킨다. 2) spermatogenesis stimulate 하기 위해 LH 와 함께 act 한다.

 

l  glycoprotein subunit hybridization studies

[Figure 5.7]

 

l  pituitary hormones 4 families

3.     corticotrophin and 알파-melanotropin : corticotrophin melanotropin some structural similarity 를 공유하는 pituitary hormones 이다.

(1)   corticotrophin

-      39 아미노산의 a single linear chain -> species exist 간의 structural differences

-      Biological activity 1~24 sequence 내에 resides(거주한다)

-      ACTH  : adrenal steroidogenic tissues 내에서 steroid biosynthesis 를 자극한다.

(2)   melanocyte stimulating hormones

-      알파-MSH 또는 알파-melanotropin pituitary 내에 존재한다. -> many animals skin coloration

-      알파-MSH 13 아미노산으로 구성된다.

 

l  adrenocorticotropins

[Figure  5.8]

 

l  pituitary hormones 4 families

4.     neurohypophysial hormones : each neurohypophysial hormones a prohormone oxyphysin 또는 pressophysin 으로부터 만들어 진거다.

 

(1)  oxytocin

-      mammary gland 로부터 milk releasing 을 자극한다.

-      Uterine contraction 의 자극 -> uterine parturition(출산,분만) 에 있어서 major endocrine stimulus .

(2)  arginine vasopressin(AVP)

-      kidney tubules collect 하는 action 에 의해 water retention 에 필수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      AVT(arginine vasotocin): vertebrate 내에 존재한다.

 

Ch6. the endocrine hypothalamus

 

l  the neurovascular hypothesis

è  pituitary gland embryonic development

-      oral cavity 로부터의 ectoderm

-      the brain 으로부터의 neuroectoderm

è  adrenocorticotropin secretion diurnal rhythm exhibit 해 준다. 그리고 stress 에 의해 방출 된다.

è  FSH LH secretion female ovarian cycle 전체에 걸쳐 변동을 거듭한다.(fluctuate 한다) -> burst of LH ovulation 을 개시하기 위해 일어 난다.

è  Oxytocin suckling (젖 물기) 에 반응하여 pituitary 로부터 분비된다.

è  Pituitary hormone secretion 은 본래 adaptive 하다.

-      many animals 내에서의 reproductive cycles -> seasonal change 와 연결되어 있다.

-      Weasel’s(족제비) coat color MSH 에 의해 조절된다.

è  central nerve system pituitary function control 한다.

 

 

l  endocrine hypothalamus structure-function

è  hypothalamus : thalamus(시상) 아래에 있는 diencephalon(간뇌) basal part .

è  Hypothalamus brain third ventricle wall and lower part 를 형성한다.

-      optic chiasm (시신경 교차)

-      tuber cinereum(회백결절)

-      infundibulum(누두상부)

-      mammillary (유두의) bodies

è  endocrine hypothalamus neurosecretory neurons 으로 구성되어 있다. : adenohypophysial function regulate 하는 neurohormones 을 제공한다.

è  Hypophysial(하수체성) portal system : the median eminence(중앙 융기) pituitary gland 사이의 vascular link.

 

l  human brain cerebral hemispheres 를 통한 frontal section

l  hypophysial portal system cannulation(관삽입) 을 위한 기술들

è  pituitary hormone secretion 을 유도하는 portal cannulation 에 의한 hypophysiotropin infusion

 

l  hypophysial portal system

l  hypophysiotropic hormones

è  first hypophysiotropic hormone R. Guillemin A. Sally 에 의해 structurally identified 되었다.

 

l  thyrotropin-releasing hormone (TRH)

-      TRH 의 구조는 1996년도에 R. Guillermin A. Sally 에 의해 결정됨.

-      3 개의 A.A 로 이뤄짐 : Glu-His-Pro

-      Porcine , ovine , ,bovine , human TRH structure 가 모두 identical 하다.

-      Free N-terminal amino group 은 발견되지 않았다.

-      Proline free carboxy group protect 하는 것은 natural TRH 에게 정확히 same structure 를 부여해 줬다.

-      TRH 는 또한 human, cattle , sheep , rats 내에서 PRL(prolactin) 의 분비를 stimulate 한다.

 

l  TRH c DNA

è  TRH precursor c DNA sequence 255 A.A proteins 을 해독한다. Gln-His-Pro-Gly 5번 일어 난다. 그리고 각 tetrapeptide paired basic residues(Lys Arg or Arg Arg) 에 의해 옆에 위치하게 된다. 그래서 , the prohormone each precursor protein 으로부터 5 TRH molecules 을 만들어 낸다.

 

l  thyrotropin-releasing hormone synthesis

 

l  somatostatin(somatotropin-inhibiting hormone)

è  pituitary GH all species 에서 episodically 하게 분비된다. : GH releasing factors GH inhibitory factors this effect interact 한다.

è  SRIF(somatotropin release inhibiting hormone) GH 에 대해 an inhibitory effect 을 지닌다.

è  28-residue prosomatostatin , putative(추정되는) SRIF precursor isolated 되고 , characterized 되었다. (Fig6.7)

è  Somatostatin blood glucose level 을 낮춘다. -> glucagon and insulin secretion inhibition 과 관련이 있다.

è  Plasma GH levels stress 후에 fall 하고 7 시간 동안 low 하게 남아 있는다.

 

l  somatostatin and prosomatostatin

l  A growth hormone-releasing hormones primary structure

 

l  Somatoacrinin and GnRH

è  somatoacrinin (growth hormone-releasing hormone)

-      44 A.A GH secretion stimulate 한다.

-      Various species 간의 a high degree of sequence similarities

è  GnRH (gonadotropin-releasing hormone)

-      GnRH 250,000 porcine hypothalamus 로부터의 extracts 로부터 얻어낸 거다.

-      GnRH a pulsatile(맥이 뛰는,두근거리는) manner 로 방출되는 듯 보인다.-> GnRH constant secretion 하면 , a desensitization or down regulation 을 초래할지도 모른다.

-      LH FSH 는 둘 다 GnRH stimulation 을 통해 same gonadotroph 내에서 합성된다.

-      Multiple forms of GnRH 가 존재한다. 그러나 structural similarity 를 지닌다.

 

l  mammalian GnRH Primary structure

l  GnRH primary structure

l  CRH primary structure

l  CRH,PIF and PRF

è  corticotrophin-releasing hormone(CRH)

-      CRH: investigated the first hypophysiotropic hormones

-      ACTH secretion 시키는 걸 stimulating 하는 데 high potency 를 지님.

-      Structure species 간에 highly conserved 되어 있음.

è  Prolactin-release-inhibiting factor(PIF)

-      PRL secretion in pars distalis(pituitary) 에서 일어 난다. 그리고 inhibition hypothalamus 에 의해 controlled 된다.

-      PRL corpoa lutea functional activation progesterone biosynthesis 를 위해 필요하다.

-      Dopamine(DA) pituitary gland 로부터 PRL secretion 을 막는다. -> PIF DA , apomorphine and ergot alkaloids 또한 PIF 라네…..

è  Prolactin-releasing factor(PRFL)

-      TRH PRL secretion 에 있어서 potent stimulus .

 

l  hypothalamic control / hypophysial hormone secretion 에 대한 control

è  cold 에 반응하여서 모든 mammals TSH 를 방출한다.

è  Stress에 반응하여서 ACTH pituitary gland 로부터 분비된다.

è  Mammary glands suckling 하는 게 PRL oxytocin 분비를 stimulate 한다.

è  이와 같은 pituitary responses hypophysiotropic factors 에 의해 regulated 된다. -> brain 내의 neurons 들은 hypophysiotropin regulate 한다. -> neurons 을 분비하면서…..

è  CNS neurohormones 의 역할

-      monoamine neurotransmitters amino acid neurotransmitters -> serotonin , dopamine , nor-epinephrine , epinephrine

-      Histamine , Glycine , Glutamic acid , GABA

 

l  monoamine neurotransmitters

l  hypophysiotropin secretion에 대한neurohormonal control

è  CRH secretion control

-      많은 또 다른 neurotransmitters 들이 관련되어 있다.

-      Stress ACTH secretion potent stimulus . -> acethylcholines

è  PIF secretion control

-      Serotonergic(5-HT) neurons PRL secretion activate 시킨다.

-      GABA PRL secretion control 하는 기능을 담당할 수도 있다.

è  GH control

-      dopaminergic , noradrenergic , serotoneric system GH release 에 참여한다.

è  GnRH secretion control

-      GnRH 에 대한 control noradrenalin , GABA , glutamate , Angiotensin II , interleukins 1 , interleukins 2 를 포함한다.

-      Dopaminergic neurons GnRH stimulatory 하다.

è  TRH secretion control

-      noradrenergic neurons TSH secretion stimulate 한다.

 

l  Amino acid neurotransmitter

l  Somatostatin withdrawal 에 이어 rebound GH secretion GHRH release 를 포함한다.

l  Pituitary hormone secretion feed control

l  Pituitary cell perfusion system 에 대한 schematic representation

l  Long-loop and short-loop mechanisms autoregulation 에 대한 model

l  Pituitary thyrotrophs 로부터의 TRH-induced action potentials

l  hypothalamic dysfunction pathophysiology

è  dopamine overproduction : schizophrenia(정신 분열증)

è  dopamine underproduction : Parkinson’s disease (Box , Muhammid Ali)

è  TRH neoplastic pituitary cells 로부터 ACTH release stimulate 한다.

è  Hypogonadism anosmia(후각소실) : Kallmann syndrome gonadotropic hormones 을 분비하는 데 실패한다. -> GnRH neurons migration 이 실패됨.

è  GnRH amenorrheic(무월경의) female 에서 ovulation 을 유도하기 위한 치료로 이용된다.

è  Some tumors hypothalamic hormones 을 분비할 수 지도 모른다.

 

 

Ch7. neurohypophysial hormones

 

l  neurohypophysial hormones

è  1909년도 : pituitary extracts labor(출산) 을 유도하기 위해 clinical obstetrics 에서 처음 사용됨

è  1910년도 : posterior lobe extracts rapid flow of milk 를 야기시킴.

è  1913년도: posterior pituitary extracts injections 했더니 antidiuresis(항이뇨작용) 이 일어남.

è  1950년도 : oxytocin(OT) , vassopresssin(AVP) separated .

è  The neurohypophysis(신경뇌하수체,후엽) : neurohypophysis neural endings associated blood vessels 로 이루어져 있다.

 

l  synthesis and chemistry

è  oxytocin(OT) arginine vasopressin(AVP:antidiuretic hormone , ADH) 은 구조적으로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è  Oxytocin : milk release contraction of the uterus control 한다.

è  AVP(agrinine vasopressin) : water balance 와 관련이 있다.

è  AVP 3 번과 8번 위치의 phenylalanine an arginine processing 하는 게 Oxytocin 과 다르다.

è  Neurohypophysial hormones cell bodies of the pars nervosa 내에 localized 되어 있다.

è  Paired supraoptic nuclei(SON) paraventricular nuclei(PVN) 내에서 발견된다.

 

[Figure 7.1][Table7.1][Figure7.2]

 

l  oxytocin physiological roles

è  female 에게 specific 하다 -> pregnant delivers a child 때 필요함

è  milk release :

-      Oxytocin parturition 후에 milk release control 해 준다 -> suckling 에 의해 stimulated 된다.

-      Parturition : cervix dilation a stimulus 가 되기도 한다.

-      Auditory and optic sensory stimuli 또한 some animals 에서는 milk let-down 에 영향을 미친다.

-      Ovarian hormones pituitary 내에서 the levels of neurohypophysial hormones 에 영향을 미친다 -> estrogen treatment

-      Oxytocin major target organ pregnant female mammary gland . -> alveola and ductile system

-      Oxytocin   elements 와 같은 contraction of cellular muscle elicits 시킨다. <increased intra-mammary pressure and expression of milk>

-      3H-labeled Oxytocin mammary gland membrane fraction 내에 존재한다.

 

[Figure 7.3]

 

l  oxytocin functions

è  uterine contraction

-      oxytocin the myometrium contract 시킨다.(uterotropin action)

-      oxytocin 에 대한 myometrium responseparturition 에서 maximum 이 되든지 또는 거의 최고가 된다. -> 3H-labeling oxytocin experiment

-      estrogen Oxytocin 에 대한 myometrial sensitivity 를 증가시킨다. 그리고 uterus 에서 Oxytocin receptor 의 숫자를 증가시킨다. -> progesterone suppress

-      rat uterus 에서 oxytocin m RNA peptide pregnancy 동안 150 배 이상 증가한다. -> uterus Oxytocin gene expression major target site .

