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강사 소개

최용준 목사 (기독교 철학)

-
서울대학교 사회복지학과(B.A.)
-
미국 필라델피아 웨스트민스터 신학대학원
   Westminster Theological (M. Div.)
-
네덜란드 암스텔담 자유대학교 철학부
   Vrije Universiteit te Amsterdam (Drs.)
-
남아프리카공화국 포체프스트롬 대학교 철학부
   Potchefstroom University for Christian Higer Education (Ph. D.
기독교 철학)
-
독일 쾰른한빛교회 담임목사,
- VIEW, KUIS
교수(기독교 세계관, 기독교 철학)
-
유럽밀알선교단 이사
-
현재 2006 8월부터 2008 현재까지 벨기에 브뤼셀한인교회 담임목사로 있다.

 

 

 

 

[세미나] (주최:학문과 신앙 연구소 , 기독교적으로 가르치기 모임 (기가모)

학문과 신앙 그리고 문화(Faith, Science and Culture) : 헤르만 도예베르트의 선험적 비판(The transcendental critique of Herman Dooyeweerd)

[강의 시작]

1880년대에 아브라함 카이퍼가 자유대학을 설립. ‘영역주권이라는 제목으로 opening 연설을 했었는데, 학문과 신앙의 통합이라는 그의 비전을 분명하게 밝혔었다.

 

카이퍼의 비전이 지금도 계속 우리 대학에서 이어지고 있는지는 , 의문을 제기할 수 있지만 그러한 spirit 이 없어진 것은 아니고, 계속해서 적지 않은 학자들에 의해서 전해져 내려오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도예베르트는 카이퍼의 이론을 우주론적 철학으로 더욱 발전시켰다.

 

[문화의 개념] 학문과 신앙과 문화는 모두 연결되어 있다. ‘문화가 가장 포괄적인 개념이다.

è 정의:

인간활동의 총체 및 그 활동의 산물이며, 주위환경과의 상호작용으로 통해 발전된 삶의 양식 또는 라이프 스타일 그리고 인간의 삶을 향상시키고 풍요롭게 만들기 위한 역사적이고 동적인 과정.

 

손봉호 교수님,강영안 교수님의 지도 교수님인 반 퍼슨 교수의 문화관

1.    자연에 대한 개발(transforming nature)

->자연과의 interaction 을 통해 계속 새롭게 변혁시켜 나가는 거다.

2.    현실에 대한 관점(A perspective)

è 각 문화에 맞는 관점이 존재.

3.    세계의 개현(opening up of the world)

è 반 퍼슨, 도예 베르트 교수 모두 이 개현이라는 말을 쓴다. , 이 세상은 되도록 open 되도록 만들어 짐.

4.    전략(strategy)

è 한국 문화나 음식 들이 전략적으로 개발 된다.

5.    학습 과정(learning process)

è 세대를 초월해서 계속 대물림 되는 것이다.

6.    오픈 시스템(open system)

è 계속 발전되는 것이다.

7.    인간의 자유 및 책임성(human freedom/responsibility)

è 인간의 인격성과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다.

8.    신적 영역(the zone of the divine)

è 가장 궁극적으로 문화는 신적 영역이 있다. 즉 모든 문화는 신앙적인 의미가 담겨 있다는 것이다.

 

도예 베르트 교수의 문화관 (아주 systematic 하게 논지를 전개하시는 분이다.)

1.    개별적이고 구체적인 현상(individual and concrete phenomena)

è 각 지역에 구체적인 현상들

2.    현실의 한 국면 내지 양상: 핵심적 요소는 , 형성력 (an aspect of reality : its essence is , formative power)

è 문화라고 하는 것은 근본적으로 하나님이 주신 피조계를 발전시켜 나가는 힘이기 때문에 , 문화의 핵심은 형성력이라고 봄.

3.    문화는 하나의 , 사명(culture as a task (Aufgabe)

è 이뤄 나가는 하나의  task .

