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약 하지 맙시다!!!! 경각심을 주고, 잘 이해하기 위한 지식입니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대마초는 해외에서는 주로 마리화나로 불립니다.
마리화나(marihuana)란 이름은 스페인어 여성 이름 중 가장 흔하다는 마리아(Maria)와 후아나(Juana)를 합쳐 만든 합성어죠. (포르투칼어 Mariguango<취하게 만드는 것>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더 유력하다고 함)
이것을 하면 '여성과의 성관계처럼 좋다' 혹은 '여성의 품처럼 아늑하다' 라는 뜻에서 시작된 단어로 보입니다. 단어의 시작부터가 은어인 거죠.
마리아의 M 과 후아나의 J 를 따러 MJ 라 부르기도 하고, 영어권 국가에서는 '메리제인'(Mary Jane)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그래서 팝 가사에서 메리제인이라는 여성을 찬양하거나 그리워하는 경우, 대마초를 비유한 것으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검열 들어오면, "이거 사랑 노랜데, 왜? 뭐?" 이러는 거죠.
'마리화나'라는 표현이 익숙해서 흔히 사용하지만, 공식 명칭은 '칸나비스'(cannabis)입니다. 그림을 그리는 '캔버스(canvas)'와 철자가 비슷하죠? 캔버스라는 명칭이 칸나비스에서 딴 겁니다.
앞에서 말했듯이 초기 캔버스는 대마로 만들어졌죠.
마리화나보다 칸나비스라고 부르는 것이 올바른 표현이지만 사회적 금기가 늘 그렇듯 정식 명칭보다는 은어가 많이 쓰입니다.
히피 문화의 영향 때문인지 '위드'(weed), '그래스(grass)', '그린(green)', '허브(herb)' 같이 친자연적인 애칭이 많고요. 또 대마초를 태울 때 나는 냄새가 스컹크의 방귀 냄새와 비슷하다고 해서 '스컹크(skunk)'라고 부르는 이도 있습니다.
물론 보통의 한국 사람들은 스컹크 방귀 냄새도 맡아본 적이 없을 테니 적절한 이름은 아니군요. 하지만 대마초 향이 워낙 독특하기 때문에 당신이 이전에 대마초를 한 번도 피워보지 않았어도, 냄새를 맡는 순간 대마초인지 담배인지 바로 구분할 수 있을 겁니다.
혹시 '데메테르'라는 향수 회사를 아시나요?
독특한 향을 만들기로 유명한 회사인데, 이들이 출시한 제품 중에 대마 향(칸나비스 향)이 있습니다.
모토는 "피우지는 말고, 향을 즐기세요" 입니다.
이 소식을 들은 네티즌들은 , "무슨 약을 빨고 향수를 만들면 저런 향을 만들 수 있지?" 라는 반응을 보였죠.
대마초의 냄새가 정말 궁금한 독자라면, 이 제품을 한번 테이스팅해보는 것도 좋은 방법일 듯합니다. 다만 주변 사람들이 좋아할지는 잘 모르겠네요. 저는 바로 앞에서 마리화나가 스컹크로 불린다는 사실을 여러분에게 고지했습니다.
한국의 꾼들은 대마초를 '떨'이나 '빵'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하시시를 마리화나의 다른 이름 정도로 알고 있는 이들도 많은데, 둘은 비슷하긴 하지만 조금 다릅니다. 하시시는 대마에서 성능이 좋은 암꽃과 잎만을 응축해서 만든 일종의 압축 마리화나입니다. 마리화나보다 8~10배 정도 강한 효과를 냅니다.
-[우리는 마약을 모른다, 오후 지음]-
'상식,유용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행] [미국-뉴욕 여행 추천 명소 및 추천 음식] (0) | 2019.03.30 |
---|---|
[천연마약 & 추출 알칼로이드] 대마(마리화나, 하시시) 에 대한 지식 (0) | 2019.03.25 |
마약의 구분 [만들어진 방식에 따른 분류] (0) | 2019.03.24 |
WRITTEN BY
- 케노시스
다양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나누는 공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