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로'에 해당하는 글 1건

728x90
반응형
SMALL

 

 

 

 

  군대에서 겁쟁이를 비난하는 건 당연한 일이다. 불안이라는 병은 당사자뿐 아니라 그 군인이 속한 군에도 재앙이 될 수 있다.

 

 


​  [앵글로색슨 연대기]에는 1003년 영국과 덴마크 사이에 벌어진 전투 기록이 나온다. 이 때 영국 지휘관 앨프릭은 너무 불안해져서 토하기 시작했고 부하들을 지휘할 수가 없었다. 결국 덴마크 군에게 살육당하고 말았다.

 

  불안은 전염되기도 쉽다. 그래서 군에서는 적극적으로 불안을 억누르려고 한다. 미국 남북전쟁 때 연합군은 겁쟁이처럼 구는 병사에게 문신을 새기거나 낙인을 찍었다. 1차 세계대전 때 전쟁 외상 때문에 신경증에 걸린 영국군은 "좋게 봐주어야 기질적으로 열등한 인간이며 나쁘게 말하면 엄살꾼에 겁쟁이다." 라는 소리를 들었다. 당대 의학서에서는 불안해하는 군인을 "도덕적 병자"라고 불렀다. (일부 진보적 의사들 (시인 시그프리드 서순을 치료한 W.H.R 리버스 등)은 전투로 인한 신경증은 도덕적으로 확고한 군인들도 걸릴 수 있는 병이라고 했지만 이런 의사들은 드물었다.).

 

  1914년 <아메리칸 리뷰 오브 리뷰스>에 실린 글에는 "장교가 자기 사병에게 발포하여 공황을 억제할 수 있다."라고 적혀있다. 2차 세계대전 이전까지만 해도 영국군에서 탈영병은 사형에 처했다.

 

​  2차 세계대전 때 처음으로 전쟁에서 심리학자들이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었다. ​전투 전에 군인을 선별하는 데에도 참여했고 그 뒤에 심리적 상처를 치유하는 일도 했다. 미군 100만 명 이상이 전투 후유증으로 정신과 치료를 받으러 병원에 입원했다. 그렇지만 일부 고위 장교들은 군인들을 이렇게 인간적으로 대우하는 게 전투 효과를 높이는데 무슨 도움이 되느냐고 불평했다.​

 

  나중에 미국 국방부 장관이 된 육군 장군 조지 마셜은 ​전선에서 겁쟁이나 꾀병군으로 간주될 병사들이 정신과 환자 취급 받는 상황을 개탄했다. ​정신과 의사들의 "지나치게 배려하는 전문적 태도" 때문에 군대가 응석받이 겁쟁이로 가득하다고 불평했다. 명망 있는 의학 저널에 전투 도중 공포증에 질리는 군인들은 불임 시술을 해야 한다는 영국 장군들의 의견이 실렸다.

 

​"이런 조치를 취해야만 군인들이 공포를 드러내는 걸 막을 수 있고 또 정신적 나약함을 다음 세대에 물려주는 일도 막을 수 있다."

 

​  영국과 미국 양쪽에서 고위 장교들은 "전쟁 신경증" 진단을 받은 병사들이 비겁함으로 유전자 풀을 오염시키지 못하게 막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제 우리나라가 나약함을 버려야 할 때가 되었다. 아무 쓸모없는 자들을 과보호하는 프로그램을 중단해야 한다."

 

  영국군 대령의 말이다.

 

  미 육군 소속 조지 패튼 장군은 전쟁 신경증이라는 게 존재한다는 사실을 부인했다. 조지 패튼은 "전투 피로"라는 용어를 즐겨 썼고 이런 게 단지 "의지의 문제"일 뿐이라고 말했다. 패튼 장군은 전투 피로의 확산을 막기 위해 당시 사령관이던 드와이트 아이젠하워에게 전투 피로를 사형으로 처벌 가능하게 하라고 제안했다. (아이젠하워는 거부했다.)

 

 

-3부에 계속-

 

 

 

※ 모든 이미지는 구글에서 가져왔습니다.

 

 

728x90
반응형
LIST

WRITTEN BY
케노시스
다양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