 

[문화상대주의 및 민족 중심주의]

1.    문화진화론 및 유럽중심주의 비판

è Primitive culture 라는 말은 이제 잘 안 쓴다. 너무 서구 중심적 발언이라고 생각해서 말이다. 아메리카 인디언이라는 말도 틀린 거다..그들은 인도 사람이 아니기 때문이다. 이것도 서구 사람들이 붙인 것이므로 , 그들을 요즘은 native American 이라고 부르곤 하는 거다. (문화 진화론)

è 반 퍼슨 교수님은 도예베르트 교수님이 너무 유럽 중심주의라고 비판을 하심. , 보르노빈 교수님의 제자들도 도예베르트의 이런 부분들을 많이 비판한다.(반 퍼슨, 도예베르트 , 보르노빈 교수님 모두 기독교 철학에 큰 영향을 미침)

2.    문화의 보편성과 특수성.

è 이 두 가지를 다 구별하자.

 

[도여베르트의 문화개현이론]

15개 양상 (15aspects)

규범적 양상의 개현 과정(opening process of normative aspects)

규범적 양상의 법칙면:규제적 원리(Law side of normative aspects : regulative)

è 하나님이 창조하실 때 , 법을 가지고 창조하셨는데 자연법’ , ‘규범이 있다고들 한다. 자연법은 자연 과학적인 법칙 이고 , 사실이고 변경 불가능하지만, 문화의 법은 규범적이라서 우리가 순종할 수도 있고, 안 할 수도 있는 선택의 여지가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규범적 양상은 잘못 갈 수도 있으므로 , 우리 인간이 어떻게 그것을 형성해 나가느냐를 고민해 나가는 거다.

인간의 형성:구성적 역할 (human formation: constitutive)

판단규범:통합화,다변화,개인화(criteria: integration , differentiation , individualization)

è 어떤 문화가 더 발달된 문화인지를 평가하는 기준이 있는데 , 그게 이런 것들이다.

è 모래알 처럼 분리된 게 아닌 , 통합된 세상

 

[문화의 종교적 근원성] (목사님이 정리해 보심)

1.    동양문화: 정적, 자연과의 조화 강조(oriental culture: static, harmony with nature)

2.    서양문화: 동적,합리적, 개인의 독창성(Western culture: dynamic, rational , creativity of individual)

è 개개인이 더 드러난다. 인물화에서도 개개인이 더 강조되어 있고 , 전 세계를 돌아다니며 global perspective 를 얻기도 했었고…. (어느 정도 성경적 세계관의 영향을 받은 듯…culture mandate 등도 적용하고…..)

 

[기독교적 문화관]

1)    창조(creation) -> 문화의 시작(the beginning of culture)

2)    타락(fall into Sin) -> 문화의 왜곡(the distortion of culture)

3)    구속

4)    완성

 

 

[기독교적 문화관의 내용]

[11:36] 이 가장 잘 압축된 구절이라고 보심.

만물이 그에게서 나고’ : 기원(origin)

그로 말미암아 있고:과정(Process)

그를 위하여 있습니다.: 목적(Purpose)

 

Form(창조)-> deform(타락) -> reform(구속) -> transform(완성)

 

[1.창조-문화의 기원]

창조의 정의 : Creator (창조주) -> Law() -> Creature (피조물)

도여베르트가 이라는 말을 많이 쓰는 이유는 그가 법학자라서..

[창조법의 두 종류]

1)    자연법-> 사실들(facts,is) ex) 중력의 법칙

2)    문화적 규범 -> 가치들(values) ex) 십계명

[문화의 범위]

1)    이 세상의 만물은 다 피조물이다.(The whole reality is thoroughly creaturely)

2)    하나님의 주권,주되심,왕되심(아브라함 카이퍼,칼빈도 이걸 강조함)

(the sovereignty , Lordship and Kingship of God)

(그래서 아브라함 카이퍼가 자유대학을 설립한 거다.)

 

[문화의 발전]

1)    창조는 하나의 open system 이다.(문화도 마찬가지고..)(튤립이 오므러져 있다가 점점 퍼져 나가는 것처럼)

2)    문화명령(cultural mandate) : 창세기1:28(발전에 대한 명령),2:15(보존에 대한 명령)~

(도여베르트의 xxxx 책에서 이 용어가 처음 언급됨)(아담이 동물의 이름을 짓는 것 부터가 , academic 한 활동이라고 보심….동물을 잘 관찰하고 , 그들을 잘 표현할 수 있는 이름을 짓는 다는 것은 , 그 당시의 the highest level 의 학문 수행을 한 것이 아니겠는가.)(식물도 잘 관찰하고 , 그것들을 개발해서 가인과 아벨에서 농경 사회까지 이끌게 만들고…)

