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영양학>

 

14과 분자 영양학

 

 

 

영양과 유전

 

 

 

가. 유전자 구조

 

DNA nucleic acid+histone 8=nucleosome->Nucleosome 이 모여서->chromatin fiber -> chromosome

 

 

 

.유전정보의 전달

 

복제->전사-> 번역

 

 

 

복제(replication): parental DNA 를 복사하여 동일한 염기 배열을 지닌 daughter DNA 를 만드는 단계

 

전사(transcription): DNA 에 있는 유전 정보가 RNA 로 전달되는 과정

 

번역(translation): RNA 가 담고 있는 유전 정보를 ribosome 20개의 A.A 로 구성된 polypeptide 또는 protein structure 로 바꾸는 단계.

 

 

 

 

 

 

 

1.   gene replication and repair

 

 

 

DNA 분자는 방사선이나 알킬화제에 의해 끝없이 손상을 받는다.

 

è  이 손상을 제거하기 위해 DNA repair system(DNA 수복 체계) 를 보유함.

 

è  DNA 손상이 심하면 이상한 repair 가 이뤄지고 , 오히려 유전자 변이를 초래하여 암 등의 질병이 생겨버림

 

 

 

2.   gene transcription

 

m RNA(messenger RNA): polypeptide 의 합성을 위한 정보를 보유

 

t RNA(transfer RNA) : 아미노산을 활성화시켜서 운반하는 역할을 함.

 

r RNA(ribosomal RNA): ribosome 을 구성하여 단백질 합성을 보조함.

 

 

 

3.   gene translation

 

m RNA chain 에 있는 유전정보가 ribosome 에서 단백질의 polypeptide 로 번역됨.

 

 

 

Start codon 의 앞부분의 번역되지 않는 부위-> 5-UTR(untranslated region)

 

Stop codon 의 뒷부분의 번역되지 않는 부위-> 3-UTR

 

(역할: m RNA 의 안정도에 영향을 미침 , 단백질 합성을 조절하는 역할)

 

 

 

 

 

.영양과 유전자 발현 조절

 

 

 

1.   regulatory gene sequence gene transcription regulatory factor.

 

 

 

Gene expression regulation 의 많은 부분이 transcription initiation 단계에서 일어남.

 

è  이걸 조절하는 곳 promoter

 

 

 

<종류>

 

보전 유전자(constitutive gene)

 

: 거의 모든 세포에서 낮은 수준으로나마 활성을 갖는 promoter를 가지는 gene.

 

유도 유전자(inducible gene)

 

:몇 개의 tissues 나 특정의 발달 단계에서만 강하게 발현되는 genes.

 

-> 이들은 promoter region TATA box , GC box , CAAT box 등의 독특한 base sequences 를 지닌다. (여기에 단백질로 구성된 gene transcription regulatory factor 가 결합하여 RNA polymerase 에 의한 gene transcription 을 조절하게 됨)

 

 

 

이 외에도 enhancer , silencer 가 존재함.

 

(이들에게 유전자로부터의 위치와 방향은 안 중요함)

 

 

 

 

 



 

2.   영양소와 유전자 전사 조절

 

 

 

영양소가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방식

 

1.    영양소나 그 대사산물과 결합하는 물질들이 직접 유전자 전사 조절인자들을 활성화시킴으로써 유전자 발현을 조절

 

2.    영양소나 그 대사산물이 세포내의 신호전달 체계를 변화시켜 간접적으로 유전자 발현을 조절

 

Ex) 식이지방

 

-> 세포막의 지방산 조성을 변화-> 신호 전달 체계에 영향을 미침.

 

3.    hormone 분비와 nervous system action potential 을 변화시켜 간접적으로 유전자 발현을 조절.

 

Ex) 소화기관과 내분비기관을 구성하는 상피세포들이나 미주신경과 CNS 를 구성하는 신경세포들은 영양소를 인지하는 sensor , 또는 영양소가 결합하는 receptor 가 존재하며 이들을 통하여 영양소의 수준을 인식하고 , 신경과 내분기계를 통하여 뇌와 말초조직 사이에서 영양소에 대한 정보를 교환함.