-      Oxytocin parturition a local paracrine or autocrine mediator 로 작용할지도 모른다.

-      Uterine expression dysfunction premature or delayed labor 의 원인일지도 모른다.

 

[Figure7.4][Figure7.5][Figure7.6]

 

l  oxytocin function 2

è  vascular smooth muscle actions

-      smooth muscle contract or relax 시킨다.

-      Oxytocin human umbilical arteries veins contracting 할 때 highly effective 하다. 반면에 AVP inactive 하다.

è  adenohypophysial function 에서의 effects

-      Oxytocin human 에서 stress 에 대한 neuroendocrine response 의 한 부분을 담당할지도 모른다.

-      Oxytocin suckling 동안 PRL secretion stimulate 한다.

è  maternal behavior

-      Oxytocin이 주어진 intact virgin female rats foster pups를 향해 full maternal behavior display 했다. -> estrogen 또한 induce 한다.

-      Oxytocin neurons of the brain 내에서 widely distributed 된다. -> maternal behavior activate 시킨다.

 

[Figure7.7][Figure7.8]

 

l  oxytocin function 3

è  mating behavior

-      hypothalamus VMN(ventromedial nuclei) feminine behavior control 에 중요하다.

-      Estradiol VMN 에서 Oxytocin 을 위한 receptors induce 한다.

è  Human sexual response

-      sexual arousal 동안 plasma Oxytocin levels 은 증가한다. (organism / ejaculation)

-      Oxytocin sperm egg transport enhance 할지도 모른다.

è  feeding behavior control

-      CCK(cholecystokinin) Oxytocin plasma levels 에서 a dose-related increase 를 야기시킨다.  -> hypothalamic nucleus the control of feeding behavior 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l  vasopressin(AVP)

è  Osmoregulation(삼투압조절):

-      body fluid osmolality (삼투질농도) 가 감소할 때 , AVP levels 이 떨어 진다. ; 이게 a hypotonic urine 을 경유하여 free water secretion 을 야기시킨다.

-      body fluid osmolality 가 증가할 때 , AVP 는 방출된다. 그러면서 free water retention stimulate 시키고 , a hypertonic fluid excretion stimulate 한다.

-      Osmoreceptors (삼투압수용기) anterior hypothalamus 내에 localized 되어 있다. -> 완전히 neurosecretory cells 로부터 separated 되어 있다.

-      Osmoreceptor control mechanism neurohypophysial neurons cell bodies identical 하지도 않고 , intermixed 되지도 않는다.

-      Osmostat (삼투압조절중추) plasma osmolality 280 mOsm/Kg 으로 떨어질 때 , AVP secretion low or undetectable 하도록 suppressed 되도록 설정되어져 있다.

 

[Figure7.9]

 

l  plasma vasopressin 에서 osmalality effect of alterations

[Figure7.11]

 

l  vasotocin(AVT)

è  AVT non-mammalian vertebrate pituitary gland 에 존재한다.

è  Sexual behavior :

-      AVT injection salamander(도롱뇽) sexual behavior (amplectic clasping) induce 한다. -> antagonist 에 의해blunted 된다. 또는 AVT 에 의한 antibody 에 의해 blunted된다.

è  oviposition

-      AVT oviductal muscle contraction regulate 한다.

-      AVT onset of oviposition 에 선행하여 극적으로 증가한다. 그리고 oviposition후에 빠르게 감소한다.

 

l  olive Ridley sea turtles 에서의 mean serum AVT levels

l  hormone action mechanism

è  oxytocin

-      uterine contraction

-      oxytocin estrogen ovine uterus 에서 PGF2알파 의 synthesis stimulate 한다.

-      Myometrial contractions 은 또한 endometrial PGF2알파 production 을 유도한다.

-      Prgesterone rats 에서 estrogen action antagonize 한다.

 

è  vasopressin

-      AVP receptor diverse functional , biological properties display 한다.

-      4 subtypes of receptors distinguished 된다.

 

l  uterine smooth muscle 내의 contraction scheme

l  hormone action mechanisms-2-

è  1st type : Renal AVP receptor (V2-type) adenylate cyclase 와의 functional coupling 을 위한 first membrane receptors 였다.

è  2nd type : liver 에서 AVP receptor (V1a-type)

è  3rd type : adenohypophysis (V1b-type)

è  4th type : uterus and mammary gland oxytocin (OT) receptors -> intracellular Ca2+ mobilize 하기 위해 increased inositol turnover 를 통해 act 한다.

è  AVP oxytocin  overlapping pharmacological properties 를 지닌다.

è  Water-selective channels cloning renal water transport molecular basis revealed . : AQP1 , AQP2 , AQP3

 

l  AVP and oxytocin some analogs relative potencies

l  kidney 에서 AQP2 immunolabeling

l  AQP2 AQP3 distribution

l  Pathophysiology

è  diabetic insipidus : AVP 를 합성하거나 방출하지 못한다. -> kidney water conserve 하는 능력이 감소한다.

è  Nephrogenic AVP-resistant diabetic insipidus (NDI) : urinary concentration mechanism 에서의 defect

è  Syndrome of inappropriate vasopressin secretion : plasma osmolality or volume 과의 relationship 없이 continual AVP release -> a maximally dilute urine(비정상적 오줌) excrete 한다.

 

728x90
반응형
LIST

WRITTEN BY
케노시스
다양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
728x90
반응형
SMALL

요즘 많은 유명인사들도 공황장애 등으로 인한 고통을 받고 있음이 매체를 통해 확인된 바 있습니다. 우울증과 함께 일상 생활에 가장 깊게 침투해 있는 '불안' 과 관련된 DSM-5의 공식 진단들을 살펴 봅시다. 작게는 특정 동물을 무서워하는 특정 공포증 부터, 넓게는 모든 것이 다 불안한 범불안장애 까지 그 종류와 양상이 다양합니다. 특히, 대중 앞에서 발표하는 걸 극도로 힘들어 하는 등 사회 공포증도 주변에서 흔히 확인 가능한 질환이니 상식 선에서도 진단기준을 알아두시면 도움이 되겠습니다.

 

 

 

불안장애

 

(Anxiety Disorders)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분리불안장애(Separation Anxiety Disorder)

 

진단기준 (309.21)(F93.0)

 

A.   애착 대상과의 분리에 대한 공포나 불안이 발달 수준에 비추어 볼 때 부적절하고 지나친 정도로 발생한다. 다음 중 3가지 이상이 나타나야 한다.

 

1.    집 또는 주 애착 대상과 떨어져야 할 때 과도한 고통을 반복적으로 겪음

 

2.    주 애착 대상을 잃거나 질병이나 부상, 재앙 혹은 죽음 같은 해로운 일들이 그에게 일어날 것이라고 지속적으로 과도하게 걱정함.

 

3.    곤란한 일(Ex) 길을 잃거나, 납치 당하거나, 사고를 당하거나, 아프게 되는 것)이 발생하여 주 애착 대상과 떨어지게 될 것이라고 지속적으로 과도하게 걱정함.

 

4.    분리에 대한 공포 때문에 집을 떠나 학교, 직장 혹은 다른 장소로 외출하는 것을 지속적으로 거부하거나 거절함.

 

5.    집이나 다른 장소에서 주 애착 대상 없이 있거나 혼자 있는 것에 대해 지속적으로 과도하게 두려워하거나 거부함

 

6.    집에서 떠나 잠을 자는 것이나 주 애착 대상 곁이 아닌 곳에서 자는 것을 지속적으로 과도하게 거부하거나 거절함.

 

7.    분리 주제와 연관된 반복적인 악몽을 꿈

 

8.    주 애착 대상과 떨어져야 할 때 신체 증상을 반복적으로 호소함(Ex) 두통, 복통, 오심, 구토)

 

B.    공포, 불안, 회피 반응이 아동, 청소년에서는 최소한 4주 이상, 성인에서는 전형적으로 6개월 이상 지속되어야 한다.

 

C.    장애가 사회적, 직업적 또는 다른 중요한 기능 영역에서 임상적으로 현저한 고통이나 손상을 초래한다.

 

D.   장애가 다른 정신질환으로 더 잘 설명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자폐증에서 변화에 대한 저항으로 인해 집 밖에 나가는 것을 회피하는 것, 정신병적 장애에서 분리에 대한 망상이나 환각이 있는 경우, 광장공포증으로 인해 믿을 만한 동반자 없이는 밖에 나가기를 거부하는 경우, 범불안장애에서 건강 문제나 다른 해로운 일이 중요한 대상에게 생길까 봐 걱정하는 것, 질병불안장애에서 질병이 발생할까 봐 걱정하는 것

 

 

 

 

 

 

 

 

  

 

선택적 함구증(Selective Mutism)

 

진단기준 (313.23)(F94.0)

 

A.   다른 상황에서는 말을 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말을 해야 하는 특정 사회적 상황(Ex) 학교)에서 일관되게 말을 하지 않는다.

 

B.    장애가 학습이나 직업상의 성취 혹은 사회적 소통을 방해한다.

 

C.    이러한 증상이 최소 1개월 이상 지속된다(학교생활의 첫 1개월에만 국한되지 않는 경우)

 

D.   사회적 상황에서 필요한 말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거나, 언어가 익숙하지 않은 것으로 인해 말을 하지 않는 것이 아니다.

 

E.    장애가 의사소통장애(Ex) 아동기 발병 유창성장애)로 더 잘 설명되지 않고, 자폐스펙트럼장애, 조현병 또는 다른 정신병적 장애의 경과 중에만 발생되지는 않는다.

 

 

 

  

 

특정공포증(Specific Phobia)

 

진단기준

 

A.   특정 대상이나 상황에 대해서 극심한 공포나 불안이 유발된다(Ex) 비행기 타기, 고공, 동물, 주사 맞기, 피를 봄)

 

주의점: 아이들의 경우 공포나 불안은 울기, 발작, 얼어붙거나 매달리는 것으로 표현될 수 있다.

 

B.    공포 대상이나 상황은 대부분의 경우 즉각적인 공포나 불안을 유발한다.

 

C.    공포 대상이나 상황을 회피하거나 아주 극심한 공포나 불안을 지닌 채 참아낸다.

 

D.   공포나 불안이 특정 대상이나 상황이 줄 수 있는 실제 위험에 대한 것보다 극심하며 사회문화적 맥락에서 통상적으로 받아들여지는 것보다 심하다.

 

E.    공포, 불안, 회피 반응은 전형적으로 6개월 이상 지속된다.

 

F.    공포, 불안, 회피는 사회적, 직업적, 또는 다른 중요한 기능 영역에서 임상적으로 현저한 고통이나 손상을 초래한다.

 

G.   장애가 다른 정신질환으로 더 잘 설명되지 않는다. 공포, 불안, 회피가 광장공포증에서 공황 유사 증상이나 다른 당황스러운 증상들과 관련된 상황, 강박장애에서 강박 사고와 연관된 대상이나 상황,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에서 외상 사건을 상기시키는 것, 분리불안장애에서 집이나 애착 대상으로부터 분리되는 것, 사회불안 장애에서의 사회 상황과 연관된 경우가 아니어야 한다.

 

 

 

다음의 경우 명시할 것:

 

공포 자극을 기준으로 한 부호화

 

  300.29 (F40.218) 동물형 (ex) 거미, 곤충, )

 

  300.29 (F40.228) 자연환경형 (ex) 고공, 폭풍, )

 

  300.29 (F40.23x) 혈액-주사-손상형 (ex) 바늘, 침투적인 의학적 시술)

 

    부호화 시 주의점: ICD-10-CM 부호에서는 다음과 같다. F40.230: 혈액에 대한 공포, F40.231: 주사, 수혈에 대한 공포, F40.232: 기타 의학적 도움에 대한 공포, F40:233: 부상에 대한 공포

 

  300.29 (F40.248) 상황형 (ex) 비행기, 엘리베이터, 밀폐된 장소)

 

  300.29 (F40.298) 기타형 (ex) 질식, 구토를 유발하는 상황, 아이들의 경우, 예를 들면 큰 소리나 가장 인물들[가장 캐릭터])

 

부호화 시 주의점: 만약 하나 이상의 공포 자극이 있다면 모든 적용 가능한 ICD-10-CM 부호를 적어야 한다. (Ex) 뱀과 비행기를 무서워한다면 F40.218 동물형과 F40.248 상황형을 모두 적는다.)

 

 

 

 

 

 

 

 

 

 

사회불안장애(사회공포증)
(Social Anxiety Disorder)[Social Phobia]

 

진단기준 (300.23)(F40.10)

 

A.   타인에게 면밀하게 관찰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사회적 상황에 노출되는 것을 극도로 두려워하거나 불안해 한다. 그러한 상황의 예로는 사회적 관계(Ex) 대화를 하거나 낯선 사람을 만나는 것), 관찰되는 것(Ex) 음식을 먹거나 마시는 자리), 다른 사람들 앞에서 수행을 하는 것(Ex) 연설)을 들 수 있다.