3)    응답적 인간(Homo respondens)

4)    동산에서 도성으로

 

(에덴 동산에서 호마노 등 , 지하 자원도 언급이 되어 있다나…….아담과 하와에게 이런 것들을 개발하라고 주신게 아닌가 생각해 보심)

[문화와 역사의 응답성]

하나님의 말씀(독일어:Wort) -> 인간의 응답(antwort )-> 책임진다(verantworten) -> 책임(verantwortlichkeit)

 (독일어가 논리적이고 , 과학적이라서 이 언어를 쓰심)

(responsibility= response+ability) (하나님의 말씀이라는 기준에 우리가 어떻게 반응하느냐에 대한 이야기….)

 

[문화적 대리자로서의 인간] (‘동산에서 도성으로’)

에덴 동산에서 인간이 했던 모든 학문활동 들이 문화 활동들이 계시록에서는 완성된 도성으로 바뀌어져 묘사되어 있다고 보심.

 

[문화의 완성자 하나님]

‘(만물이)그를 위하여 있습니다.(11:36)

순환론적 역사관

직선적 역사관

창조는 완성을 지향한다.

 

[창조의 언약성]

하나님의 신실하심(33:20~21 , 25~26)

낮에 대한 나의 약정과 밤에 대한 나의 약정(my covenant with the day and my covenant with the night)

(하나님이 신실하셔서 우리가 학문을 할 수 있는 거다)

 

[:하나님의 형상]

     1)    삼위일체 하나님(Trinitarian God)

2)    인간(Human Being)

3)    ,진리,거룩함

[삼위일체 하나님의 창조]

The Father, the divine architect

The son , the divine builder[3:1~4]

The holy spirit , the divine artist [1:2][26:13]

 

[악의 문제]

C.S LEWIS 의 말을 인용하심.

 

 

[타락-근본적인 문제]

1.    타락의 범위(The Scope of the Fall)

-죄의 우주적 영향(the cosmic effect of sin)

2.    창조와 죄와의 관계(The relation of creation and sin)

-몸과 기생충(body and parasite)

3.    구조와 방향(structure and Direction)

-일반은총(common grace)

[11,12] 장을 비교해 보면 , 두 가지 학문의 방향성을 볼 수 있다.

가인의 후손들은 계속 동쪽으로 가면서 , 학문 활동을 하는데…..악기 만드는 사람도 있었고 , 나중에 바벨탑을 짓는데 , 건축과 모든 문화 활동의 합작품이라고 볼 수 있다. ….가인의 후손들의 학문 활동의 final product 였다….. 그들은 실패했는데 , 하나님을 인정하지 않고 인본주의적인, 내재주의적인 학문관을 가졌으므로 , antinomy(배율) 가 일어날 수 밖에 없다.

아브라함의 후손들은 다른 방향으로 감…..하나님의 나라를 향하여서 믿음으로 한 걸음 , 한 걸음 나아 갔었다.

[실락원] , [악의 문제]

 

4.왜곡된 창조세계(12:2)

5. 우상: 하나님과 인간의 왜곡

1) 내 앞에 다른 신을 두지 말라.

2) 아무 형상이든지 만들지 말라

 

모든 –ism 들은 다 도여베르트는 우상으로 본다. (이 모든 것들이 학문의 한 면 만을 절대화 하고 있으므로 우상이라고 말한다.)

타락한 인간은 우상을 만드는 공장과 같다라고 말함 -> Calvin ..

 

[죄의 가능성]

1.    창조에서 타락까지(죄를 지을 수 있는 상태)

2.    타락에서 구속까지(타락의 영향력 아래에 있으므로 죄를 안 지을 수 없는 상태)

3.    구속에서 완성까지(죄를 안 지을 수 있는 상태)

4.    완성 후.(죄를 지을 수 없는 상태)

 

[궁극적인 해결]

-완성된 회복: restoration accomplished

1) 회복으로서의 구원 (에피테제<Epithese> : -> 인간의 신체 일부를 회복시키는 것…..독일에서는 에피테티커 라는 직업이 있다….. 여러 의사가 협력하여 이런 일을 한다. 눈 한 쪽 없는 사람의 얼굴도 성형 시켜 주고….

