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지라르는 니체와 하이데거 그리고 데리다의 해체주의 철학 등에서 발견되는 과도하고 급진적이고 위험한 '해체'보다는 인류 문명의 오래된 '축적된' 지식에 대한 존중을 강조한다. 

해체(deconstruction)라는 말은 파괴(destruction)뿐 아니라 건설(construction)도 파함한다. 이 데리다의 해체라는 말은 하이데거가 말한 철학적 사유의

'새로운 시작'(andere Anfang)을 연상케 한다.​

​......

 

 

아카데미 프랑세즈 '불멸의 40인'에 속하는 또 다른 학자인 미셸 세르(Michel Serres)는 2005년 지라르가 아카데미 프랑세즈의 정회원으로 선출되었을 때 했던 수락연설에 대한 답변에서 그를 '인문학의 새로운 다윈'(nouveau Darwin des sciences humaines)이라고 평가했다.

 

 

 

그래서 어떤 다큐멘터리 프로그램은 "인문학의 새로운 다윈"이란 제목으로 지라르의 학문적 여정을 소개하기도 했다.

 

또한 지라르는 '기독교의 헤겔'이나 '인문학의 아인슈타인'으로 불리기도 한다.


지라르는 다른 프랑스 포스트모더니즘 사상가들과 함께 논의를 해나가면서도 자신만의 관점을 가지고 독창적인 연구를 지속했다.


그래서 레비-스트로스(Claude Levi-Strauss)가 해독하려고 했던 신화의 수수께끼를 마침내 풀었고, '문화의 기원'을 희생양 메커니즘 속에서 해명했다.


바로 이런 이유로 해서 지라르는 문화의 기원을 해독한 '인문학의 다윈'이요, 문명사적으로 유대-기독교 전통을 다시금 비판적으로 변증하는 '기독교의 헤겔'과 같은 학자로 평가받고 있는 것이다.

 

 


지라르의 문명이론은 포스트모더니즘 철학 이후의 새로운 거대담론을 제시한다. 유대-기독교적 전통에 대한 진지한 연구로 인해 때때로 스캔들로 인식되어졌지만, 그렇다고 그가 항상 고립되어 있었던 것은 아니다.

1966년에 지라르 자신의 주도로 존스 홉킨스대학에서 열린 '비평언어와 인간과학'(The Language of Criticism and the Sciences of Man)이라는 제목의 학술대회에는 자크 데리다(Jacques Derrida)와 자크 라캉(Jacques Lacan), 롤랑 바르트(Roland Barthes), 루시엥 골드만(Lucien Goldmann) 등이 참여했다.

 

이 대회는 미국에서 프랑스 철학과 이론을 유행시킨 분수령이 되었으며, 데리다도 이 대회를 출발점으로 명성을 얻기 시작했다.

그가 여기에서 발표한[인간과학 담론에서의 구조, 기호 그리고 놀이](La structure, le signe et le jeu dans le discours des sciences humaines)는 해체주의 철학의 고전적 텍스트 중 하나로 여겨진다.

이 학술대회의 논문들은 [비평언어와 인간과학:구조주의 논쟁]이라는 제목으로 출판되었는데, 이 책에서도 당시 이 학술대회를 조직한 주도적인 인물로서 지라르를 언급하고 있다.

 

하지만 그는 이미 1961년, 자신의 모방적 욕망이론과 희생제의적 폭력과 박해에 대한 연구 성과로 출판된 [낭만적 거짓과 소설적 진실]을 통해 국제적 명성을 얻고

있었다.

그럼에도 지라르는 자신을 '구조주의자' 혹은 '후기구조주의자'로 분류하는 것에 대해 용감하게 저항했으며, 기존의 아카데믹한 영역들을 기꺼이 넘나들고자 했다.

 

그는 방대한 독서를 통해서 인간과학(les science de l'homme)의 많은 영역들, 곧 인류학, 심리학, 사회학, 그리고 신화와 종교의 영역들까지도 폭넓게 섭렵하였다.

-[르네 지라르와 현대 사상가들의 대화] -

 

 

 

728x90
반응형
LIST

WRITTEN BY
케노시스
다양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