 

주의점: 아동의 경우 공포와 불안은 성인과의 관계에서 뿐만 아니라 또래 집단에서도 발생해야 한다.

 

B.    다른 사람들에게 부정적으로 평가되는 방향(수치스럽거나 당황한 것으로 보임, 다른 사람을 거부하거나 공격하는 것으로 보임)으로 행동하거나 불안 증상을 보일까 봐 두려워한다.

 

C.    이러한 사회적 상황이 거의 항상 공포나 불안을 일으킨다.

 

주의점: 아동의 경우 공포와 불안은 울음, 분노발작, 얼어붙음, 매달리기, 움츠러듦 혹은 사회적 상황에서 말을 하지 못하는 것으로 표현될 수 있다.

 

D.   이러한 사회적 상황을 회피하거나 극심한 공포와 불안 속에 견딘다.

 

E.    이러한 불안과 공포는 실제 사회 상황이나 사회문화적 맥락에서 볼 때 실제 위험에 비해 비정상적으로 극심하다.

 

F.    공포, 불안, 회피는 전형적으로 6개월 이상 지속되어야 한다.

 

G.   공포, 불안, 회피는 사회적, 직업적, 또는 다른 중요한 기능 영역에서 임상적으로 현저한 고통이나 손상을 초래한다.

 

H.   공포, 불안, 회피는 물질(Ex) 남용약물, 치료약물)의 생리적 효과나 다른 의학적 상태로 인한 것이 아니다.

 

I.      공포, 불안, 회피는 공황장애, 신체이형장애, 자폐스펙트럼장애와 같은 다른 정신질환으로 더 잘 설명되지 않는다.

 

J.     만약 다른 의학적 상태(Ex) 파킨슨병, 비만, 화상이나 손상에 의한 신체 훼손)가 있다면, 공포, 불안, 회피는 이와 무관하거나 혹은 지나칠 정도다.

 

 

 

다음의 경우 명시할 것:

 

수행형 단독: 만약 공포가 대중 앞에서 말하거나 수행하는 것에 국한될 때

 

 

 

 

 

 

 

 

 

 

공황장애(Panic Disorder)
진단기준 (300.01)(F41.0)

 

A.   반복적으로 예상하지 못한 공황발작이 있다. 공황발작은 극심한 공포와 고통이 갑작스럽게 발생하여 수분 이내에 최고조에 이르러야 하며, 그 시간 동안 다음 중 4가지 이상의 증상이 나타난다.

 

1.    심계항진, 가슴 두근거림 또는 심장 박동 수의 증가

 

2.    발한

 

3.    몸이 떨리거나 후들거림

 

4.    숨이 가쁘거나 답답한 느낌

 

5.    질식할 것 같은 느낌

 

6.    흉통 또는 가슴 불편감

 

7.    메스꺼움 또는 복부 불편감

 

8.    어지럽거나 불안정하거나 멍한 느낌이 들거나 쓰러질 것 같음

 

9.    춥거나 화끈거리는 느낌

 

10. 감각 이상(감각이 둔해지거나 따끔거리는 느낌)

 

11. 비현실감(현실이 아닌 것 같은 느낌) 혹은 이인증(나에게서 분리된 느낌)

 

12. 스스로 통제할 수 없거나 미칠 것 같은 두려움

 

13. 죽을 것 같은 공포

 

주의점: 문화 특이적 증상(Ex) 이명, 목의 따끔거림, 두통, 통제할 수 없는 소리 지름이나 울음)도 보일 수 있다. 이러한 증상들은 위에서 진단에 필요한 4가지 증상에는 포함되지 않는다.

 

 

 

B.    적어도 1회 이상의 발작 이후에 1개월 이상 다음 중 한 가지 이상의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

 

1.    추가적인 공황발작이나 그에 대한 결과(Ex) 통제를 잃음, 심장발작을 일으킴, 미치는 것)에 대한 지속적인 걱정

 

2.    발작과 관련된 행동으로 현저하게 부적응적인 변화가 일어난다(Ex) 공황발작을 회피하기 위한 행동으로 운동이나 익숙하지 않은 환경을 피하는 것 등)

 

C.    장애는 물질(Ex) 남용약물,치료약물)의 생리적 효과나 다른 의학적 상태(Ex) 갑상선기능항진증, 심폐질환)로 인한 것이 아니다.

 

D.   장애가 다른 정신질환으로 더 잘 설명되지 않는다(Ex) 사회불안장애에서처럼 공포스러운 사회적 상황에서만 발작이 일어나서는 안 된다. 특정공포증에서처럼 공포 대상이나 상황에서만 나타나서는 안 된다. 강박장애에서처럼 강박 사고에 의해 나타나서는 안 된다.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에서처럼 외상성 사건에 대한 기억에만 관련되어서는 안 된다. 분리불안장애에서처럼 애착 대상과의 분리에 의한 것이어서는 안 된다.)

 

 

 

 

 

 

 

 

 

 

공황발작 명시자(Panic Attack Specifier)

 

주의점: 증상은 공황발작을 확인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술되었다. 하지만 공황발작은 정신질환이 아니기 때문에 부호화될 수 없다. 공황발작은 다른 불안장애나 다른 정신질환(Ex) 우울장애, 외상후 스트레스장애, 물질사용장애) 그리고 몇몇 의학적 상태(Ex) 심장성, 호흡기성, 전정기관성, 소화기관성)에서 나타날 수 있다. 만약 공황발작이 확인된다면 이런 경우 명시자로서 표현해야 한다. (Ex) 공황발작 동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공황장애에 있어서 공황발작은 진단기준에 포함되기 때문에 특정 양상으로 기술되지 않는다.

 

공황발작은 극심한 공포와 고통이 갑작스럽게 발생하여 수분 이내에 최고조에 이르러야 하며, 그 시간 동안 다음 중 4가지 이상의 증상이 나타난다.

 

주의점:  갑작스러운 증상의 발생은 차분한 상태나 불안한 상태에서 모두 나타날 수 있다.

 

1.    심계항진, 가슴 두근거림 또는 심장 박동수의 증가

 

2.    발한

 

3.    몸이 떨리거나 후들거림

 

4.    숨이 가쁘거나 답답한 느낌

 

5.    질식할 것 같은 느낌

 

6.    흉통 또는 가슴 불편감

 

7.    메스꺼움 또는 복부 불편감

 

8.    어지럽거나 불안정하거나 멍한 느낌이 들거나 쓰러질 것 같음

 

9.    춥거나 화끈거리는 느낌

 

10. 감각 이상(감각이 둔해지거나 따끔거리는 느낌)

 

11. 비현실감(현실이 아닌 것 같은 느낌) 혹은 이인증(나에게서 분리된 느낌)

 

12. 스스로 통제할 수 없거나 미칠 것 같은 두려움

 

13. 죽을 것 같은 공포

 

주의점: 문화 특징적 증상(Ex) 이명, 목의 따끔거림, 두통, 통제할 수 없는 소리 지름이나 울음)도 보일 수 있다. 이러한 증상들은 위에서 요구된 4가지 증상에는 포함되지 않는다.

 


 

 

광장공포증(Agoraphobia)

 

진단기준(300.22)(F40.00)

 

A.   다음 5가지 상황 중 2가지 이상의 경우에서 극심한 공포와 불안을 느낀다.

 

1.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것(Ex) 자동차, 버스, 기차, , 비행기)

 

2.    열린 공간에 있는 것(Ex) 주차장, 시장, 다리)

 

3.    밀폐된 공간에 있는 것(Ex) 상점, 공연장, 영화관)

 

4.    줄을 서 있거나 군중 속에 있는 것

 

5.    집 밖에 혼자 있는 것

 

B.    공황 유사 증상이나 무능력하거나 당혹스럽게 만드는 다른 증상(Ex) 노인에서 낙상에 대한 공포, 실금에 대한 공포)이 발생했을 때 도움을 받기 어렵거나 그 상황에서 벗어나기 어려울 것이라는 생각 때문에 그런 상황을 두려워하고 피한다.

 

C.    광장공포증 상황은 거의 대부분 공포와 불안을 야기한다.

 

D.   광장공포증 상황을 피하거나, 동반자를 필요로 하거나, 극도의 공포와 불안 속에서 견딘다.

 

E.    광장공포증 상황과 그것의 사회문화적 배경을 고려할 때 실제로 주어지는 위험에 비해 공포와 불안의 정도가 극심하다.

 

F.    공포, 불안, 회피 반응은 전형적으로 6개월 이상 지속된다.

 

G.   공포, 불안, 회피가 사회적, 직업적, 또는 다른 중요한 기능 영역에서 임상적으로 현저한 고통이나 손상을 초래한다.

 

H.   만약 다른 의학적 상태(Ex) 염증성 장 질환, 파킨슨병)가 동반된다면 공포, 불안, 회피 반응이 명백히 과도해야만 한다.

 

I.      공포, 불안, 회피가 다른 정신질환으로 더 잘 설명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증상이 특정공포증의 상황 유형에 국한되어서는 안 된다. (사회불안장애에서처럼) 사회적 상황에서만 나타나서는 안 된다. (강박장애에서처럼) 강박 사고에만 연관되거나 (신체이형장애에서처럼) 신체 외형의 손상이나 훼손에만 연관되거나, (외상후 스트레스장애에서처럼) 외상 사건을 기억하게 할 만한 사건에만 국한되거나, (분리불안장애에서처럼) 분리에 대한 공포에만 국한되어서는 안 된다.

 

주의점: 광장공포증은 공황장애 유무와 관계없이 진단된다. 만약 공황장애와 광장공포증의 진단기준을 모두 만족한다면 2가지 진단이 모두 내려져야 한다.

 

 

 

  

 

범불안장애(Generalized Anxiety Disorder)

 

진단기준 (300.02)(F41.1)

 

A.   (직장이나 학업과 같은) 수많은 일상 활동에 있어서 지나치게 불안해하거나 걱정(우려하는 예측)을 하고, 그 기간이 최소한 6개월 이상으로 그렇지 않은 날보다 그런 날이 더 많아야 한다.

 

B.    이런 걱정을 조절하기 어렵다고 느낀다.

 

C.    불안과 걱정은 다음의 6가지 증상 중 적어도 3가지 이상의 증상과 관련이 있다. (지난 6개월 동안 적어도 몇 가지 증상이 있는 날이 없는 날보다 더 많다.)

 

주의점: 아동에서는 한 가지 증상만 만족해도 된다.

 

1.    안절부절못하거나 낭떠러지 끝에 서 있는 느낌

 

2.    쉽게 피곤해짐

 

3.    집중하기 힘들거나 머릿속이 하얗게 되는 것

 

4.    과민성

 

5.    근육의 긴장

 

6.    수면 교란(잠들기 어렵거나 유지가 어렵거나 밤새 뒤척이면서 불만족스러운 수면 상태)

 

D.   불안이나 걱정, 혹은 신체 증상이 사회적, 직업적 또는 다른 중요한 기능 영역에서 임상적으로 현저한 고통이나 손상을 초래한다.

 

E.    장애가 물질(Ex)  남용약물, 치료약물)의 생리적 효과나 다른 의학적 상태(Ex) 갑상선기능항진증)로 인한 것이 아니다.

 

F.    장애가 다른 정신질환으로 더 잘 설명되지 않는다(Ex) 공황장애에서 공황발작을 일으키는 것, 사회불안장애[사회공포증]에서 부정적 평가, 강박장애에서 오염이나 다른 강박 사고, 분리불안장애에서 애착 대상과의 분리, 외상후 스트레스장애에서 외상 사건을 상기시키는 것, 신경성 식욕부진증에서 체중 증가, 신체증상장애에서 신체적 불편, 신체이형장애에서 지각된 신체적 결점, 질병불안장애에서 심각한 질병, 조현병이나 망상 장애에서 망상적 믿음의 내용에 대해 불안해하거나 걱정하는 것)

 

  

 

 

 

 

 

 

 

  

 

물질/약물치료로 유발된 불안장애

 

(Substance/Medication-Induced Anxiety Disroder)
진단기준

 

A.   임상 장면에서 공황발작이나 불안이 두드러진다.

 

B.    병력, 신체 검진 또는 검사 소견에 (1) (2) 둘 다의 증거가 있다.

 

1.    진단기준 A의 증상이 물질 중독이나 물질 금단 혹은 직후에, 혹은 치료약물 노출 후에 발생함

 

2.    수반된 물질/치료약물이 진단기준 A의 증상을 일으킬 만한 능력이 있음

 

C.    장애가 물질/약물치료로 유발된 것이 아닌 불안장애로 더 잘 설명되지 않는다. 독립적인 불안장애라는 증거로 다음이 포함될 수 있다.

 

   증상이 물질/치료약물 사용 시작보다 선행한다. 증상이 급성 금단 혹은 심한 중독의 중단 이후에도 상당한 기간(Ex) 1개월) 동안 계속된다. 혹은 물질/약물치료로 유발된 것이 아닌 독립적인 불안장애의 다른 증거(Ex) 재발성 비물질/치료약물 관련 삽화의 병력)가 있다.

