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서 본 것처럼 지젝은 우리를 위해, 우리를 대신해서 놀란다.
그럼으로써 우리로 하여금 정치적으로 부적절한 관찰의 향락에 빠질 수 있게, 일반적인 경우라면 반드시 느꼈을 죄의식 없이 향락을 즐길 수 있게 해준다.
그것은 마치 '물론 나는 화장실이나 사도마조히즘, 그리고 발기에 관한 이 모든 이야기가 지극히 외설적이라는 점에 동의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이 모든 삶의 측면들을 이론화해야 한다.' 라고 말하는 것 같다.
이렇게 지젝은 죄의식 속에서 향락에 집착할 수 밖에 없는 보통 사람들의 자기 책망을 덜어주어, 좀 더 즐겁게 그의 책을 읽을 수 있게 만든다.
그래서 앞의 '거의' 라는 단어는 지젝이 '물신주의적 부인'(fetishistic disavowal)'이라고 부른 것으로 기능한다.
지젝은 자신이 말한 것이 '너무 노골적'이라는 사실을 알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그것을 말한다.
여기에는 부정어법(apophasis)이라 불리는 부인의 논리와 유사한 수사적 장치가 있다. 부정어법은 '어떤 것을 언급하지 않겠다고 말함으로써 바로 그것을 말하는 장치'다.
가령 '무슨 일이 있더라도 저는 목사님의 부정을 언급하지 않을 것입니다.' 같은 진술이 이에 속한다.
그래서 부정어법은 담화 내부의 구멍을 드러낸다.
어떤 것을 언급하지 않겠다고 말함으로써 바로 그것의 윤곽을 드러내는 것이다. 이처럼 부정어법은 내가 한 말의 한계, 혹은 지평을 드러낸다.
이를 지젝에게 대입시켜보면, 일상생활의 천박한 측면과 대중문화를 이론화 하는 가운데 지젝은 전통 철학의 한계를 드러낸다.
전통 철학이 언급하지 않겠다고 하면서 말한 것, 자위행위나 멜 깁슨 같은 것 말이다.
그래서 지젝이 다루는 대상은 철학 담론 내의 구멍, 곧 보통 적합한 이론적 제재를 구성하기 위해 이론의 영역에서 배제해온 것들이다.
이런 구멍을 다루는 행위가 일탈적으로 보이는 이유는, 그가 철저하게 보수적인 관점, 즉 전통적인 철학의 관점을 견지하며 그것들을 다루기 때문이다.
만야갸 지젝이 엄격한 철학적 관점도 없이 문화적 파편들을 분석한다면, 달리 말해 그의 이론이 그가 다루는 제재만큼이나 '저급'하다면, 그의 전체 기획은 따분해지고 우리도 그에게 관심을 갖지 않을 것이다.
지젝의 저작이 지닌 첫 번째 매력은 정확히 이와 같은 영역의 혼합, 즉 철학에서 언급하지 말아야 할 것을 말하는 것에서 비롯한다.
이는 19세기 중엽 프랑스 시인 보들레르(Charles-Piere Baudelaire)(1821~1867)가 사용한 공감각과 유사하다.
공감각은 '나는 푸름을 듣는다.' , '나는 큰 소리로 사물들을 본다' 처럼, 하나의 감각을 다른 감각과 이미지를 연합하여 묘사하는 것이다.
공감각은 낭만주의 시인들의 개별 감각 묘사가 무미건조해지고 세속적이 됐을 때 비로소 수립되었다.
고상한 철학과 저급한 대중문화를 혼합하는 지젝의 작업은 일종의 공감각, 즉 서로 다른 유형의 담론들을 혼합하여 그것들 각각의 특성을 더 뚜렷이 드러내는 것이다.
여기서 우리는 '말해지지 않아야 할 것에 대해 철학은 말하지 말아야 한다.' 는 관점이 정확히 독자의 관점, 철학의 대상을 미리 설정해온 우리 자신의 관점이라는 점을 놓치지 말하야 한다.
철학 자체는 자기 대상에 무관심하다.
차갑고 냉철한 지젝, 즉 '거의'라는 단어가 필요없는 이의 관점은 이 무심한 관점이다.
그래서 철학의 부정어법, 혹은 철학에 대한 '공식적' 담론에 뚫린 구멍은 철학 자체가 아니라 우리 자신이 구성한 것이다.
끊임없이 대중문화를 참조하여 철학을 더럽힘으로써, 아무것도 회피하지 않는 열정을 철학에 다시 불어넣음으로써, 지젝은 독자들의 공식적 편견에서 철학을 구해낸다.
이런 의미에서 지젝의 이론적 전복성은 정통 이론보다 훨씬 더 정통적인 성격에서 나온다.
그는 철학을 무겁고 진지하게 대했다.
문화에 대한 가볍고 유희적인 논의는 그것을 증명하는 징후이다.
to be continue~
'인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블로 피카소의 성적 활동과 하나님을 향한 마음 by 오스 기니스 (0) | 2019.09.22 |
---|---|
블레즈 파스칼과 하나님 - 오스 기니스 - (0) | 2019.08.24 |
[철학자] 슬라보예 지젝의 생애와 작품활동 [1] (0) | 2019.08.21 |
WRITTEN BY
- 케노시스
다양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나누는 공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