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의 저자는 객관적 기준으로 볼 때 커피도 마약 취급 안 해주고 국가가 자유로이 마시게 해 주면서 대마초는 왜 안되느냐? 라는 주장이 은연중에 깔려 있는 것 같습니다.
(제가 이 책을 읽으면서 느꼈던 인상은 그러했습니다.)
여러 가지 이해관계가 있으리라 생각합니다만 커피 마셔서 조현병이나 정신증 걸린 분은 통 못 들어봤지만 대마초 열심히 피다가 정신장애 발병하는 경우를 왕왕 목격하다 보니
(causal relationship 이 unclear 하긴 하지만), 좀 더 다각도로 검증을 해서 대마의 위험성도 잘 상기시켜 줬으면 좋지 않을까 하는 아쉬움이 듭니다.
자유로움을 예찬하는 것은 좋지만 어느 정도의 제한과 틀이 주는 중요성도 고민하게 됩니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카페인은 중독이 됩니다. 의존성이 있죠. 커피를 입에 달고 사는 사람은 반나절만 커피를 못 마셔도 금단증상을 보입니다. 집중이 안되고 머리도 멍해지고 속이 안 좋아지면서 손톱을 물어뜯게 되죠.
또한 카페인은 독성이 있습니다. 많이 섭취하면 죽을 수 있어요.
카페인의 치사량은 약 10g 인데, 이는 프렌차이즈 커피를 기준으로 했을 때 regular size 80잔 정도입니다. 커피 80잔을 한번에 마시는 사람이 없으니 안전한 것 아니냐고요? 그렇게 생각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치사량이란 사람마다 다르고, 특별히 카페인에 취약한 사람이라면 10잔 정도에 심장마비가 올 수도 있죠.
반면 마약류로 분류되는 대마초의 치사량은 '5분 이내에 자신의 몸무게만큼' 피우는 겁니다.
참고로 대마초 한 개비는 1g이 안 됩니다. 1g이라 치더라도 거식증에 걸린 깡마른 40kg 여성이 대마초를 피워서 죽으려면 5분에 4만 개비를 피워야 합니다.
제가 둘 중 하나의 방법으로 자살을 해야 한다면, 저는 커피 80잔을 마시겠습니다. 화장실은 많이 가야겠지만요. 물론 대마초는 꽤 특별한 경우입니다.
헤로인이나 히로뽕처럼 소량으로도 치명적인 약들이 있습니다.
이런 약물이 마약으로 지정된 건 어느 정도 타당해 보이죠. 하지만 경계선에 걸쳐 있는 애매한 의약품들은 필요에 따라 마약이 되기도 하고 안 되기도 합니다.
가령 2011년에 국내에서 향정신성의약품(마약류)으로 지정된 프로포폴(Propofol)이라는 약물이 있습니다. 프로포폴은 사회적인 이슈가 되기 전에는 병원에서 손쉽게 사용하는 전문의약품이었습니다. 갑자기 성분이 바뀌어서 마약이 된 게 아니죠.
사건이 터지자 그제야 국가가 마약으로 지정한 겁니다. 2017년 환각물질로 지정된, '해피 벌룬'(아산화질소)도 비슷한 경우입니다.
마약 관련법이 애매하다고 비난하는 게 아닙니다. 원래 법이란 건 사후적일 수 밖에 없으니까요.
문제가 생기면 그 때 관리하는 겁니다. 다만 제가 말하고 싶은 건, 여러분이 마약이라는 규정을 너무 고정적인 것으로 여길 필요는 없다는 거죠. 현재 마약으로 규정돼 있는 사약한 약물들도, 필요에 따라 합법적으로 이용되고 있으니까요.
-[우리는 마약을 모른다], 오후 지음 에서 -
'상식,유용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약의 구분 [만들어진 방식에 따른 분류] (0) | 2019.03.24 |
---|---|
[마약] 대마초의 농축 버전 하시시(hashish) (0) | 2019.03.22 |
기독교의 등장 그리고 마약의 몰락 [오후 저서에서 발췌] (0) | 2019.03.21 |
WRITTEN BY
- 케노시스
다양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나누는 공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