 

D.   장애가 섬망의 경과 중에만 발생되지는 않는다.

 

E.    장애가 사회적, 직업적 또는 다른 중요한 기능 영역에서 임상적으로 현저한 고통이나 손상을 초래한다.

 

주의점: 이 진단은 진단기준 A의 증상이 임상 양상에서 두드러지고 임상적 주목을 보증할 정도로 충분히 심할 때에만 물질 중독이나 물질 금단의 진단 대신에 내려져야 한다.

 

 

 

 

 

부호화 시 주의점: [특정 물질/약물치료]로 유발된 불안장애에 대한 ICD-9-CM ICD-10-CM 부호는 다음 표에 제시되어 있다. ICD-10-CM 부호는 동일 종류의 물질에 대한 물질사용장애의 동반이환 여부에 따라 달라진다는 점에 주의한다. 만약 경도의 물질사용장애가 물질로 유발된 불안장애와 동반이환된다면 4번째 자리의 글자는 ‘1’이고, 임상의는 물질로 유발된 불안장애 앞에 경도 [물질] 사용장애를 기록해야 한다 (Ex) 경도 코카인사용장애, 코카인으로 유발된 불안장애 동반). 만약 중등도 또는 고도 물질사용장애가 물질로 유발된 불안장애와 동반이환된다면 4번째 자리의 글자는 ‘2’이고, 임상의는 동반이환하는 물질사용장애의 심각도에 따라 중등도 [물질] 사용장애 또는 고도 [물질] 사용장애를 기록해야 한다. 만약 동반이환하는 물질사용장애가 없다면 (Ex) 1회의 심한 물질 사용 후) 4번재 자리의 글자는 ‘9’이며 임상의는 물질로 유발된 불안장애만을 기록해야 한다.

 

 

 

[표는 생략] (한글판 241page 보기)

 

 

 

다음의 경우 명시할 것(물질 종류와 연관된 진단을 위해서는 물질관련 및 중독 장애장의 표1을 참조하시오):

 

 중독 중 발병: 이 명시자는 기준이 물질 중독에 맞고, 증상이 중독 동안에 발생하는 경우 사용한다.

 

 금단 중 발병: 이 명시자는 기준이 물질 금단에 맞고, 증상이 금단 동안 혹은 금단 직후 발생하는 경우 사용한다.

 

치료약물 사용 후 발병: 증상이 치료약물의 시작이나 복용 변경, 교체 후에 발생하는 경우

 

 

 

 

 

다른 의학적 상태로 인한 불안장애

 

(Anxiety Disorder Due to Another Medical Condition)

 

진단기준 (293.84)(F06.4)

 

A.   공황발작이나 불안이 임상 영역에서 두드러진다.

 

B.    병력, 신체 검진 또는 검사 소견상 장애가 다른 의학적 상태로 인한 직접적인 병태생리학적 결과라는 증거가 있다.

 

C.    장애가 다른 정신질환으로 더 잘 설명되지 않는다.

 

D.   장애가 섬망의 경과 중에만 발생되지는 않는다.

 

E.    장애가 사회적, 직업적, 또는 다른 중요한 기능 영역에서 임상적으로 현저한 고통이나 손상을 초래한다.

 

부호화 시 주의점: 정신질환의 이름에 기타 의학적 상태의 이름을 포함한다 (Ex) 293.84 [F06.4] 갈색세포종으로 인한 불안장애). 기타 의학적 상태는 부호화하여 의학적 상태로 인한 불안장애 진단 앞에 따로 명시한다(Ex) 227.0[D35.00] 갈색세포종, 293.84 [F06.4] 갈색세포종으로 인한 불안장애)

 

 

 

 

 

 

 

 

 

 

 

 

 

 

 

 

달리 명시된 불안장애(Other Specified Anxiety Disorder)
300.09 (F41.8)

 

이 범주는 사회적, 직업적, 또는 다른 중요한 기능 영역에서 임상적으로 현저한 고통이나 손상을 일으키는 불안장애의 특징적인 증상들이 두드러지지만, 불안장애의 진단 부류에 속한 장애 중 어느 것에도 완전한 기준을 만족하지 않는 발현 징후들에 적용된다. 달리 명시된 불안장애 범주는 발현 징후가 어떤 특정 불안장애의 기준에 맞지 않은 특정한 이유에 대해 교감하기 위해 임상의가 선택한 상황들에서 사용된다. 이는 달리 명시된 불안장애를 기록하고, 이어서 특정한 이유(Ex) ‘범불안장애, 그렇지 않은 날보다 그런 날이 더 많지는 않은”)를 기록한다.

 

 달리 명시된이라는 지정 문구를 사용해 분류될 수 있는 발현 징후들의 예는 다음과 같다.

 

1.    제한적 공황발작

 

2.    범불안장애, 그렇지 않은 날보다 그런 날이 더 많지는 않은

 

3.    캘캡(Khyal cap)(바람에의 노출): 부록의 고통의 문화적 개념 용어 해설참조

 

4.    아타케 데 네르비오스(Ataque de nervios) : 부록의 고통의 문화적 개념 용어 해설참조

 

 

 

  

 

명시되지 않는 불안장애(Unspecified Anxiety Disorder)
300.00(F41.9)

 

이 범주는 사회적, 직업적, 또는 다른 중요한 기능 영역에서 임상적으로 현저한 고통이나 손상을 일으키는 불안장애의 특징적인 증상들이 두드러지지만, 불안장애의 진단 부류에 속한 장애 중 어느 것에도 완전한 기준을 만족하지 않는 발현 징후들에 적용된다. 명시되지 않는 불안장애 범주는 기준이 특정 불안장애의 기준에 맞지 않은 이유를 명시할 수 없다고 임상의가 선택한 상황들에서 사용되며, 좀 더 특정한 진단을 내리기에는 정보가 불충분한(Ex) 응급실 상황) 발현 징후들을 포함한다.

 

*모든 이미지는 구글 이미지에서 가져왔습니다.*

728x90
반응형
LIST

WRITTEN BY
케노시스
다양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
728x90
반응형
SMALL

Ch3. hormone action 에 대한 general mechanism

 

*cellular receptors and hormone action

 

-receptor : “receptive substance . -> hormone-cell interaction 을 위한 specificity 를 제공해 준다.

-plasma membrane , cytosolic or nuclear elements

 

 

horone receptors specific hormones binding 한다.

 

-      specificity : one specific hormones 에만 binding 할 수 있는 능력 : ligand binding specificity

-      affinity : ligand receptor 사이의 noncovalent interactions

-      agonists : hormone action mimic 한다. -> potency 를 증강시킨다.

-      Antagonists : hormone 에 의한 activation 을 막는다.

 

*hormone binding receptor chemical kinetics

 

 

l  characteristics of physiological receptors

 

1.     a hormone its receptor binding 하는 것은 high affinity 로 일어나는 process .

2.     a receptor 에 의해 a hormone binding 하는 것은 , a high degree of specificity 를 지닌 채 일어난다.

-      vasopressin oxytocin their respective receptors 에 대해 greater affinity 를 지닌다.

3.     each hormone responsive cell a finite number of receptors 를 만들어 낸다.

-      2000~100,000 receptor molecules : high affinity receptor sites low affinity binding receptor 에 의해 vastly outnumbered 되어 있다.

4.     receptor binding process reversible 하다는 특징을 지닌다.

5.     a receptor 에 의한 a hormone binding target cell 에서 physiological response 로 간주된다.

 

l  plasma membrane receptors binding 하는 hormone molecules

 

l  a Scatchard plot Schematic representation

 

l  hormones Nonadditive and additive effects

 

l  plasma membrane hormone receptors

-      membrane receptors macromolecules 이다. 그리고 종종 glycoprotein 이다. -> 이것은 a specific hormone ligand 를 위해 high affinity display 한다.

-      Membrane receptors families characteristic structures functional properties 를 지닌다.

-      Membrane-bound receptors 4가지 main classes

1)     G(GTP-binding) coupled receptors superfamily

2)     Enzymes 이기도 한 receptors (ex) tyrosin protein kinase , serin/threonine kinase , guanylate cyclase)

3)     Enzymes 과 연관된 receptors (ex) tyrosine kinase 와 연관된 cytokine receptors)

4)     Ion channel coupled receptors

 

 

l  multi- and single- transmembrane receptors schematic representation

 

l  G-protein coupled receptors insertion 을 위한 schematic model

 

l  hormone action second messenger

-      cyclic nucleotides many hormone action 에서 second messenger 로 작용한다.

(c AMP : 3’5’-cyclic adenosine monophosphate -> hormone binding signal increased adenylate cyclase activity conversion 하는데 key 가 되는 것이다.

(c GMP : some hormone guanylate cyclase activate 시킨다.)

(phosphodiesterase : nucleotides cyclic ring cleavage 시키는 enzyme)

(methylxanthines c AMP and c GMP-dependent phosphodiesterase activity inhibit 시킨다.)

 

l  cyclic nucleotide synthesis inactivation

 

l  c AMP production and action

 

l  c AMP production action 에서의 cellular events

 

l  phosphodiesterase activity inhibitors

 

l  c AMP and related analogs

 

l  membrane receptor signal transduction

G protein dual control of adenylate cyclase mediate 한다.

- G proteins membrane-bound receptors coupling 함으로써 , transducers 로 작용한다.

- heterotrimers . 그리고 a subunit 으로 liberate 하기 위해 dissociate 한다. (알파,베타,감마 subunit)

- 20 알파 subunit , 4 베타 subunit and 4 감마 subunit diverse combination of G protein family 를 만든다. (20x 4 x 4 = 320 가지 families)

- Receptor/G protein interaction membrane ion channels direct activation 을 초래할지도 모른다. (ex) K+ , Ca2+)

 

Receptor “ cross talk” different signal transduction pathways 사이에서 일어날지도 모른다.

-      one second messenger concentration 의 변화는 종종 another 것의 concentration 의 변화를 초래한다.

 

l  receptor G protein-mediated signal transduction

 

l  multiple membrane messengers

(1)     phosphoinositides eukaryotic cells plasma membrane 내에 존재하는 phospholipids .

(2)     Three different messengers 1) arachidonic acid 에서도 만들어 지고 , 2) IP3 에서도 만들어 지고 , 3) DG , diacyglycerol 에서도 만들어 진다.

(3)     G proteins IP3 and DG formation

-      G protein a specific phospholipase (PLC) activate 시킨다. PLC phosphatydylinositol 4,5-biphosphate phosphodiester bond hydrolyze 시킨다. -> 그래서 IP3 DG 를 만들어 낸다.

-      DG PKC activate 시키고 , IP3 ER Ca2+ channel activate 시킨다.

 

l  signal transduction 에서의 PKC 의 역할

-      cell proliferation cell differentiation 에서의 factors 로 작용하는 components 들이다.

 

l  inositol phosphatase receptor signal transduction

 

l  eicosanoids hormone action

(1)   1930: human semen 과 동물에서 얻은 seminal vesicles extracts -> contract or relax 하기 위한 uterine tissue (prostaglandin , PG)

(2)   PGs: phospholipase A2(PLA2) 에 의한 arachidonic acids 로부터 만들어짐

(3)   PGE2 , PGF2알파 , prostacyclin I2 or thromboxane A2 (TXA2) converted 된다.

(4)   Arachidonic acid 5-lipoxygenase 에 의해 leukotrienes 을 만들어 낸다. -> LTA4 , LTB4 , LTC4 , LTD4 and LTE4

(5)   Arachidonic acids :

-      cyclic endoperoxide intermediates converted 된다. 그리고 cyclooxygenase system 에 의해 PGs 를 만들어 낸다.

-      5-lipoxygenase 에 의해 leukotrienes 으로 converted 된다.

 

 

 

l  prostaglandins

(1)  prostaglandins :

-      hairpin 을 형성하기 위해 bent 20 carbon carboxylic fatty acids .

-      PGF2알파 와 PGE2 : vascular smooth muscle activity control

(smooth muscle relaxation : PGE2)

(Smooth muscle contraction : PCF2알파 and PGI2)

 

 

(2)  Prostacyclins :

-      blood vessel wall(endothelial cells) 에 의해 만들어 진다.