2) 화해

3) 새로운 피조물(Renewal) : 고후5:17

4) 자연을 회복하는 은총

 

[구속사] 1) 원시복음:3:15 , 2) 노아와의 언약: 6:8,9:9~17 (노아도 ship builder 였다..상당히 학문적 연구가 되었어야 , 이런 걸 만들 수 있었을 것이다.)(그냥 나무 가져다 붙인 게 아니다.)

(노아가 자신의 지식,학문 문화 활동들을 집약시킨 게 방주다.), 3) 아브라함과의 언약(12:1~9,할례를 통해) , 4) 모세와의 언약 출:20 (안식일) (애굽에서는 우상을 만들 때 쓰이던 금속,자원들이 나중에는 하나님의 성막을 만드는 데 사용되었다.)(이것도 문화적인 활동이다.)(재료는 애굽에서 왔지만, 이게 금송아지를 만드는 게 아니라 법궤,지성소,성막 등을 만드는 데 쓰임…..바른 방향성을 회복한 것이다.) , 5) 다윗과의 언약(삼하:7 , 왕관) -> 왕관,성전 짓기 등이 다 문화 활동이었다. 6) 새 언약:26:27~28 (컵 이 상징으로 쓰임) (예수님이 모든 계층의 사람들을 만나심) (니고데모 같은 높은 학자도 만나고 , 천한 사람도 만나면서 문화 활동을 하심)(나중에 하나님 나라가 완성될 때 , 각자의 보물을 들고 드러간다는 계시록 21장 말씀의 성취가 아닐까)

 

[예수님의 사역]

1)    하나님 나라의 현재적 실재성( 12:28 , 13:12 , 10:38)

2)    이미 그러나 아직(already but not yet)

 

[구속의 성취와 적용]

1)    예수 그리스도

[교회:하나된 공동체]

1)    그리스도의 한 몸

2)    한 믿음 , 한 소망, 한 사랑, 한 세례

3)    인종과 민족, 문화와 언어를 초월한 하나됨.

 

[하나님의 나라와 그리스도인의 삶]

D-day(초림) , v-day(재림) (우리의 학문적,문화적 , 우리의 살마 전체가 성화되어 가는 과정일 것이다.)

 

[그리스도인의 라이프 스타일]

1.    목표(Goal) : 오직 하나님의 영광

2.    동력(Dynamic) : 삼위일체 하나님의 은혜

3.    동기: 하나님에 대한 믿음/사랑/감사

4.    상황

5.    기준

청교도 학자의 말 -> Theozoia (lilving onto God)

 

[21:1~4] (주해)

1)    새 하늘과 새 땅

2)    우주적인 새로움

[2] 거룩한 성:새 예루살렘]

-> 1) 신부로서의 교회: 가장 사랑스럽고 친밀한 교제

2) 가장 거룩한 도성

3) 가장 평화로운 도성

(21:16) -> 정 육면체 를 묘사함…perfect 를 상징 , 구약에 나타난 지성소의 완성이 천국인 것이다…. 가로,세로,높이가 같다는 건 , perfect harmony 를 나타낸다.

(새 예루살렘의 모든 재료가 보석으로 나타난다는 것은, 모든 활동의 완성 작품이라는 의미일 것이다.)

 

(3)함께 하시는 하나님

 : 1 )제단: 아브라함, 야곱 , 2) 성막: 모세 , Shekinah (히브리어로 성막을 덮은 구름’) (쉐키나,쉐카이나)

3)    성전:솔로몬 , 에스겔-요호와 삼마(the LORD is there) , 4) 성육신- 임마누엘 , 5) 성령의 강림, 베드로도 상당히 지성적으로 발전된 모습을 보여준다…..구약도 정확하게 잘 인용하고 6) 새 예루살렘

(4) 영원한 축복)

- 모든 눈물을 씻기심

-다시 사망,애통,,아픔이 없음

-하나님과 가장 친밀한 교제

-영원한 안식

-온전한 지식 (그 날이 오면 , 온전해 질 것이다….지금은 다 알 수 없지만)

-거룩,기쁨,섬김,풍요,영광,예배의 삶

(계시록 21장 후반부에 , 열왕들이 자신의 보화를 들고 주님께 나아간다는 구절이 있다…. ..하나님 앞에 우리가 모든 학문활동,모든 문화활동의 열매를 가지고 나아갔을 때 그것을 기뻐 받으신다는 의미일 것이라고 보심) (학문과 문화의 연속성이 있음을 믿으심, 물론 비연속성도 있음을 고백하심..)

