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엄마와 다른 아빠만의 역할은 구체적으로 무엇일까?

아빠가 타고난 본성으로 아이에게 해줄 수 있는 자연스러운 역할은 무엇일까?

이 궁금증을 풀기 위해 아주대학교 연구진과 함께 실험을 해봤다.

엄마와 아빠가 아이의 접근동기와 회피동기를 자극하는 데 특징이 있는지 알아보는 실험이다.

미국 컬럼비아 대학의 심리학자 토리 히긴스(Tori Higgins)는 인간의 동기를 '접근'과 '회피' 두 가지로 나누어 설명했다.

접근동기는 무언가 좋은 것을 얻기 위해 열심히 하는 것을 말하는 반면, 회피동기는 무언가 좋지 않은 것으로부터 벗어나거나 회피하기 위해 열심히 하는 것이다.

즉 접근동기란 뭔가를 적극적으로 해보겠다는 동기이고, 회피동기는 안정적인 지금 내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불안요인을 제거하는 것이다.

 

 

 

아이에게 이 두 가지가 다 필요한 것은 물론이다.

살면서 겪게 될 위험도 제거해야 하고, 미래에 대한 비전도 가져야 하므로.

그렇다면 남성은 ​접근동기가 강하고 여성은 회피동기가 강할까? 이런 성향이 아이를 키우는 데도 영향을 미칠까?

​제작진은 아버지와 아이, 어머니와 아이 짝을 대상으로 실험을 했다.

첫 번째는 해야 할 일 또는 하고 싶은 일 목록을 적고 아이의 미래 모습을 그리는 실험으로 진행되었다.

두 번째는 컴퓨터 실험으로, 모니터에 보이는 두 사선의 각도가 같으면 1번 키를 누르는 실험이다.

이 실험은 ​두 번에 걸쳐 하는데, 한 번은 맞힐 때마다 점수가 올라가는 접근동기 조건 하에서, 다음 번은 틀릴 때마다 점수가 깎이는 회피동기 조건 하에서 진행되었다.

​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치가 나왔다.

 

아버지와 함께 온 아이들은 접근동기 조건의 컴퓨터 실험에서 좀 더 정확하게 과제를 수행하는 경향을 보였다.

아버지와 함께 온 아이들은 평균 59.5의 정확도를 보였는데, 접근동기 조건에서는 61.7의 높은 정확성을 보였다.

 

 

 

반면 어머니와 함께 온 아이들은 같은 조건에서 53.5의 정확성을 보였다.

 

이는 아버지와 함께 있다는 사실이 아이에게 '못하면 안 돼'라는 회피동기보다는 '잘하고 싶다'는 접근동기를 북돋아주기 때문으로 해석할 수 있다. 반대로 회피동기 조건에서는 어머니와 함께 온 아이들의 정확도가 더 높았다.


​이러한 경향성은 첫 번째 설문조사 실험에서도 나타났다. 아버지와 함께 온 민기는 아버지와 활발히 이야기를 나누며 여행, 캠핑, 놀이동산, 축구 등 '하고 싶은 일' 위주로 적었다.

동진이도 아버지와 함께할 수 있는 운동, 기타 연주, 프라모델 수집 등 '하고 싶은 일' 중심으로 적었다.

딸과 함께 온 재은 아버지는 "재은이 하고 싶은 것 많지? 또 뭘 하고 싶어?" 라고 물으며 하고 싶은 것을 생각하도록 유도했다.

반면 석재와 석재 어머니는 '취직하기, 부모님 말씀 잘 듣기' 처럼 '해야 할 일'에 치중해서 적어 전형적인 회피동기적 모습을 보였다.

이 말은 무슨 뜻일까?

​아버지와 어머니가 줄 수 있는 동기가 서로 다를 수 있다는 뜻이다.

​전문가들은 남성은 접근동기가 강하고 여성은 회피동기가 강하다는 식의 일반화는 성립하지 않는다고 말한다.

다만 엄마들은 주로 아이와 밀착해서 생활하기 때문에 아이의 안전을 위해 회피동기를 자극할 수 밖에 없다고 한다. 아버지들은 상대적으로 아이와 떨어져 있으니 접근동기를 자극하기에 적합하다.

-[파더 쇼크] 에서 -

 

728x90
반응형
LIST

WRITTEN BY
케노시스
다양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