(blood platelet aggregation PGI2 most potent inhibitor)

 

(3)  thromboxans:

-      thromboxans A2 calcium ionophore 로 작용한다.

(platelet aggregation 을 야기하면서)

(vascular and bronchiolar smooth muscle constriction induce 한다.)

l  leukotrienes

(1)   leukocytes 에 의해 만들어진다. 그리고 three conjugated double bonds 를 포함한다.

(2)   Vascular contraction extremely potent 하게 일으킨다. 그리고 vascular permeability induce 한다.

-      glucocorticoids anti-inflammatory actions phospholipase activity inhibit 시킨다. 그리고 leukotriene formation 을 위한 arachidonic acids restricts 한다.

(3)   leukotrines: the site of injury or invasion 에서 inflammation or allergic response induce 한다.

-asthma , chronic bronchitis , cystic fibrosis , septic shock , inflammatory bowel disease 와 같은 disorders 들은 the increased levels of leukotrienes 과 연관되어 있다고 보고되어 있다.

 

l  general scheme of eicosanoid biosynthesis and mechanisms of action

 

l  nuclear hormone receptor

steroid/thyroid hormone receptors

-      the hormones simple diffusion(단순 확산) 을 통해 , cells 로 들어간다.

-      The steroid hormones its cytosolic/nuclear protein receptor binding 한다. -> intracellular receptors a heat shock protein complexed dim er 로 존재한다.

-      Receptors DNA-binding form 으로 activation 된다. (transcription factor)

-      The receptor/steroid hormone complex cell nucleus translocated 된다.

-      The receptor/steroid complex DNA HREs and m RNA synthesis binding 한다. (transcription) results

-      M RNA cell-specific proteins 으로 translated 된다.

 

l  steroid hormone action mechanisms

 

l  hormones permissive , additive , synergistic actions

permissive action : 호르몬은 자신들의 effects 를 행사하기 위해 other hormones 을 위해 존재할 것임에 틀림 없다.

 

 

Steroid or thyroid hormones permissive actions

1.     specific m RNA synthesis 에서 their actions 을 통한 이와 같은 hormones membrane receptors 의 숫자를 늘어나게 만들 수 있다.

2.     thyroid or steroid hormones cyclic nucleotide-dependent protein kinase 의 양을 증가시키거나 , 감소시킬 수 있고 , 또는 c AMP or c GMP-dependent protein kinases 에 의한 phosphorylation 을 위해 이용 가능한 substrate 의 양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킬 수 있다.

3.     thyroid or steroid hormones cyclic nucleotide action 에 대해 antagonistic actions 을 지닌 another protein 에 대한 inhibitor 로서 작용할 수 있는 proteins synthesis 를 증강시킬 수 있다.

 

l  steroid hormones permissive actions

 

l  a protein substrate protein kinase phosphorylation

 

l  protein kinases phosphoprotein phosphathases 의 역할

 

l  receptor regulation

(1)   hormones receptor number 를 조절할 수 있다.

-      their own(homologous) or other(heterologous) receptors 를 조절한다. -> down , or up- regulation

(2)   receptor 는 협력적으로 hormones 에 대한 반응을 조절할 수 있다.

-      noncooperative , positively cooperative , or negatively cooperative

(3)   spare receptors hormone-responsive cells 에서 흔히 존재한다.

-      maximal stimulation receptors 를 지닌 cell 1%만 충족시킬 뿐이다.

(4)   hormone action termination

-      c AMP cytosolic phosphodiesterase action 에 의해 빠르게 destroyed 된다.

 

l  G-protein-coupled receptors(GPCRs) 에 의해 signaling 을 약화시키는 mechanisms

 

l  hormone action pathophysiological correlates

(1)     hormone deficiency 에 의한 syndrome : missing hormone 에 대한 increased sensitivity 와 관련이 있다. -> cell elevated levels of a hormone exposured 되면 , target tissue receptors 에서 decrease 를 초래할지도 모른다.

(2)     Thryoxine : cardiac muscle and vascular tissue 에서 베타-adrenergic receptors 의 숫자를 증가시킨다. -> sympathetic nervous activity 가 증강 된다. (=hyperthyroidism)

(3)     Myasthenia gravis : autoimmune disease . -> cholinergic(콜린 효능성의) receptor 에 대한 antibody acethycholine receptors 를 막는다. 그러면 , muscle dysfunction 이 일어난다.

(4)     Graves’ disease : thyrotropin receptors binding 하는 circulating immunoglobulins T4-T3 production 을 증강 시킨다. (=hyperthyroidism)

(5)     Cholera toxin : guanylyl nucleotide regulatory protein binding 한다. -> c AMP 를 생산하기 위해 adenylyl cyclase continuous activation 된다.

(6)     G protein mutation : some specific cell types 에서 oncogenes 으로 작용한다.

 

 

Ch 4. Methodologies

 

l  Endocrine methodologies

(1)   General considerations

1.     Source : hormone distribution -> hormone a single organ 이상에서 발견될지도 모른다.

2.     Structure determination and synthesis : peptide hormones -> amino acid sequence determined 된다.

3.     Biosynthesis : hormone production biosynthetic pathway delineated 되어야 한다.

4.     Secretion control : nervous system hormone secretion 을 조절할 수 있다.

5.     Secretion Cellular mechanisms : second messengers structural elements natures.

6.     Circulation and metabolism : hormones half-life

7.     Biological actions roles : replacement therapy

8.     Action mechanisms : hormone action 에 관련된 receptor signal transduction mechanisms

9.     Pathophysiological aspects : hormone existence a human pathological condition 에 의해 발견된다.

10.   Comparative endocrinology : some hormones structure and/or function 에서 conserved 된다. -> 이러한 관계의 adaptational significance 를 결정한다.

 

l  Histological-cytological studies 1

(1)   Light microscope : endocrine glands histological nature 를 결정한다.

(2)   Electron microscope : ultrastructural level 에서 cellular function 을 체크 ->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 electron microscope light microscope gap bridge 를 놔 준다.

(3)   Gross observation : anatomical localization , organ size , vascularization , innervation -> goiter , thyroid gland enlarged 된다.

(4)   Hypertropic (enlarged ) -> hyperactive

-       Atropic (더 작아 진다. ) -> hypoactive

(5)   Hyperplasia : cell number 의 증가

(6)   Histological staining : hematoxilin , a basic dye , blue -> DNA, RNA interact ; eosin , an acidic dye , pink -> basic elements , cytoplasm , interact 한다.

 

l  Histological-cytological studies 2

(1)   Immunocytochemistry :

-       Peptide or protein hormone 에 대한 antibodies fluorescence dye conjugated 된다. -> hormone-producing cell identify 하기 위해서 말이다.

-       Immunoenzyme histochemistry  : a hormone 에 대한 an antibody an enzyme(peroxidase) conjugated 된다.

-       Immunoperoxidase methods electron microscope : cell secretory vesicles the sites of the enzyme activity localize 시키는 게 가능하다.

 

(2)   Surgical methods :

-       A endocrine glands surgical removal physiological alterations assessment

è  A change endocrine function 을 제안한다.

-       Parabiosed animal test: removal of organ another organ hypertrophy 를 야기시킨다.

 

l  Compensatory ovarian hypertrophy

 

[그 다음 슬라이드]

(1)   Hormone replacement therapy :

-       Menopause 에서 ; bone mineral loss 생기므로 -> estrogen replacement therapy 를 시행

(2)   Hormone activity immunological neutralization :

-       Antibodies endogeneous hormones biological activity neutralize 시킨다. -> zona pellucida 에 대한 antibodies contraceptive vaccines 으로 사용 가능한 potential 을 지닌다.

(3)   Tissue extracts purifications :

-       Pigs , bovine , equine 등으로부터 insulin 얻기.

(4)   Chemical identification and synthesis :

-       Purified hormones 은 사용하기 위해 chemically identified 되고 synthesized 되어야 한다.

(5)   Bioassay

-       Muscle contraction relaxation , 또는 glandular secretion 과 같은 physiological responses

-       The frog skin bioassay : MSH hormone 을 위한

-       The steroid-primed uterus : this organ oxytocin-induced contractions 을 위해 사용 된다.

 

[Table 4.1]

l  Radioisotope studies

(1)   Various elements radioisotope (125I , 45칼슘 , 35S , 32P , 23나트륨 , 14칼슘 , 3H+) : 생리학적 그리고 생물학적 responses 를 결정한다.

-       125I thyroid cells 에 의해 taken up 된다. 그리고 , thyroid hormones (T3 and T4) incorporated 된다.

-       14칼슘 : glucose uptake

-       23나트륨 : 나트륨 uptake measure 한다.

-       35 : neurohypophysical synthesis?

-       32P : protein phosphorylation monitor 한다.

 

l  Radioimmunoassay :

-       The concentration of hormones 을 결정한다.

 

 

l  Radioreceptor assay :

-       Assay hormone natural membrane receptor 사이의 interaction employ 한다.

 

 

 

[Figure 4.3]

l  Principle of a typical immunometric sandwich assay

l  Scatchard plots comparsions

[Figure 3.2]

l  Gene expression- Autoradiography 에 대한 analysis

l  [3H ] uridine incorporation patterns

l  M RNA level a measure of gene expression 로써 analyzed 된다.

l  In situ hybridization

l  Pharmacological methods

(1)   Ouabine :

-       Na+/K+ pump inhibit 하기 위해 이용 된다. -> active transport systems(Na+/Ka+ ATPase) this hormone secretion mechanisms 에 관련되어 있을 지도 모른다.

(2)   Intracellular enzyme activity inhibitors:

-       Theophylline and caffeine , phosphodiesterase inhibitors ->  c AMP elevate 시킨다.

-       Iodoacetic acids : glycolysis blocks 한다.

-       DNP : oxidative phosphorylation uncouple 시킨다.

-       Colchicine : a plant alkaloid 로서 , tubulin binding 함으로써 microtubule assembly inhibit 한다.

-       Actinomycin D : RNA production inhibit 한다.

-       Puromycin and cycloheximide : protein synthesis inhibit 한다.

(3)   Ionophores :

-       A23187 -> Ca2+ cell 내로 carry 한다.

-       Valinomycin -> K+ ion specific 하다.

(4)   Liposome (phospholipid vesicle ) : vehicle (Ca2+) mast cells 로 이동 시키고 , histamine 을 방출한다.

(5)   Hormone receptor agonists :

-       Carbacol -> enzymatic degradation more resistant , cholinergic activity exhibit 한다.

-       Ergot alkaloids : dopamine receptor stimulate 한다. 그리고 MSH inhibit 한다. 그리고 prolactin secretion inhibit 한다.

(6)   Hormone receptor antagonists :

-       Chlorpromazine dopamine receptor block 한다.

-       Acetylcholine action  atropine 에 의해 blocked 될 수 있다.

(7)   Peptide hormones synthetic analogs

-       Receptor occupancy block 한다. -> hormone antagonists act 한다.

(8)   Cobalt chloride and alloxan :

-       Pancreas 의 알파 and 베타 cell destroy 시킨다.

[Table 3.1]

 

l  Insulin microbial production 을 위한 recombinant –DNA technique

l  Genetic engineering

(1)   Genetic engineering transgenic or knock out mouse 를 만들기 위해 이용된다.

(2)   1980년대 초 : mammalian embryos 에 처음으로 foreign genes injected . -> transgenesis approach endocrine research 에서 사용하기 위한 powerful tool 을 제공할 수 있었다. , DNA molecules (rat growth hormones) fertilized eggs microinjection 시킴 => giant mouse developed .

(3)   Commercially important animal 에서의 transgenic technology : metallothionein-베타 promoter full length type 1 GH gene fused -> 11 fold heavier salmons 이 만들어 짐.

(4)   Gene knock out animals : hormones and their receptors physiological roles 에 대한 vital information 을 제공함 -> gene deletion mutant animal loss of function essential role of a protein confirm 해 줄 수 있다.

 

728x90
반응형
LIST

WRITTEN BY
케노시스
다양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
728x90
반응형
SMALL

 [Endocrinology] 라는 원서 책의 1~2과를 정리한 내용입니다.

우리 몸의 내분비 시스템을 잘 이해하고 있으면 갑상선 관련 질환, 당뇨, 고혈압 등 우리 주변에서 흔히 관찰되는 많은 질환들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신경계, 근골격계 등과 함께 우리 몸의 중요한 한 축을 이루고 있는 내분비의 세계로 들어가 봅시다.

당시에는 새하얀 표지의 깔끔한 책이었는데, 요즘은 개정판이 많이 나왔으리라 생각됩니다.