 

 

 

3.영양소나 대사산물에 의한 유전자 전사 조절인자의 활성화 예

 

 

 

. 아연

 

 

 

 

 

.레티노익산(중요함)

 

* 비타민 A 로부터 합성됨.

 

*역할: 배아형성 , 골격형성 , 세포의 성장과 분화 , 대사 조절

 

*retinoic acid receptor 가 직접 유전자 전사 조절인자로 작용!

 

*retinoic acid receptor RAR(retinoic acid receptor) RXR(retinoid X receptor) 로 나눈다. (각각은 여러 종류의 이소형<RAR-a , b ,r RXR-a,b,r ) 으로 구성됨.)

 

*retinoic acid receptor 가 결합하는 부위-> RAR RXR dimer 를 형성해야 하며 , RXR homodimer 를 형성하거나, 갑상선 호르몬이나 , 비타민 D receptor 와 같은 다른 유전자 전사 조절 인자들과 함께 heterodimer 를 형성하기도 함.

 

 

 

 

.비타민 D

 

소장에서 ->칼슘의 흡수를 촉진시킴,

 

신장에서-> 칼슘의 재흡수를 촉진시킴

 

뼈에서->칼슘의 이동을 촉진시킴

 

결국: 칼슘의 항상성을 유지시킴.

 

 

 

  

 

. 지방산과 지방산 유도체

 

지방산이나 지방산 유도체와 결합하여 활성화 되는 유전자 전사 조절인자: PPAR(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s)

 

è  기능: 1.핵에서 RXR heterodimer 를 형성하여 지질과 당질 대사에 관여하는 다양한 유전자의 transcription 을 촉진.

 

 

 

PPAR-a : 1) , 근육 , 심장, 신장에 주로 존재함. 2) free fatty acid 의 섭취 및 b-oxidation 을 촉진시킴

 

 

 

PPAR-r : 1) 지방저장조직에 존재  2) 지방세포의 증식 및 분화 3) 지방 합성 4) 지방을 복부 지방조직에서 피하지방조직으로 재배치 5) 아디포넥틴의 분비를 증가시킴.

 

 

 

PPAR-d(델타) : 1) , 근육에 주로 존재 2) 지방 섭취의 변화를 감지하여 지방 산화를 조절 3) 이게 계속 활성형으로 유지되면 과식에 의한 지방간 생성이 저해됨. 4) leptin recptor 에 이상이 있는 db / db mouse 에서도 비만이 초래되지 않음. (즉 이게 비만치료의 main target 이다)

 

 

 

리놀렌산 , 아라키돈산-> 1) 둘 다 polyunsaturated fatty acid . 2) fat synthesis glycolysis 에 관여하는 enzyme , glucose receptor 등의 발현을 유전자 전사 단계에서 억제함.

 

 

 

원리:  polyunsaturated fatty acid 에 결합하는 전사 조절인자(PUFA-RF) 가 존재하여 이 부위에 결합하는 다른 전사조절 인자인 HNF4 의 활성을 억제할 듯.(그림 14-9)

 

 

 

(이것도 불완전한 원리다)

 

 

 

 

. NAD+/NADH 비율의 조절과 유전자 전사 조절

 

 

 

CtBP 1(C-terminal binding protein) -> NADH 를 인지하는 E sensor 로 작용함.

 

NADH 농도가 낮을 때-> monomer 로서 보조활성인자인 p 300 에 결합하여 histone acetylation 을 저해함. (gene transcription inhibit 된 상태)

 

 

 

NADH 농도가 높을 때-> CtBP1 이 서로 결합하여 dimmer 를 이루면서 p 300 이 자유롭게 방출되어 histone acetylation reaction gene transcription 을 촉진하게 된다.

 

 

 

SirT1-> 1) 사람에게 존재하는 Sir2 의 일종 2) histone deacetylase  3) E sensor 로 작용하는 대표적 단백질

 

원리: NAD+ 를 만나면 의존적으로 활성이 증가하여 보조전사활성인자 인 PGC1a(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gamma-coactivator-1 alpha) 와 결합하고 이 단백질의 deacetylation 을 유도하여 gene expression 을 조절함. 