 

[6. 도여베르트의 선험적 비판]

이론적 사고의 선험적 비판이란 무엇인가?(what is the transcendental critique of theoretical thought?)

[헤르만 도여베르트의 사상]

1.    의미로서의 실재

è 의미라는 용어를 많이 쓴다…..’실재라는 건 철저하게 dependent 한 것이지 , 자충족적일 수는 없다고 보기에 의미로 실재를 설명하고자 함.

2.    실재의 기본 구조

-선험적 기본 이념

1) 만물의 기원

2) 의미의 총체

-> 이 세상의 모든 총체들을 한 점에서 볼 수 있는 , 아르키메데스의 지랫대와 같은 point 를 이르는 말이다. 하나님이 지으신 이 피조물들을 totality 를 가지고 볼 수 있을지에 대한 idea .

3) 우주적 시간으로 연결된 의미의 다양성

-> 이 다양한 것들을 어떻게 구슬을 줄로 꿰듯이 꿸 수 있느냐를 고민함.

-> 우주의 다양성을 연결하는 건 시간이라고 봄. 우리는 시간의 제한을 받는 존재이기 때문이다.

(이 세상의 실재 , ‘기본구조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3가지 기본 이념)

( 3가지는 모든 철학의 전제가 된다고 봄….이 선험적 기본 이념을 수용해야 한다고 본다.)

 

[헤르만 도여베르트의 사상]

1.    개체 구조(individuality structure) -> 창조에 의해 주어진 구체적 사물의 법적 질서

2.    양상 구조(Modal structure) : 예기, 회기 및 핵을 가진 특정한 양상.

è ,공간,운동,물리(무생물),생물(식물),감각(동물),분석(논리),역사(문화),언어,사회,경제,,,윤리,신앙 등의 측면에서 분석이 가능하다.(다 합치면 사람)

Ex )쓰고 계시는 포인터를 가지고 개체 구조가 있고, 이걸 양상 구조 측면에서 각기 다뤄 주심..

(법학도 현실의 법적 양상논리적 체계가 합쳐져서 법학이 된다고 봄.)

(두 양상이 서로 마주보고 있다가 하나로 합쳐지면 그게 학문이 된다고 봄)

 

[이론적 학문 활동의 중립성 비판]

1.    의미의 총체성을 지향하는 이론적/철학적 사고

2.    이 지향의 방향성은 자아에 의해 결정됨

3.    이 자아는 다시 기원에 의존함.

(이런 철학적 사고도 종교적 뿌리에 의존한다고 본다.)

 

[법과 종속체]

     1) : 피조물과 창조주의 경계

2)    종속체: 그 법에 종속된 물체

3)    창조주:법의 제정자 : Law-Giver …..

(법의 제정자를 모르면 , ‘그 자체를 절대화 시켜 버린다…..ex) 도교,천리교 등..)

 

영역 주권의 원리-> 정부,교회,학교 의 영역 등이 있음을 아브라함 카이퍼가 처음 주창했는데 , 도여 베르트는 처음에 말한 15개의 양상은 각각의 독립적인 주권이 있는데 이들은 서로 서로 연결된다고 봄

마음: 4:23 (인간의 집중점)

모든 양상들을 초월하는 집중점/초점

인간의 삶에 있어 근원과의 관계

삶의 방향이 결정됨

 

[이론적 사고의 선험적 비판]

1.    이론적 사고의 종교적 뿌리 발견 (그의 주 저서다.)

2.    이론적 사고의 선험적 비판

3.    서양 사상/xxxxxxxxxxxxxxxx

 

[첫 번째 방법]

철학: 의미의 총체성에 대한 탐구

이론적 사고의 종교적 뿌리를 밝힘

문제: 이 철학의 정의에 동의하지 않음.

è 철학의 정의에 대해 인본주의 철학자들이 반대를 함.

