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제목만 봐도 궁금해 지는 책이다.

 

20세기 현대 철학을 대표하는 두 거장인 하이데거와 비트겐슈타인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많이 되는 책이다.

 

책의 저자가 고등학교 사회 선생님임을 고려할 때, 이 책은 정말 대단하다.

[비트겐슈타인도 학교 선생님의 위치에 있었던  경력이 있다는 점이 떠오른다]

 

저자는 하이데거는 '현상학'이라는 방법론으로 철학적 물음에 대한 해답을 찾아나갔다면, 비트겐슈타인은 '분석철학'이라는 방법론으로 철학적 문제를 해결했다고 주장한다.

 

 

이 책은 구성이 깔끔하다. 이 책을 읽기 전에 필요한 '선지식' 들을 미리 학습시킨 뒤에 하이데거와 비트겐슈타인이라는 두 인물의 생애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 주고, 각 철학자의 대표 이론을 알기 쉽게 설명해 주며 마지막으로 두 철학자를 대결 구도로 만들어서 이야기를 융합시키며 마루리한다.

 

둘의 차이점이 드러나는 몇 구절을 나눠보자.

 

"하이데거가 말한 '존재의 의미'는 비트겐슈타인이 말한 의미하고는 거리가 있다. 하이데거는 '존재'라는 의미를 그것이 표현되는 언어로 국한하지는 않았다. 오히려 비트겐슈타인이 말한 언어의 한계를 넘어서는 영역에서 그것을 밝히려고 애썼다."

 

"하이데거 철학에 등장하는 시구와 같은 언어들은 비트겐슈타인에게는 많은 단계의 명료화를 거쳐야 하는 애매모호한 문장이었을 테고, 말로 표현할 수 없는 영역을 표현하려고 했기 때문에 일어난 일로 여겨졌을 것이다. 하지만 신비로운 영역의 존재에 대한 믿음을 가지고 있었던 비트겐슈타인이 하이데거가 이야기하고자 했던 영역의 존재를 부정하지 않았다는 것은 확실하다"

 

마르틴 하이데거

 

비트겐슈타인이 하이데거의 철학에 대해 남긴 유일한 글이 있다.

 

"나는 하이데거가 존재와 불안으로 무엇을 의미하려고 하는지 쉽게 생각할 수 있다. 인간은 언어의 한계를 뛰어넘으려고 하는 충동을 가지고 있다. 가령 무엇이 존재한다는 어떤 경이로움을 생각해보라. 이러한 놀라움은 질문의 형태로 표현될 수 없다. 그리고 그것에 대한 답변도 있을 수 없다. 우리가 말하는 것처럼 느끼는 모든 것은 이미 경험에 앞서서 무의미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언어의 한계를 뛰어넘는다. 언어의 한계를 초월하는 것은 바로 윤리이다.

(필자 의견: 언어의 한계를 뛰어넘는 개념이 윤리라고 표현할 수도 있지만 양심이나, 영혼, 신비주의적인 무언가, 누미노제의 체험 등 다양한 접근이 가능하지 않을까?)

 

나는 윤리에 대한 한담을 멈추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즉 지식이 존재하는지, 가치가 존재하는지, 선은 정의될 수 있는지 떠드는 것은 윤리에 대한 한담에 지나지 않는다. 윤리에서 우리는 그 문제의 본질에 관계하지 않고 또 관계할 수도 없는 것에 대해 말하려고 시도한다.

 

선에 대한 정의를 제시한다고 할지라도 그것이 우리가 진정으로 의미하는 본래적인 것에 대응한다고 생각한다는 것은, 마치 무어가 그랬듯이 언제나 오해이다. 그것은 진실로 논리적으로 확실하다. 그러나 언어의 한계를 뛰어넘으려는 경향은 무엇인가를 보여준다. "가엾은 인간이여, 너희들은 무의미한 것을 말하지 않기 위해 무엇을 원하는가? 무의미한 것을 말하라. 그것이 어떤 차이도 만들어내지 않는다"라고 아우구스티누스가 말했을 때, 그는 바로 이 점을 알고 있었다."

 

다시 저자의 이야기로 넘어가 보자.

 

"비트겐슈타인은 자신의 철학을 논리실증주의로 오해했던 카르납이 하이데거 철학을 신랄하게 비판한 것과는 달리, 오히려 하이데거가 말한 존재의 경이로움의 세계를 자신이 가지고 있는 언어의 한계로 보았다."

 

비트겐슈타인

 

비트겐슈타인이 하이데거 철학에 가까이 다가간 것 같은 구절이 있다.

 

"세계 안에서 사물들이 어떤 방식으로 있는가 하는 것이 신비스러운 것이 아니다. 오히려 신비스러운 것은 하여튼 세계가 존재한다는 것이다. 논리를 이해하기 위해서 우리에게 필요한 경험은 어떤 것이 어떤 상태에 있다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아무튼 무엇이 있다는 것이다. 이것은 경험이 아니다. 논리는 모든 경험에 앞선다. 즉 무엇이 그렇게 있다는 경험에 앞서 아무튼 무엇이 있다."

 

이 책의 제목처럼 하이데거는 존재의 차원에서 비트겐슈타인은 의미의 차원에서 철학적 문제를 해결하려고 하다 보니 하이데거는 존재의 본질을 인식하는 것을 통해, 비트겐슈타인은 언어 분석을 통해 그 철학적 문제를 해명하고자 했다고 저자는 이야기 한다.

 

그들의 관심 영역이 다르다 보니 하이데거 철학은 나중에 실존주의 철학의 다양한 분파를 만들어 냈고, 비트겐슈타인의 철학은 분석철학의 다양한 흐름을 만들어 냈다.

 

결국 결론은 하이데거는 경이와 신비로움으로 가득 찬 삶의 세계를 설명하고자 했고, 비트겐슈타인은 세계와 자아가 뒤엉킨 삶의 양식을 철학으로 설명하고자 했다고 한다. 그리고 하이데거는 세계의 내용을 드러내려 했고, 비트겐슈타인은 드러난 내용의 형식을 언어라는 도구를 사용해 다듬으려고 했다.

 

결국 내용과 형식을 각각 추구한 두 철학자의 사유를 잘 융합시키면 더욱 풍성한 '삶'을 해석할 수 있게 되지 않을까?

 

저자는 철학하기의 의의를 말미에 남겨둔다.

 

"비트겐슈타인의 주장처럼 일상 생활이나 과학이 가져오는 정보를 알기 위해 철학은 그것이 왜 가능한지를 정확히 분석해서 그 정보에 사용되는 의미를 밝힐 필요가 있다. 하지만 그것이 정말 의미를 갖기 위해서는 일상생활이나 과학이 설명하고자 하는 세계의 경이로움에 끊임없이 귀를 기울이지 않으면 안된다. 그렇게 하지 않으면 일상생활이나 과학이 추구하는 진리를 외면하는 것이 된다. 따라서 하이데거와 비트겐슈타인의 철학은 현대 과학지상주의가 불러일으키는 여러 현상을 생각할 때 우리에게 중요한 시사점을 주는 철학임에 틀림 없다."

 

 

두 철학자에 관심이 많은 이들이라면 이 책을 통해 이해를 돕고, 사유를 확장해 보면 좋을 것이다. 

728x90
반응형
LIST

WRITTEN BY
케노시스
다양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