 

 

 

Starvation 일 때 

 

->SirT1 PGC1a 를 통해 gluconeogenesis 에 관여하는 gene expression 을 증가시킴!

 

->SirT1 포도당 분해 에 관여하는 gene expression 은 억제하여 혈중 포도당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킴.

 

 

 

열량제한식이 제공-> 1) 노화가 억제 2) 수명이 연장됨

 

 

 

원리: SirT1 이 이번에는 p53 deacetylation 에 관여함.

 

, p53 의 전사활성을 억제하여 스트레스나 DNA 손상에 의한 노화와 세포 사망을 줄임.

 

 

 

4.   영양소와 단백질 합성 조절  (* 여기는 정리 안 함)

 

  

 

 

 

 

 

영양과 유전자 이상

 

영양소의 ADME 등에 관여하는 효소나 호르몬의 유전자에 이상이 생기면 영양소의 metabolism 에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짐.

 

 

 

유당분해 효소의 이상-> 유당불내증

 

아미노산 대사에 관여하는 효소들의 유전자가 결손되면-> 알캅톤뇨증 , 페닐케톤뇨증

 

Galactose 의 대사과정에 관여하는 효소의 결핍-> 갈락토오스 혈증

 

728x90
반응형
LIST

WRITTEN BY
케노시스
다양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
728x90
반응형
SMALL

앞날에 대한 막연한 근심은 대뇌피질 전두엽(Frontal lobe)의 과잉 활성화로 나타난다.

 

 

 

 

 

 

  일부 사람들이 사람들 앞에서 말을 할 때 느끼는 심한 불안이나 아주 수줍음이 많은 사람이 사람들 앞에서 느끼는 불안은 뇌의 전대상회라고 하는 부분의 과잉 활성화로 나타난다.

 

  한편 강박적 불안은 뇌 스캔으로 들여다보면 전두엽과 기저핵 안에 있는 하부 중추를 연결하는 회로에 교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1980년대 신경학자 조지프 르두의 선구적 연구 덕에 공포와 관련된 정서와 행동은 편도(amygdala)라는 기관에서 만들어 지거나 아니면 적어도 여기에서 처리된다는 것이 이제 잘 알려져 있다.

 

  편도는 뇌 아래쪽에 있는 아몬드 모양의 기관 인데 지난 15년 동안 불안에 관한 신경학 연구 대부분이 이 기관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프로이트나 키에르케고르는 정확히 몰랐지만 지금 우리는 세로토닌, 도파민, GABA, NE, Neuropeptide Y 등 여러 신경전달물질이 불안을 줄이거나 높이는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안다.

 

  또 불안에는 강력한 유전적 요인이 있다는 것도 안다. 구체적으로 어떤 요인인지도 이제 알아나가기 시작했다.

 

  수백 편의 연구 중 하나를 예로 들자면 하버드 대학교 연구자들이 2002년에 어떤 유전자를 집어냈고 언론에서 "우디 앨런 유전자"라는 이름을 붙였다. 이 유전자가 편도 등 공포 관련 행동을 관장하는 신경 회로 중요 부분에서 특정 뉴런 집단을 활성화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오늘날에는 연구자들이 이런 '후보 유전자' 여러 개를 목표로 두고 접근하면서 특정 유전자 변이와 특정 불안장애 사이의 통계적 상관관계를 살피고 이 관계를 '중재'하는 화학적, 신경해부학적 매커니즘을 탐구하고 있다. 유전적 성향이 어떻게 하여 실제로 불안한 정서나 장애로 발현되는지를 정확히 밝히는 게 목표다. ​

 

미국 국립정신건강연구소장 토머스 인셀 박사는 이렇게 말한다.

 

"불안을 정서로 보든 장애의 하나로 보든 이런 연구들을 통해 분자, 세포, 기관계에 대한 이해가 정서와 행동의 이해로 바로 이어질 수 있다는 사실이 가장 흥미롭다. 마침내 유전자와 세포와 뇌, 신경계 사이의 연관을 만들어나갈 수 있게 된 것이다."​

 

 

 

※ 모든 이미지는 구글에서 가져왔습니다.

728x90
반응형
LIST

WRITTEN BY
케노시스
다양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