 

 

 

내분비학 1

 

 

l  Introduction to Endocrinology

(1)  Historical perspective

-       1849년에 Berthold 라는 프랑스 과학자가 endocrine experiment 를 처음 함.

-       1950년도에 vertebrate invertebrate endocrine systems completed

 

-       An endocrine chronology

è  1849년에 Berthold : castrated cockerels -> comb wattles(육수) 가 발달하지 못함

è  Bayliss Starling 이라는 캐나다 생리학자가 1920 년도에: small intestine mucosa 로부터의 substances pancreatic juice 를 자극함 -> secretin

è  1905년에 Starling : factor hormone 이라는 용어를 도입함

 

l  Berthold Experiment : the First endocrine experiment

l  그 다음 장

(1)   1889년에 Von Mering Minkowski : 개로부터 pancrease removal 시킴 -> diabetes mellitus 증상이 나타남 , carbohydrate metabolism defect 로부터 초래됨.

(2)   1922년도에 Banting Best : islets of Langerhans -> carbohydrate metabolism control 에 있어서 필수적인 부분 , pancreatic islets extracts blood glucose level dramatic 하게 낮춤 : 이 물질에 대해 1912년에 Schaefer insulin 이라는 이름을 붙임

(3)   Walter Cannon : ANS(autonomic nerve systems) -> gastrointestinal(GI) smooth muscle cell contraction 하고 relaxation , GI secretion

(4)   1921년에 Otto Loewi : effector cell activity control 하기 위한 chemical messengers -> acetylcholine , norepinephrine

(5)   1953년에 sanger : insulin 을 위한 amino acid sequence 를 밝혀냄 그래서 노벨 상을 받음

(6)   1950년대 Vincent du Vigneaud : oxytocin vasopressin synthesized 해 냄. 그래서 노벨상을 받음

 

l  Neuropeptides and nobel prize

(1)   Sutherland , 1962 : a secondary messenger 로서의 c AMP 를 발견 해서 1971년도에 노벨상을 받음

(2)   Andrew Schally Roger Guillemin : TRH(thyrotropin releasing hormone) 의 구조 -> 250,000 마리의 돼지의 hypothalamus 로부터 extraction 시킴.

(3)   Schally : GnRH chemical structure 를 제공함 -> synthetic GnRH 를 가지고 인간과 domestic animal fertility control 하는 게 가능해 짐.

(4)   Guillemin : somatostatin 의 구조 -> pituitary somatotropin (growth hormone)에 대해 inhibitory , Schally , Guillemin , Rosalyn Yalow 1978년에 노벨상을 받음

(5)   Rita Levi-Montalcini Stanley Cohen : NGF , EGF 를 발견해서 1988년도에 노벨 상을 받음

 

l  C AMP TRH 의 구조

l  내분비학의 과학

(1)   내분비 선: 자신들의 호르몬을 immediate extracellular space 로 분비한다.

(2)   Comparative endocrionology:

-       Similar peptide structures amino acids sequences 를 비교

-       Drosophila : genes of hormones glands 로부터 large chromosomes 을 사용하여 visualized 시킬 수 있다.

(3)   Clinical endocrinology:

-       재조합 기술에 의해 human GH insulin gene 을 박테리아에 집어 넣을 수 있게 됨 -> 호르몬의 대량 생산이 가능해짐

l  The concept of homeostasis

(1)   Claude Bernard , 19세기의 프랑스 생리학자다. : 그가 말하기를 all the vital mechanisms , however varied they may be , have only one objective , that of preserving constant conditions of life in the internal environment.

(2)   Walter Cannon : organism 내에서 most of the steady states 를 유지하는 coordinated physiological processes 는 너무 복잡하다. 그리고 그래서 , living beings 에게 peculiar 하다. -> I have suggested a specific designation for these states  -> homeostasis

(3)   Homeostatic settings : not invariant 하다. -> timing 이나 , development 하는 stage , age , reproductive status 에 좌우 된다.

(4)   Feedback systems : negative feedback , positive feedback stimulus

 

l  Negative and positive feedback system

l  Two-hormone feedback system

l  Hormone and homeostasis

(1)   Glucose homeostasis

-       Normal human 내에서 blood glucose a precise concentration으로 유지된다. : many factors 가 관련되어 있는데 , 가령 food intake , rate of digestion , metabolism , excretion , exercise , physiological states 등이 관여 한다.

-       Insulin and glucagon

(2)   Calcium homeostasis

-       칼슘 이온은 blood clotting , cellular secretary process , muscle contraction , cellular signal transduction process 에 다 필요하다. -> calcitonin , parathoromone 은 칼슘의 level 에 관여한다.

è  Parathoromone : 1) stored calcium 을 방출하기 위해 뼈에 작용한다.

2) gut 에서 칼슘 absorption 을 자극한다.

3) kidney 에 의해 urine 으로부터 칼슘의 재 흡수를 증강 시킨다.

-> calcitonin : 뼈에 칼슘을 deposit 시킨다.

* glucose homeostasis

* calcium homeostasis

* sodium homeostasis

(1) sodium homeostasis :

- 나트륨은 body 로부터 계속적으로 lost 된다. : kidney 에 있는 osmoreceptors blood 내의 나트륨의 농도를 monitor 한다.

- Renin : a plasma protein angiotensin II 를 만들기 위해 a smaller peptide split 시킨다. -> aldosterone 을 방출하기 위해 adrenal cortex 를 자극 시킨다.

- aldosterone -> urine 으로부터 나트륨의 reabsorption 을 일으킨다.

(2) an endocrine gland 로서의 heart

- De Bold : atria 로부터의 saline extract urinary salt and water excretion marked increase 시킨다.

-ANF (atrial natriuretic factor ) : polypeptide 로서 , overload volume 에 대해 생리적으로 반응하는 a major regulator . -> blood volume 을 낮춘다.

 

*homeostasis 에서 neuroendocrine integration

(1) water balance control

- osmoreceptor and baroreceptor : osmolality detected 된다.

-ADH(antidiuretic hormone) : kidney cells 에서 water re-absorption 을 일으킨다.

-Vasopressin : smooth muscle cells contraction 을 일으킨다. -> blood pressure partial restoration 을 야기시킨다.

(2) body temperature control

- TSH : thyroid hormones 을 방출한다. 그리고 metabolism resulting heat production 을 자극한다.

(3) feeding behavior control

- Glucostat : brain basal hypothalamus 에 위치한다. -> blood 내의 glucose level monitor 한다. -> the sensation of hunger 와 관련된 other neuronal centers activate 시킨다.

 

 

l  Hormones and behavior , growth regulation and cancer

(1)   Sexual behavior :

-       Hormone courtship , mating , maternal behaviors 를 조절한다.

-       Male 내의 libido : gonads 에 의해 만들어진 androgens effects .

(2)   Hormones and homosexuality :

-       Anomalous sexual behaviors : some homosexual males anatomy male and female anatomical structure 사이 어딘가에 위치할 수도 있다. -> sexual activities biologically driven 되었을지도 모른다.

(3)   Oncogenes and proto-oncogenes :

-       Normal cellular growth control , abnormal cell growth 를 이끄는 cellular mechanisms activate 시키는 growth factor 또는 growth factor receptors 를 만들고 , 그들 스스로 uncontrolled(mutated) 될 것이다.

 

2 . Vertebrate endocrine system

 

l  Vertebrate endocrine system

(1)   Endocrine glands and their hormones

-       Endocrine glands (ductless glands) their products directly 하게 blood stream 으로 분비한다.

-       Adrenal steroidogenic tissue hormone 들은 compact mass of tissue 내에서 합성된다.

(2)   Bayliss and starling

-       소장은 bloodstream 으로 방출되는 the source of a substance . -> pancreas , secretin 등이 작용한다.

(3)  Neurotransmitters:

-       Chemical messengers neurons 으로부터 , nerve 사이의 synapse 로 방출된다.

(4)   ACTH 등과 같은 많은 peptide hormone. classical sense 로 기능한다. Blood borne hormones 은 또한 central and peripheral nervous system 내의 specific neurons 내에서 합성된다. -> neurotransmitter 로 기능한다.

(5)   Hypothalamus 는 가장 풍부한 chemical messenger 를 지닌다. 그리고 , endocrine hypothalamus 로 간주되어야 한다.

(6)   Neurohormones : hormones nerve cells 로부터 만들어 진다. -> neuropeptides(dopamine )

-       Neurohormones bloodstream 으로 분비될지도 모른다. -> 이것들은 또한 neuronal function 을 조절하는데 , neurotransmitter 처럼 nervous system 내에서 이런 기능을 담당한다.

(7)   Guillermin : hormone a cell 에 의해 방출되는 any substance 로 정의된다. 그리고 another cell near or far 에서 작용하는 것이다. source singularity or ubiquity 와 관계없이 그리고 conveyance , blood stream , axoplasmic flow or immediate intercellular space 등에 관계 없이 말이다.

 

 

[Table2.1] 참고

l  General classes of chemical messengers

(1)   Peptide hormones :

-       Amino acids 로 구성되어 있다. 3 amino acids , TRH : 180 A.A , pituitary gonadotropins -> peptide hormones

-       Linear chain : 알파-MSH or angiotensin II

-       A ring structure : disulfide bond 를 통한 bridge formation -> oxytosin (Fig 7.2) , vasopressin or somatostatin (figure 6.6)

è  Two chains : insulin , FSH , LH 와 같은 larger hormones

è  Interchain disulfide bonds : insulin , prolactin , GH

-       Amino acids sequences species 들 마다 다르다 : ACTH , calcitonin -> peptide hormone two or more isoforms a single species of animal 내에 존재할지도 모른다.

-       Peptides families

è  NCG , relaxin , somatomedins

è  Melanotropin family : ACTH , 알파-MSH , other melanotropins etc.

 

(2)   Thyroid hormones :

-       Throsine(T4) , triiodothyronine(T3) : normal growth and development 를 위한 indispensable.

(3)   Steroid hormones :

-       Adrenal or gonadal origin steroidogenic tissue 에 의해 만들어 진다.

-       Glucocorticoid : steroidogenic tissues 에 의해 만들어 진다. -> cortisol , corticosterone , and cortisone

-       Gonadal origin 에 의해 만들어 지는 mineral corticoids -> aldosterone

è  이러한 corticoids carbohydrate metabolism electrolyte balance 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       Sex steroids: androgens , estrogens , and progestins -> gonads or ovaries 에서 만들어진다.(pregnancy 동안에는 , placenta progestins estrogens 을 만들어 내는 an additional source 가 된다.)

 

[Figure 2.1]

[Figure 2.2]

[Table 2.2]

 

(4)   Neurotransmitter : - another nerve cells , a muscle cells , or a secretory cell 을 조절한다.(salivary gland cells)

-       Acetylcholine , norepinephrine , dopamine , serotonin

-       Dopamine : hypothalamus 로부터 방출 , 그리고 pituitary hormone secretion 을 조절하기 위해 blood borne hormone 으로서 작용하기도 한다.

 

(5)   Neuropeptides:
- endorphins : the central nerve system
을 통해 widely 하게 distributed 된다. -> opiate receptors 상에서 기능한다. , methionine enkephaline , leucine enkephaline and 베타-endorpins.

l  Neurotransmitters

[Figure 2.3]

(6)   Chalones : - endogenous mitotic inhibitors , TGF-베타

(7)   Peptide growth-stimulating factors : - NGF: neuronal maturation , EGF , erythropoietin (erythrocyte stimulating factors) , FGF 등등

(8)   Eicosanoids : - prostaglandins fatty acids 로부터 합성된다. ; thromboxanes , prostacyclines and leukotrienes

(9)   Pheromones : - one animals 에 의해 liberated 되는 a chemical substance . 그리고 a recipient animal chemoreception 에서 a relatively specific behavior modification 을 야기시킨다. -> air 에 의해 transported 되고 , olfactory stimulate 시킨다.

(10) Other growth regulators : - cell function 을 조절하는 chemical messengers : H+ , HCl , Ca2+ , Na+ , glucose , arginine

 

[Figure 2.4]

[Figure 2.5]

[Table 2.3]

 

l  Hormone synthesis

(1)   Peptide hormones : ribosomes 상에서 합성된다. -> rough ER 로 전달된다. -> Golgi apparatus 로 간다 -> secretory vesicles

(2)   Steroid hormones : - smooth ER 내에서 합성된다.

-       Mitochondria 내의 complex multiple enzyme systems  formation of steroids 에 책임이 있다.

(3)   Thyroid hormones : - thyroid gland 내의 production secretion

(4)   Neurotransmitters: - neurons axonal endings 내에서 합성된다.

(5)   Neuropeptides : - brain 내의 neuronal perikarya(핵 주위부) 내에서 합성된다.

