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부부 관계의 친밀감에서 정서적인 공유만큼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 서로의 성적인 욕구를 발견하는 것이다.

 

성적인 관계가 안정적일 경우에 부부 관계를 질적으로 건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돕는다.

 

카산드라증후군의 경우, 부부 관계에서 서로 평행선의 관계를 유지하는 듯한 외로움을 경험할 수도 있다.

 

마치 서로 만나지 못하는 견우와 직녀와 같은 느낌일 것이다. 견우와 직녀가 일 년에 한 번 오작교에서 만나는 것처럼 평행한 관계에 다리를 놓는 것이 필요하다. 

 

그것은 각자의 영역을 유지하면서도 교집합의 시간을 늘려 가는 것이다.

 

그림에서 칠해진 영역이 점점 커져 갈 필요가 있지만, 욕심 내지 않고 서서히 접근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다음은 감각적인 과도한 압박과 붕괴를 대처하는 것이다. 자신이 공감 능력이 결여된 배우자로 인해 너무 외롭고 정서적 박탈감을 느낀다면 자신의 정서를 다룰 수 있는 방법들을 찾는 것이다.

 

마음 이론은 타인에 대한 공감과 이해 능력 정도를 평가한다는 의미의 심리학 용어이다.

 

정신이 기능을 정상 수행하거나 그렇지 못한 사람이 드러내는 행동 패턴 중 하나로, 신념, 의도, 욕구, 감정, 지식 등의 정신 상태가 자신 혹은 타인에게 있다는 것이다. 

 

마음 이론을 확장한다는 것은 말처럼 쉽지는 않다. 그렇지만 눈에 보이지 않아도 서로 조금씩 양보하고 배려할 때, 관계의 시냅스는 연결되고 자랄 수 있는 여지가 생긴다.

 

 

그 다음은 의사소통 기술을 증진시키는 것이다. 우리는 일상생활 속에서 항상 대화를 하기 때문에 가깝다고 느끼지만, 곧 어떤 대화를 하느냐에 따라 다르다는 것을 깨닫게 된다. 대화를 통해 서로 상처받기도 하고 이해하지 못해서 교감이 이루어지지 못하기도 한다. 

 

모든 부부와 가족에게 의사소통 문제는 존재하지만, 특히 카산드라증후군 부부에게는 더욱 두드러진다.

 

그 다음은 공동 양육 전략이다. 자녀가 있을 경우, 독박 육아를 하지 않기 위해서는 공동 양육 전략이 중요한 디딤돌이 된다.

 

자녀를 잘 양육할 수 있는 좋은 방법은 바로 배우자로부터 정서적인 지지를 받는 것이다. 이 같은 지지를 받기 어려운 경우에는 공동 양육에 대해 끊임없이 전략을 짜고 합의하는 과정이 중요하다.

 

결국은 해결 자체가 목적이 아니라 그 목적을 향하는 과정과 여정을 통해 부부가 접점을 찾고 평행선을 극복하게 되는 것이다.

 

마지막 단계는 판단하기를 멈추고 서로에 대한 기대를 점검해 보는 것이다. 

 

친밀한 관계가 힘든 이유는 기대감이 크기 때문이다. 우리는 길을 걸으며 우연히 스치는 관계에서는 쉽게 상처를 받지 않는다. 나는 관계에서 무엇을 기대하는가?

 

무엇을 바라는가?

 

또 절대 안되는 것은 무엇인가?

 

이런 경계선을 서로에게 말해 주고 알려 줌으로써 원하는 것은 해 주고 원하지 않는 것은 안 한다는 기본적인 원칙을 지킬 때 바람직한 관계가 될 수 있다. 

 

-[카산드라 증후군], 오카다 다카시 저-

728x90
반응형
LIST

WRITTEN BY
케노시스
다양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