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현대 정신약리학의 정신적 선조는 그보다도 더 멀리 거슬러 올라간다.

고대 그리스 의사 히포크라테스는 기원전 4세기에 병리적 불안은 생물학적, 의학적 문제라고 규정했다.

히포크라테스는 이렇게 썼다.

 

 

                                -히포크라테스-

"[정신병이 있는 사람의] 머리를 갈라 보면 뇌에 습기가 많고 땀으로 가득하고 역한 냄새가 난다."

히포크라테스는 '체액'이 광기의 원인이라고 생각했다.

담즙이 뇌로 갑자기 몰려가면 불안이 일어난다.

(아리스토텔레스는 히포크라테스의 뒤를 이어 담즙의 온도에 중대한 비중을 두었다. 담즙이 따뜻하면 온화하며 열정적이고 담즙이 차가우면 불안하고 겁이 많다.)

히포크라테스는 불안 등 정신장애는 체액이 적절한 균형을 유지하도록 하면 나을 수 있는 의학적, 생물학적 문제라고 봤다.

그러나 플라톤과 그 추종자들은 정신세계는 생리학과 구분되는 자율성을 지닌다고 생각하여 불안이나 우울이 신체에서 비롯된다는 생각에 반대했다.

                               -플라톤-

 

어느 고대 그리스 철학자는 정신병을 생물학적으로 설명하는 것은 "어린애 이야기처럼 허황하다."​ 고 했다.

 

플라톤은 사소한 심리적 문제는 의사가 치료할 수 있지만(정서적 문제가 신체를 통해 나타날 때가 있기 때문이다.) 깊은 곳에 근원이 있는 정서적 문제는 오직 철학자들만 치유할 수 있다고 했다. 불안 등의 정신적 문제는 생리적 불균형이 아니라 영혼의 부조화에서 오며 여기에서 회복하려면 깊은 자아성찰, 자기통제, 철학을 따르는 삶이 필요하다.

플라톤은 "어떤 사람의 몸과 마음이 대체로 건강한 상태라면 배관공을 불러 집수리를 하듯 의사를 불러 사소한 질환을 고칠 수 있다. 그렇지만 전체적 구조가 망가졌다면 의사는 쓸모가 없다."고 했다.


따라서 영혼을 치료하는 데 적절한 방법은 철학 뿐이다.


히포크라테스는 헛소리라고 일축했다. "저 철학자들이 자연과학에 대해 쓴 글들은 미술과 무관한 만큼 의학과도 무관하다." 히포크라테스가 말했다.


병적 불안은 히포크라테스와 아리스토텔레스, 현대 약학자들의 생각처럼 의학적 질환인가?


아니면 플라톤과 스피노자, 인지행동 치료사들 생각처럼 철학적 문제인가?


프로이트와 그 추종자들이 생각하듯 어린 시절의 트라우마와 성적 억압에서 비롯된 심리적인 문제인가?


혹은 쇠렌 키에르케고르와 실존주의자들의 주장처럼 정신적인 병인가?


아니면 W.H 오든, 데이비드 리스먼(미국 사회학자, 교육자로 [고독한 군중] 등의 저서를 남김), 에리히 프롬, 알베르 카뮈, 또 무수히 많은 현대 사상가들이 선언했듯 문화적인 병인 동시에 우리가 사는 시대와 사회 구조의 한 기능인 것일까?


사실을 말하자면 불안은 생물학적 기능인 동시에 철학적인 기능이기도 하고, 육체와 정신, 본능과 이성, 개성과 문화 모두와 관련 있다.

 

우리는 불안을 정신적, 심리적으로 경험하지만, 분자나 생리학적 층위에서도 불안을 측정할 수 있다.


불안은 유전에 의해 만들어지는 동시에 양육에 의해서도 만들어진다.


심리적 현상이면서 사회적 현상이다. 컴퓨터 용어로 말하면 하드웨어의 문제(배선이 엉망이다)이면서 소프트웨어의 문제(논리적 오류가 있는 프로그램을 돌려서 불안한 생각을 일으킨다.)이기도 하다.


기질은 어느 하나에서 비롯되지 않는다.


위험 유전자라든가 어린 시절의 상처 같은 한 가지 원인에서 비롯되는 것처럼 생각하기 쉽지만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사실 스피노자와 두드러지게 침착한 성품이 본인의 철학 덕분인지 생물학적으로 그렇게 타고났기 때문인지 어떻게 알겠는가?


스피노자가 유전적으로 자율신경 각성 정도가 낮기 때문에 고요한 철학을 펼칠 수 있었던 것이지 그 반대가 아닐 수도 있지 않나?


-[나는 불안과 함께 살아간다] 에서 -

 

728x90
반응형
LIST

WRITTEN BY
케노시스
다양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
728x90
반응형
SMALL

 

 

  현대 과학은 히포크라테스의 견해가 좀 더 정확하다고 손을 들어주었다.

 

  마음은 실제로 몸 안의 뇌, 그리고 몸 전체에서 만들어진다.

 

  그렇지만 플라톤이 심리학 연구에 미친 영향 역시 강력하게 지속된다.

 

  플라톤이 프로이트에게 영향을 주었기 때문이기도 하다. [파이드로스]에서 플라톤은 영혼을 두 마리 말과 마부에 빗대 설명한다. 말 한 마리는 힘이 세면서도 말을 잘 듣고, 다른 말은 거칠고 난폭하다. 마부는 두 마리가 협력해 앞으로 나아가게 하기 위해 엄청난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인간 정신이 영적인 것, 본능적인 것, 합리적인 것 이렇게 세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는 시각은 프로이트가 정신이 이드(id), 자아(ego), 초자아(superego)로 이루어져 있다고 한 것과 일맥상통한다.

 

  플라톤은 심리적으로 잘 적응하려면 이성(logistikon)이 본능적인 욕구(epithumetikon)를 억제해야 한다고 프로이트보다 오히려 더 강조했다.

 

플라톤의 [공화국]에 나오는 다음 구절은 프로이트의 오이디푸스 컴플렉스(Oedipus complex)를 떠올리게 한다.

 

"우리의 욕망은 영혼의 이성적인 부분, 문명화 되어 통제하는 사고가 잠들어 있을 때 깨어난다. 그러면 우리 안에 있는 들짐승이 주로 알코올의 힘을 입어 일어나 합리적 생각을 밀어낸다. 이런 상태에서는 어떤 짓이라도 할 수 있다. 어머니를 범하고 사람들을 살해하는 꿈까지 꿀 것이다."

(20세기 초에 활동한 저명한 영국 신경과 의사 윌프리드 트로터는 이 구절을 읽고 이렇게 말했다.

 

"플라톤의 이런 말을 읽으니 프로이트가 점잖게 느껴질 지경이다."

 

 

 

-[나는 불안과 함께 살아간다] 에서

 

 

 

 

※ 모든 이미지는 구글에서 가져왔습니다.

 
728x90
반응형
LIST

WRITTEN BY
케노시스
다양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