(6)   Prohormones : - preprohormone -> prohormone -> active hormone

 

l  Control of hormone secretion

(1)   호르몬은 cell 내에서 합성되고 , secretory vesicles 내에서 packed 된다. : thyroid and steroid hormones 에서는 예외다.

(2)   Stimulation intrinsic (internal) 도 있고 extrinsic (light , sound , smell , temperatures ) 도 있다.

(3)   호르몬은 other endocrine glands other hormone secretion 을 자극한다. -> TSH , FSH , LH , and ACTH gonads target cells 을 자극한다. 그리고 thyroxine , gonadal steroid 등을 만들어 내기 위해 adrenal steroids 를 자극한다.

(4)   Metabolic substrates (glucose , amino acids ,) ions ( Ca2+ ) hormone secretion a selective stimulus 를 제공한다.

(5)   Cellular receptors hormones 또는 metabolites interact 한다.

(6)   Hormone secretion 과 관련된 Positive and negative inhibition : autoinhibition

 

l  Hormone delivery

(1)   Endocrine : messenger substances bloodborne -> classical definition

(2)   Neurocrine : neuron exonal extensions 에 의해 its target cells contacts 한다.

-       Neuroendocrine : the nerve 에 의해 방출되는 hormone bloodborne 이다.

(3)   Paracrine : an adjacent cells 로 방출되는 호르몬의 diffuse

-       Lumonal : 여기서 hormone the lumen of the gut 으로 방출된다.

(4)   Autocrine : 이런 특성을 지닌 hormones 은 그것을 만들어 내는 cell 상에서 fed back된다.

 

[Figure 2.7]

 

l  Hormone circulation and metabolism

(1)   Peptide hormones : - a short half life 를 지닌다. : shorter peptides MSH oxytocin 2~30 분이라는 특별히 짧은 half life 를 지닌다.

-       Peptidases biological regulation 에서 an essential role 을 수행한다.

è  Exopeptidase , endopeptidase , insulinase ; disulfide bond reduction

(2)   Steroid and thyroid hormones :

-       Steroid hormones half life plasmas proteins binding 함으로써 증가된다.

-       Thyroxine(T4) and triiodothyronine (T3) many tissues 내에서 deiodinated 된다. -> sulfate and glucuronides 를 형성하기 위해 liver 내에서 conjugate 된다.

(3)   Adrenal catecholamine and neurotransmitters : - COMT and MAO 에 의한 orthomethylation and oxidative deamination

-       Neurotransmitter action 은 매우 빠르게 종료된다. -> presynaptic axon 으로 다시 재흡수되어 , 재사용 된다.

[Figure 2.7]

[Figure 2.8]

[Figure 2.9]

l  Hormones 의 생리적인 역할

(1)   세포 합성과 , 다른 호르몬의 분비에 영향을 미친다.

(2)   Metabolic processes 에 영향을 미친다. : most cells 내에서의 anabolic and catabolic ->

Carbohydrates , lipids 등의 synthesis degradation ……

(3)   Muscle metabolism Contraction , relaxation 에 영향을 미친다.

(4)   Reproductive processes 을 조절한다. -> gonadal differentiation , maturation , gametogenesis

(5)   Hormones cellular proliferation 에서 stimulatory or inhibitory  하다 -> growth 에 영향을 미친다.

(6)   Inorganic cations anions excretion re-absoprtion 에 영향을 미친다. -> Na+ , Ca+ , phosphate ions

(7)   호르몬은 other hormones effects 에 대해 permissive actions 을 지닌다. -> certain hormones effectiveness another hormones action 에 의해 증강된다.

(8)   Animal behavior 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 sexual and aggressive behavior

 

l  Endocrine pathophysiology

(1)   충분한 호르몬을 만들어 내기 위한 a gland and tissue 의 실패 -> insulin

(2)   충분한 호르몬을 secrete 하는데 실패 -> tuberculosis 와 같은 질병에 의해 endocrine glands 가 파괴되었을 때

(3)   Hormone secretion overproduction -> excess cortisiol secretion Cushings syndrome 을 야기한다. ; hyperglycemia 를 일으킨다.

(4)   Excess hormone secretion many endocrinopathies neoplasm 으로부터 야기되는 거다. -> tumor 는 과도한 양의 호르몬을 만들어 낸다.

(5)   Endocrine disorders 는 호르몬-target cell interaction 과 관련된 a number of events 로부터 야기될 수 있다. -> testicular feminizing syndrome ; target cells hormones 과 반응하는데 실패한다.

 

 

* 모든 이미지는 구글 이미지를 통해 얻었습니다*

 

 

 

 

 

 

 

728x90
반응형
LIST

WRITTEN BY
케노시스
다양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
728x90
반응형
SMALL

DSM-5 에 나온 PD 진단 기준입니다.

일반적 성격장애로 1차적으로 분류가 가능한 사람들이 있습니다. 더 나아가 각 사람의 세분화된 personality 를 추적해 보면 disorder 수준의 병리를 지닌 경우가 있습니다. 한 사람을 하나의 카테고리로 환원시키는 작업은 늘 위험성과 헛점을 내포하고 있으나, 이러한 유형론이 지닌 유용성과 치료적 중요성도 고려치 않을 수 없습니다. PDM 에 나온 더욱 세분화되고, 역동적으로 서술된 성격 분류 체계를 함께 참고한다면 사람을 깊이 있게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성격장애(Personality Disorder)

일반적 성격장애(General Personality Disorder)
진단기준

A.   내적 경험과 행동의 지속적인 유형이 개인이 속한 문화에서 기대되는 바로부터 현저하게 편향되어 있다. 이러한 형태는 다음 중 2가지(또는 그 이상)에서 나타난다.

1.    인지(, 자신과 다른 사람 및 사건을 지각하는 방법)

2.    정동(, 감정 반응의 범위, 불안전성, 적절성)

3.    대인관계 기능

4.    충동 조절

B.    지속적인 유형이 개인의 사회 상황의 전 범위에서 경직되어 있고 전반적으로 나타난다.

C.    지속적인 유형이 사회적, 직업적, 또는 다른 중요한 기능 영역에서 임상적으로 현저한 고통이나 손상을 초래한다.

D.   유형은 안정적이고 오랜 기간 동안 있어 왔으며 최소한 청년기 혹은 성인기 초기부터 시작된다.

E.    지속적인 유형이 다른 정신질환의 현상이나 결과로 더 잘 설명되지 않는다.

F.    지속적인 유형이 물질(Ex) 남용약물, 치료약물)의 생리적 효과나 다른 의학적 상태(Ex) 두부 손상)로 인한 것이 아니다.

 

 

A군 성격장애 (Cluster A personality Disroders)

편집성 성격장애(Paranoid Personality Disorder)

진단기준 (301.0)(F60.0)

A.   다른 사람의 동기를 악의가 있는 것으로 해석하는 등 타인에 대한 전반적인 불신과 의심이 있으며, 이는 성인기 초기에 시작되며 여러 상황에서 나타나고 다음 중 4가지(또는 그 이상)로 나타난다.

1.    충분한 근거 없이, 다른 사람이 자신을 관찰하고 해를 끼치고 기만한다고 의심함.

2.    친구들이나 동료들의 충정이나 신뢰에 대한 근거 없는 의심에 사로잡혀 있음.

3.    어떠한 정보가 자신에게 나쁘게 이용될 것이라는 잘못된 두려움 때문에 다른 사람에게 비밀을 털어놓기를 꺼림.

4.    보통 악의 없는 말이나 사건에 대해 자신의 품위를 손상하는 또는 위협적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함.

5.    지속적으로 원한을 품는다. , 모욕이나 상처줌 혹은 경멸을 용서하지 못함.

6.    다른 사람에겐 분명하지 않은 자신의 성격이나 평판에 대해 공격으로 지각하고 곧 화를 내고 반격함

7.    정당한 이유 없이 애인이나 배우자의 정절에 대해 반복적으로 의심함.

 

 

B.    조현병, 정신병적 양상을 동반한 양극성장애 또는 우울장애, 다른 정신병적 장애의 경과 중 발생한 것은 여기에 포함시키지 않으며, 다른 의학적 상태의 생리적 효과로 인한 것이 아니다.

주의점: 진단기준이 조현병의 발병에 앞서 만족했다면 병전을 추가해야 한다. , ‘편집성 성격장애(병전)’

 

 

 

 

 

조현성 성격장애(Schizoid Personality Disorder)

(301.20)(F60.1)

진단기준

A.   다양한 형태의 사회적 유대로부터 반복적으로 유리되고, 대인관계에서 제한된 범위의 감정 표현이 전반적으로 나타나며, 이러한 양상이 성인기 초기에 시작되며 여러 상황에서 나타나고 다음 중 4가지 이상에 해당될 때 조현성 성격장애로 진단한다.

1.    가족과의 관계를 포함해서 친밀한 관계를 바라지 않고 즐기지도 않음

2.    항상 혼자서 하는 행위를 선택함

3.    다른 사람과의 성적 경험에 대한 관심이 거의 없음

4.    거의 모든 분야에서 즐거움을 취하려 하지 않음

5.    일차 친족 이외의 친한 친구가 없음

6.    다른 사람의 칭찬이나 비난에 무관심함

7.    감정적 냉담, 유리 혹은 단조로운 정동의 표현을 보임

B.    , 조현병, 정신병적 양상을 동반한 양극성장애 또는 우울장애, 다른 정신병적 장애 혹은 자폐스펙트럼 장애의 경과 중 발생한 것은 조현성 성격장애로 진단하지 않으며, 다른 의학적 상태의 생리적 효과로 인한 것이 아니다.

주의점: 진단기준이 조현병의 발병에 앞서 만족했다면 병전을 추가해야 한다. , ‘조현성 성격장애(병전)’

 

 

조현형 성격장애(Schizotypal Personality Disorder)

진단기준 (301.22)(F21)

A.   친분 관계를 급작스럽게 불편해하고 그럴 능력의 감퇴 및 인지 및 지각의 왜곡, 행동의 괴이성으로 구별되는 사회적 및 대인관계의 결함의 광범위한 형태로, 이는 성인기 초기에 시작되며 여러 상황에서 나타나고 다음 중 5가지(또는 그 이상)로 나타난다.

1.    관계사고(심한 망상적인 관계망상은 제외)

2.    행동에 영향을 주며, 소문화권의 기준에 맞지 않는 이상한 믿음이나 마술적인 사고를 갖고 있음(Ex) 미신, 천리안, 텔레파시 또는 육감 등에 대한 믿음, 다른 사람들이 내 느낌을 알 수 있다고 함, 아동이나 청소년에서는 기이한 공상이나 생각에 몰두하는 것)

3.    신체적 착각을 포함한 이상한 지각 경험

4.    이상한 생각이나 말을 함(Ex) 모호하고, 우회적, 은유적, 과장적으로 수식된, 또는 상동적인)

5.    의심하거나 편집성 사고

6.    부적절하고 제한된 정동

7.    기이하거나 편향되거나 괴이한 행동이나 외모

8.    일차 친족 이외에 친한 친구나 측근이 없음

9.    친하다고 해서 불안이 감소하지 않으며 자신에 대한 부정적인 판단보다도 편집증적인 공포와 관계되어 있는 과도한 사회적 불안

 

B.    조현병, 정신병적 양상을 동반한 양극성장애 또는 우울장애, 다른 정신병적 장애 혹은 자폐스펙트럼장애의 경과 중 발생한 것은 여기에 포함시키지 않는다.

주의점: 진단기준이 조현병의 발병에 앞서 만족했다면 병전을 추가해야 한다. , ‘조현형 성격장애(병전)’

 

  

 

 

B군 성격장애(Cluster B Personality Disorders)

 

반사회성 성격장애(Antisocial Personality Disorder)

진단기준 (301.7)(F60.2)

A.   15세 이후에 시작되고 다음과 같은 다른 사람의 권리를 무시하는 행동 양상이 있고 다음 중 3가지(또는 그 이상)을 충족한다.

1.    체포의 이유가 되는 행위를 반복하는 것과 같은 법적 행동에 관련된 사회적 규범에 맞추지 못함.

2.    반복적으로 거짓말을 함. 가짜 이름 사용. 자신의 이익이나 쾌락을 위해 타인을 속이는 사기성이 있음.

3.    충동적이거나, 미리 계획을 세우지 못함.

4.    신체적 싸움이나 폭력 등이 반복됨으로써 나타나는 불안정성 및 공격성

5.    자신이나 타인의 안전을 무시하는 무모성

6.    일정한 직업을 갖지 못하거나 혹은 당연히 해야 할 재정적 의무를 책임감 있게 다하지 못하는 것 등의 지속적인 무책임성

7.    다른 사람을 해하거나 학대하거나 다른 사람 것을 훔치는 것에 대해 아무렇지도 않게 느끼거나 이를 합리화하는 등 양심의 가책이 결여됨.