 

[두 번째 방법] (비판 받고 나서 , 다시 고민하다가 두 번째 방법을 제시함)

이론적 사고의 분석

이론적 종합: 인간 존재의 집중점

-> 종합은 인간 존재의 집중점에서 일어나는데이건 결국 마음의 기원을 지향할 것이라고 말함……물론 이런 말에도 비판이 가능하다……..그러나 도여베르트는 ….. 이 모든 게 종교적 전제로 이어진다고 말한다..

 

마음의 기원을 향한 지향

 

이론적 사고는 종교적 전제를 가진다.

 

[7.서구 사상/문화의 종교적 기본 동인]

* 희랍/로마: 질료(자연을 숭배)와 형상(인간의 이성을 더 중요시)-> 처음에는 질료를 강조하다가, 형상을 강조했었다네………-> 도여베르트가 이걸 분석하고 , 내적 모순을 지적해 낸다….’양승훈 교수님이 쓰신 , [그리스도인으로 공부를 한다는 것은]출판사:CUP-> 이 책의 뒤에 부록에 학문의 세속화라는 도여베르트의 논문이 있는데 , 이걸 목사님이 번역하심……..이걸 참고하기…….Loose of western culture 라는 책을 보면 더 잘 나와 있다네

중세: 자연과 은총 -> 토마스 아퀴나스의 이야기 , ‘자연과 은총을 합치는 게 가장 이상적이라고 말함…. 중세 시대 모든 학문과 문화는 이 두 가지 motive 에 의해 이뤄졌다고 봄.-> 이건 오래 가지 못하고 분리되어 버림..-> 윌리엄 오캄이 , nominalism (유명론) 을 가지고 갈라 버린다….. ‘신 존재 이론은 이름만 있는 것에 불과하다면서 다 잘라 버림…. -> 그래서 르네상스, 어거스틴의 개혁주의로 갈라져 버림…….

근대: 자연(자연과학적 이상)과 자유(인격 이상,personality ideal) -> 자연과학이 다 발전하면 그 인간은 학문의 바벨탑을 만들 수 있다는 모더니즘이 태동함. 그러나, 이 둘이 함께 가지 못하더라. 자연과학이 발전되면 발전될수록 , 모든 게 원인과 결과로 결정되어 버리니 , causality 가 인간의 자유를 없애 버리더라….자유의 여지를 남기지 않더라그러므로 자연과학이 발전할수록 인간의 자유는 잃어버리게 된다고 말함….

 

기독교적 동인: 창조, 타락, 구속

->기본적 성경적 동인으로 돌아가자고 도여베르트는 주장함.

도여베르트가 문화에 대한 비판을 하게 된 것은 , 1945년도 이후에 유럽인들이 새로운 유럽을 어떻게 세워 나갈지에 대해 반성할 때 등장한 말이다. 아브라함 카이퍼는 그 이전부터 기독교 학문에 대한 비전을 가지고 등장한 것고 , 도여베르트나 , 폴러노빈? 교수는 철학적 접근을 시도하고 , 그들의 제자들은 기술,사회 철학, 문화 철학 등에 대한 발전을 더 시킴 (최근에 한국에도 몇 번 오심)

 

도여베르트의 선험적 비판을 적용해서 불교,샤머니즘,유교 등을 다룬 글도 자료집에 나와 있음.

도여베르트가 이런 걸 만든 이유는 , dialogue 를 하겠다는 것이고 , antithesis? Confrontation 을 하겠다는 것이다…….

도여베르트는 법 철학자라서 , 문화에 대해 날카롭게 다루지는 못했지만 scale 을 크게 만들어서 큰 그림을 그리게 도와준 건 대단한 거다..서구 문화 전체 , 문화 전체를 비판한다는 게 대단한 거다.

 

[김현정 교수님의 이야기: 심리학적으로 , 창조,타락,구속을 어떻게 해석해 낼지를 고민해 보기 시작하심.] (함석헌 선생님의 [뜻으로 본 한국 역사] 에 보면, 우리 역사 역시 하나님의 은혜,주권 가운데 있는 역사라면 이 글을 어떻게 읽어낼 수 있을 것인가………우리는 네델란드 인이 아니므로……)(손봉호 교수님이나 , 강영안 교수님이 도여베르트로 가지 않고 , 반 퍼슨 교수님 쪽으로 가신 것도 도여베르트의 자문화중심주의를 의식한 건 아닌지…)

도여베르트의 철학의 틀은 칸트와 후설이었기 때문에 , 이 사람의 사상에 동양적 사상이 들어올 여지가 거의 없었을 것이다. 반 퍼슨 교수님은 한국,아시아에 대해 잘 알아서 동양에 대한 insight 를 많이 지니고 계셨었다. 야콥 끌락베이크라는 분도 동일한 비판을 하심. 이 분도 동양 사상이나 아프리카  문화에 대해서도 open mind 를 지녀야 한다고 말한다.

