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언어 전문가 조승연 씨의 [플루언트] 라는 책에서 발췌합니다.


영어 공부 등 언어 공부 전반을 시작하기 전에 이 책을 한번 읽고 가이드라인을 잡고 시작하면, 향후 도움이 많이 될 것입니다. 이미 오랜 기간 영어 공부를 하고 있는 이들도 fundamental 한 중요점들을 고민해 보고 영어라는 언어의 역사 및 뿌리, 원리 등을 고찰해 봄으로써 공부의 방향성에 새로운 전환점을 맞을 수 있을 것입니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영어 공부가 지겨운 이유 중 하나가 단어 외우기일 것이다. ​문장의 결을 파악하려면 문장 속 단어의 의미를 제대로 이해해야 하는데, 단어 수가 워낙 많기 때문에 아무리 열심히 외워도 모르는 단어가 계속 튀어나온다.


​그래서 내가 어릴 때는 '사전을 찢어 먹으면서' 처절하게 단어를 외우는 학생을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을 정도였고, 지금도 우리나라의 많은 중고등학생들이 하루에 수십 수백 개의 영어 단어를 외우는 데 시간과 노력을 쏟아 붓는다.

이에 더해 빅 데이터나 인지과학 등 새로운 기술 반전을 응용한 기발한 단어 암기 테크닉을 소개하는 책이 여러 권 출간되어 서점가를 휩쓸기도 한다.

이러한 현상은 그만큼 영어 단어 외우기가 모두에게 큰 숙제임을 반증하는 것이 아닐까. 그런데 영어 단어는 아무리 열심히 외워도 막상 쓰려면 막히는 것이 문제다. 그래서 영어 단어를 쓸 줄 안다는 것은 크게 세 가지로 정리 할 수 있다.

[1] 처음 본 단어도 척 보고 문맥상의 의미를 눈치 챌 줄 알아야 한다.

 

[2] 잘 아는 단어를 어떤 문장에서 발견하면 그 단어가 왜 그 문장에 쓰였으며 왜 그 자리에 놓였는지를 알아야 한다.

[3] 내가 표현하고자 하는 감정과 느낌을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는 단어를 말하는 속도에 맞추어 머릿속에서 찾아 입으로 내뱉을 수 있어야 한다.

우리는 대부분 모국어인 한국어에서는 이런 능력을 가지고 있다. 그래서 굳이 단어를 외우지 않아도 말을 잘한다. 영어 역시 반드시 이 세 가지 능력을 갖추어야 잘할 수 있다.

 

영어뿐 아니라 모든 공부가 어려운 이유는 ​사람의 머리가 말을 안 들어서가 아니라 너무 잘 듣기 때문이다.

 

우리는 한국어 단어를 듣고 비슷한 의미의 영단어와 매치시키며 암기하는 훈련으로 뇌를 엉뚱하게 길들인다.

그렇다 보니 말을 잘 듣는 머리가 위의 세 가지 능력을 기르는 대신 영단어를 보면 한국어로 의미를 댈 수 있는 전혀 다른 능력을 기른다.이것은 영어를 유창하게 하도록 도와주는 어휘 능력 향상을 오히려 방해한다.

​그래서 영어 단어를 죽어라 외워도 문맥상 단어의 의미가 조금 다르게 쓰이거나 막상 영어로 말을 하려고 할 때 적절한 단어가 떠오르지 않는 것이다.

​그런데도 왜 우리는 영어 단어를 비슷한 의미의 한국어 단어와 매치시켜 달달 외우는 공부법을 버리지 못하는 걸까? 단어에 대한 오해 때문일 것이다.

수만 개의 단어를 자유자재로 사용할 줄 아는 사람은 그 많은 단어를 모조리 암기해서 머릿속에 저장했을 것이라는 오해 말이다.

쉼의 공간
플루언트
조승연 저
국가란 무엇인가
유시민 저
과학은 논쟁이다
이강영 외 저
예스24 | 애드온2

그러나 ​외국어를 쉽게 배우는 사람은 단어를 머릿속에 저장해 두는 것이 아니라 문법처럼 공유된 단어 생성 원리와 규칙만 알아두고 상황에 따라 단어를 만들어 쓰고 해석할 줄 아는 것이다.

 

개그맨이 우스갯소리로 만든 신조어가 순식간에 전국적으로 퍼져나갔다가 일상어가 되는 것도 이런 원리 때문이다.

단어란 사용자의 머릿속에서 그때그때 만들어지는 것이기 때문에 영어 회화나 독해, 또는 미드 대사 등에서 튀어나올 수 있는 영어 단어 숫자는 거의 무한대에 이른다.

​그러니 아무리 열심히 많은 단어를 암기했다고 해도 또다시 생소한 단어들의 벽에 부딪치는 것이다. 특히 영어라는 언어는 새로운 단어가 유난히 빨리 만들어진다.

세계 곳곳에 흩어져 있는 약 10억 명의 영어 사용자가 집단지성으로 만들어내는 창의력의 불꽃놀이기 때문이다. 구글의 빅 데이터 분석에 의하면, 영어 단어는 ​2016년 1월 1일 기준으로 총 103만 5000개에 이른다고 한다. 세계에서 100만 개 이상의 단어를 가진 유일한 언어다. 또한 영어는 98분마다 새로운 단어가 하나씩 생겨나서 하루 평균 14.7개의 신조어가 태어난다고 한다.

그것도 사전에 등재될 만큼 일상적으로 쓰이게 될 단어만 통계에 넣었을 때의 이야기다.

실제로 1년 동안 인터넷 상에서 나타났다가 슬그머니 사라지는 영어 단어를 연 3만 개 정도로 잡는 통계도 있다.

 최근에 새로 영어 사전에 등재된 단어를 보면, 인터넷에서 follow 나 친구 설정을 취소한다는 de-friend와 de-follow 같은 새로운 동사가 있다.


여덟 쌍둥이를 낳은 엄마가 미디어에서 유명인사가 되면서 라틴어로 8을 뜻하는 octo와 mom(엄마)을 결합시켜 octomom(8쌍둥이 엄마)도 새로 등재되었다.


​게임 채팅방에서 '초보자' 또는 '새내기'를 뜻하는 newbie를 n00b 이라고 쓰던 것이 이제 보편화되었다고 판단되어 사전에 올랐고, 애인끼리 야한 문자 메시지를 보내는 것을 texting 에서 t 자를 살짝 바꾸어 sexing 이라고 부르는 것도 사전에 올랐다.


​반면에 gallerina(갤러리를 운영하는 프리마돈나 스타일의 여성), hangry(배가 고파서 짜증난다), multi-slacking(여러 가지 게으름을 한꺼번에 부리는 것으로 멀티태스킹의 반대말) 같은 단어는 미국 대학 캠퍼스에서 몇 년 전에 생긴 신조어인데 오랜 시간 살아남지 못하고 사라진 것으로 보았는지 사전에 오르지는 못했다.


-[플루언트] 에서 발췌함-

 

728x90
반응형
LIST

WRITTEN BY
케노시스
다양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