B.    최소 18세 이상이어야 한다.

C.    15세 이전에 품행장애가 시작된 증거가 있다.

D.   반사회적 행동은 조현병이나 양극성장애의 경과 중에만 발생되지는 않는다.

 

경계성 성격장애(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진단기준 (301.83)(F60.3)

대인관계, 자아상 및 정동의 불안정성과 현저한 충동성의 광범위한 형태로 성인기 초기에 시작되며 여러 상황에서 나타나고, 다음 중 5가지(또는 그 이상)를 충족한다.

1.    실제 혹은 상상 속에서 버림받지 않기 위해 미친 듯이 노력함(주의점: 5번 진단기준에 있는 자살 행동이나 자해 행동은 포함하지 않음)

2.    과대이상화와 과소평가의 극단 사이를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안정하고 격렬한 대인관계의 양상

3.    정체성 장애: 자기 이미지 또는 자신에 대한 느낌의 현저하고 지속적인 불안정성

4.    자신을 손상할 가능성이 있는 최소한 2가지 이상의 경우에서의 충동성(Ex) 소비, 물질, 남용, 좀도둑질, 부주의한 운전, 과식 등) (주의점: 5번 진단기준에 있는 자살 행동이나 자해 행동은 포함하지 않음)

5.    반복적 자살 행동, 제스처, 위협 혹은 자해 행동

6.    현저한 기분의 반응성으로 인한 정동의 불안정(Ex) 강렬한 삽화적 불쾌감, 과민성 또는 불안이 보통 수시간 동안 지속되며 아주 드물게 수일간 지속됨)

7.    만성적인 공허감

8.    부적절하고 심하게 화를 내거나 화를 조절하지 못함(Ex) 자주 울화통을 터뜨리거나 늘 화를 내거나, 자주 신체적 싸움을 함)

9.    일시적이고 스트레스와 연관된 피해적 사고 혹은 심한 해리 증상

 

연극성 성격장애(Histrionic Personality Disorder)

진단기준 (301.50)(F60.4)

과도한 감정성과 주의를 끄는 광범위한 형태로 이는 성인기 초기에 시작되며 여러 상황에서 나타나고 다음 중 5가지(또는 그 이상)로 나타난다.

1.    자신이 관심의 중심에 있지 않는 상황을 불편해함

2.    다른 사람과의 관계 행동이 자주 외모나 행동에서 부적절하게 성적, 유혹적 내지 자극적인 것으로 특징지어짐.

3.    감정이 빠른 속도로 변화하고 피상적으로 표현됨.

4.    자신에게 관심을 집중시키기 위해 지속적으로 외모를 사용함

5.    지나치게 인상적이고 세밀함이 결여된 형태의 언어 사용

6.    자기극화, 연극성 그리고 과장된 감정의 표현을 보임

7.    피암시적임. , 다른 사람이나 상황에 의해 쉽게 영향을 받음

8.    실제보다도 더 가까운 관계로 생각함.

 

 

 

 

 

 

 

자기애성 성격장애(Narcissistic Personality Disorder)

진단기준 (301.81)(F60.81)

과대성(공상 또는 행동상), 숭배에의 요구, 감정이입의 부족이 광범위한 양상으로 있고 이는 청년기에 시작되며 여러 상황에서 나타나고, 다음 중 5가지(또는 그 이상)로 나타난다.

1.    자신의 중요성에 대한 과대한 느낌을 가짐(Ex) 성취와 능력에 대해서 과장한다. 적절한 성취 없이 특별대우 받기를 기대한다.)

2.    무한한 성공, 권력, 명석함, 아름다움, 이상적인 사랑과 같은 공상에 몰두함

3.    자신의 문제는 특별하고 특이해서 다른 특별한 높은 지위의 사람(또는 기관)만이 그것을 이해할 수 있고 또는 관련해야 한다는 믿음

4.    과도한 숭배를 요구함

5.    특별한 자격이 있는 것 같은 느낌을 가짐(, 특별히 호의적인 대우를 받기를, 자신의 기대에 대해 자동적으로 순응하기를 불합리하게 기대한다.)

6.    대인관계에서 착취적임(, 자신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타인을 이용한다.)

7.    감정이입의 결여: 타인의 느낌이나 요구를 인식하거나 확인하려 하지 않음.

8.    다른 사람을 자주 부러워하거나 다른 사람이 자신을 시기하고 있다는 믿음

9.    오만하고 건방진 행동이나 태도

 

 

 

 

 

 

 

C군 성격장애(Cluster C personality Disorders)

 

회피성 성격장애(Avoidant Personality Disorder)

진단기준 (301.82)(F60.6)

사회관계의 억제, 부적절감, 그리고 부정적 평가에 대한 예민함이 광범위한 양상으로 나타나고 이는 청년기에 시작되며 여러 상황에서 나타나고 다음 중 4가지(또는 그 이상)로 나타난다.

1.    비판이나 거절, 인정받지 못함 등 때문에 의미 있는 대인 접촉이 관련되는 직업적 활동을 회피함.

2.    자신을 좋아한다는 확신 없이는 사람들과 관계하는 것을 피함.

3.    수치를 당하거나 놀림 받음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친근한 대인관계 이내로 자신을 제한함.

4.    사회적 상황에서 비판의 대상이 되거나 거절되는 것에 대해 집착함

5.    부적절감으로 인해 새로운 대인관계 상황에서 제한됨.

6.    자신을 사회적으로 부적절하게, 개인적으로 매력이 없는, 다른 사람에 비해 열등한 사람으로 바라봄

7.    당황스러움이 드러날까 염려하여 어떤 새로운 일에 관여하는 것, 혹은 개인적인 위험을 감수하는 것을 드물게 마지못해서 함.

 

 

 

 

의존성 성격장애(Dependent Personality Disorder)

진단기준 (301.6)(F60.7)

돌봄을 받고자 하는 광범위하고 지나친 욕구가 복종적이고 매달리는 행동과 이별 공포를 초래하며, 이는 청년기에 시작되며 여러 상황에서 나타나고 다음 중 5가지 (또는 그 이상)로 나타난다.

1.    타인으로부터의 과도히 많은 충고, 또는 확신 없이는 일상의 판단을 하는 데 어려움을 겪음.

2.    자신의 생활 중 가장 중요한 부분에 대해 타인이 책임질 것을 요구함

3.    지지와 칭찬을 잃는 것에 대한 공포 때문에 타인과의 의견 불일치를 표현하는 데 어려움을 나타냄(주의점: 보복에 대한 현실적인 공포는 포함하지 않는다.)

4.    계획을 시작하기 어렵거나 스스로 일을 하기가 힘듦 (동기나 에너지의 결핍이라기보다는 판단이나 능력에 있어 자신감의 결여 때문임)

5.    타인의 돌봄과 지지를 지속하기 위해 불쾌한 일이라도 자원해서 함.

6.    혼자서는 자신을 돌볼 수 없다는 심한 공포 때문에 불편함과 절망감을 느낌.

7.    친밀한 관계가 끝나면 자신을 돌봐 주고 지지해 줄 근원으로 다른 관계를 시급히 찾음.

8.    자신을 돌보기 위해 혼자 남는 데 대한 공포에 비현실적으로 집착함.

 

 

 

강박성 성격장애(Obsessive-Compulsive Personality Disorder)

진단기준 (301.4)(F60.5)

융통성, 개방성, 효율성을 희생시키더라도 정돈, 완벽, 정신적 통제 및 대인관계의 통제에 지나치게 집착하는 광범위한 양상으로 이는 청년기에 시작되며 여러 상황에서 나타나고 다음 중 4가지(또는 그 이상)로 나타난다.

1.    내용의 세부, 규칙, 목록, 순서, 조직 혹은 스켸쥴에 집착되어 있어 활동의 중요한 부분을 놓침.

2.    완벽함을 보이나 이것이 일의 완수를 방해함(Ex) 자신의 완벽한 기준을 만족하지 못해 계획을 완수할 수 없다.)

3.    여가 활동이나 친구 교제를 마다하고 일이나 성과에 지나치게 열중함(경제적으로 필요한 것이 명백히 아님)

4.    지나치게 양심적임, 소심한 그리고 도덕 윤리 또는 가치관에 관하여 융통성이 없음 (문화적 혹은 종교적 정체성으로 설명되지 않음)

5.    감정적인 가치가 없는데도 낡고 가치 없는 물건을 버리지 못함

6.    자신의 일하는 방법에 대해 정확하게 복종적이지 않으면 일을 위임하거나 함께 일하지 않으려 함

7.    자신과 타인에 대해 돈 쓰는 데 인색함. 돈을 미래의 재난에 대해 대비하는 것으로 인식함.

8.    경직되고 완강함을 보임

 

 

 

 

 

기타 성격장애(Other Personality Disorder)

 

다른 의학적 상태로 인한 성격 변화(Personality Change Due to Another Medical Condition)

진단기준 (310.1)(F07.0)

A.   병전의 특징적 성격 양상이 변화되었음을 나타내는 지속적인 성격장애(아동에서는 장애가 적어도 1년 이상 지속되고, 정상적인 발달에서 현저히 이탈되거나 개인의 통상적인 행동 양상보다 심각한 변화가 있어야 한다.)

B.    병력, 신체 검진 또는 검사 소견에서 장애가 다른 의학적 상태의 직접적인 병태생리학적 결과라는 증거가 있다.

C.    장애가 다른 정신질환(다른 의학적 상태로 인한 다른 정신질환 포함)으로 더 잘 설명되지 않는다.

D.   장애가 섬망의 경과 중에만 발생되지는 않는다.

E.    장애가 사회적, 직업적 또는 다른 중요한 기능 영역에서 임상적으로 현저한 고통이나 손상을 초래한다.

 

  

다음 중 하나를 명시할 것:

불안정형: 주요 특징이 정동 가변성인 경우

탈억제형: 주요 특징이 성적 무분별에서 드러나는 불충분한 충동 조절인 경우

공격형: 주요 특징이 공격적인 행동인 경우

무감동형: 주요 특징이 심한 무감동과 무관심인 경우

편집형: 주요 특징이 의심 또는 편집성 사고인 경우

기타형: 주요 특징이 앞의 어느 아형에도 맞지 않는 경우

혼합형: 임상 상황에서 주요 특징이 하나 이상인 경우

명시되지 않는 유형

 

부호화 시 주의점: 기타 의학적 상태의 진단명을 기재한다(Ex) 310.1 측두엽 뇌전증으로 인한 성격 변화), 다른 의학적 상태로 인한 성격 변화 앞에 기타 의학적 상태가 즉각적으로 부호화되고 분류되어 기록되어야 한다 (Ex) 345.40(G40.209) 측두엽 뇌전증, 310.1(F07.0) 측두엽 뇌전증으로 인한 성격 변화)

 

 

 

 

 

 

 

달리 명시된 성격장애(Other Specified personality Disorder)

(301.89)(F60.89)

이 범주는 사회적, 직업적, 또는 다른 중요한 기능 영역에서 임상적으로 현저한 고통이나 손상을 일으키는 성격장애의 특징적인 증상들이 두드러지지만, 성격장애의 진단 부류에 속한 장애 중 어느 것에도 완전한 기준을 만족하지 않는 발현 징후들에 적용된다. 달리 명시된 성격장애 범주는 발현 징후가 어떤 특정한 성격장애의 기준에 맞지 않은 특정한 이유에 대해 교감하기 위해 임상의가 선택한 상황들에서 사용된다. 이는 달리 명시된 성격장애를 기록하고, 이어서 특정한 이유(Ex) ‘혼합성 성격 양상’)를 기록한다.

 

 

명시되지 않는 성격장애(Unspecified Personality Disorder)

(301.9)(F60.9)

이 범주는 사회적, 직업적, 또는 다른 중요한 기능 영역에서 임상적으로 현저한 고통이나 손상을 일으키는 성격장애의 특징적인 증상들이 두드러지지만, 성격장애의 진단 부류에 속한 장애 중 어느 것에도 완전한 기준을 만족하지 않는 발현 징후들에 적용된다. 명시되지 않는 성격장애 범주는 기준이 특정 성격장애의 기준에 맞지 않은 이유를 명시할 수 없다고 임상의가 선택한 상황들에서 사용되며, 좀 더 특정한 진단을 내리기에는 정보가 불충분한 발현 징후들을 포함한다.

 

 

 

*모든 이미지는 구글 이미지에서 참고했습니다.*

 

 

728x90
반응형
LIST

WRITTEN BY
케노시스
다양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