 

한국의 근대사회는 복음,기독교의 공헌이 지대했다.

다른 교수님의 comment : 기독교 세계관을 가르치고 계시는 분임. 기독교적 정치학 등의 책들은 나오는데 , 기독교적 공학……..’착하게 살자로 귀결되는 건 아닌가……딱히 잡히는 게 없다나

가르치시는 교수님이시지만 , 가장 근본적인 문제를 다뤄 주심

(ex) 예수를 믿는 정치인이 뭐가 다르냐?......독일 같은 경우를 보면 기독교 민주당의 정책 자체가…., 노동당 등이 사민당과 다른 게 많이 있다네……그리고 네델란드의 Christian union 등도 , refugee 에 대해 , 가정에 대해 , 청소년 문제에 대해 , 조금은 다른 의견을 내기도 하신다.)

(‘윤리적 문제’….. ‘인간의 책임으로 귀결된다나…..) (기술을 아무리 잘 발전시켜도 , 인간의 윤리적 문제가 노출되면 바벨탑이 세워질 수 있음을 경고하심..)

 

근대 과학 (인본주의에 기반한) 을 세워 두고 , 그 위에 하나님을 얹혀 둔 느낌이 난다고 , 세계관 가르치는 교수님께서 말씀하심. (도여베르트는 모더니즘자체는 , 일반 철학자들도 포기했다고 봄….인간의 자율성,이성에 대한 환상은 포스트모더니즘에서 깨졌으므로 …..)(도여베르트는 77년도에 돌아가셨기에 , 지금의 상황은 이해를 잘 못하시겠지………..도여베르트 교수님의 제자들은 , ‘기술주의에 대한 강한 경계를 보임……..윤리적 의식 없이 기술이 발전되면 , ‘바벨 culture’ 가 된다고 우려함.

 

[학생들의 질문]

구조,총체성,뿌리 등에 대한 용어를 도여베르트가 쓰는 게 , 이미 모종의 이성적 전제가 들어가 있어서 , 포스트 모던적 사고에서는 , 해체주의라든지 , 구조주의라든지 …… 이게 안 먹힐 수도 있다. ..

 

도여베르트는 인본주의적인 철학을 개혁시키기 위해 모든 단어를 새로 만듬.

‘totality 자체도 없다라는 말도 , 하나의 명제가 된다.

[1:8~10] 를 근거로 삼아서 , totality 를 이야기 하기도 했었다네

 

희랍 철학에 있는 아르케라는 origin 이 존재하고……그가 말한 기원은 꼭 종교적인 개념이 아닐 수 있다.

 

[헌법 가르치는 법학부 교수님의 질문 -> 15개의 전제 중에서 , ‘political 양상을 안 만들었을까?]

è 그러게요..ㅎㅎㅎ

 

[개혁주의 멤버의 질문] -> 쉐퍼와 도여베르트의 비교

직접적인 관련은 없지만, 간접적으로는 연결이 된다. 궁극적인 agenda 는 같은데 , 도여베르트는 철학적 방법론 안에서 그걸 이룬 거고 , 쉐퍼는 좀 더 문화적인 영적인 approach 를 했다.

쉐퍼는 반틸과도 가까웠는데 , 반틸은 처음에는 도여베르트를 굉장히 좋아했는데 , common ground 를 계속 이야기 하는 도여 베르트를 싫어 함………반틸은 그런 건 없다고 봄

아브라함 카이퍼도 일반 은총에 대한 3권에 대한 두꺼운 책을 씀

(그러므로 , 비기독교인의 이야기 속에서도 , 얻을 게 있다고 보심)

 

*구글 이미지를 활용함*

 

728x90
반응형
LIST

WRITTEN BY
케노시스
다양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