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보수언론이 참여정부와 문재인을 왜곡하고 오보로 때리기를 한다는 건 누구나 아는 이야기다.

독자들이 놀랄 만한 사실은 동아일보의 이 프레임을 경향신문도 그대로 보여줬다는 사실이다.  경향신문은 3일 밤 10시 26분, 동아일보의 원래 제목과 유사하게 <'문재인 위한 개헌 저지 보고서' 비문계 등 20명 '관련자 문책'> 이라는 기사를 올렸다.

동아일보는 양심은 있었는지 그날 밤 제목을 수정했다. 그런데 경향신문은 이미 3일 낮에 연구원이 보고서를 공개했음에도 이런 오보를 냈다. 더욱이 진상조사위의 결과가 발표된 후에도 제목을 수정하지 않았다.

이것이 내가 경향신문을 진보언론이라고 불러줄 수 없는 이유다. 나는 그들을 칭할 땐 '소위' 진보언론이라고 한다. 스스로는 진보를 자처하지만 뭐가 진보적인지 알 수 없기 때문이다.


참여정부가 막을 내린 이후 "아, 우리가 속았구나" 하며 시민들이 깨어났다.


그 전까지 우리나라 보통 국민은 '설마 언론이 그렇게 악의적인 거짓말을 할까?' 라고 생각했다.


우리 나라는 언론에 대한 신뢰가 정부에 대한 신뢰보다 굉장히 높은 나라 중 하나다. 선진국은 정부에 대한 신뢰가 언론에 대한 신뢰보다 높다.


선진국에서는 학교 정규 교육과정에서 '언론을 액면 그대로 믿으면 안 된다.', '언론은 인간이 하는 일이기 때문에 잘못될 가능성이 있고, 의도적으로 왜곡하기도 하는 나쁜 언론이 있기 때문에 늘 비판적인 시선으로 봐야 한다.'고 비판적인 관점을 가르친다.


그래서 선진국 시민들은 정부보다 언론을 믿지 않는 경우가 많다.


우리나라에는 독재의 유산이 남아 있고, 특히 노무현 대통령 이전까지는 제왕적 대통령을 경험했기 때문에 사람들이 언론을 더 믿는 경향이 있다. 언론이 정부보다 약자이므로, 약자가 약자 편에 서줄 거라 생각해서다.

 

 


그런데 노무현 대통령은 재임 기간에 언론과 치열하게 싸웠다.

 

왜 그랬을까? 대통령이 언론을 비판하면, 사람들이 보도 내용을 한 번이라도 제대로 읽어보고 양쪽 의견을 들어보고 판단하리라 믿었기 때문이다.

 

국민이 학교에서 언론 교육을 제대로 받지 못하니까 대통령이 몸을 던져 언론과 싸움으로써 사실을 밝히려 했던 것이다.


그런데 당시에는 큰 효과가 없었다고 생각한다.

 

대다수 국민이 여전히 제왕적 대통령에 대한 인식을 가지고 있었기에 '대통령이 언론을 탄압하는 게 아닌가' 하는 생각을 갖기 십상이었기 때문이다.


그 효과는 노무현 대통령이 돌아가시고 나서야 나타났다. 지금처럼 수많은 시민이 깨어난 데에는 수십 년 앞을 내다본 노무현 대통령의 전투가 큰 역할을 했다고 할 수 있다.


개헌보고서와 관련해서 반대자들이 궁극적으로 퍼뜨리고 싶었던 것은 박근혜처럼 문재인도 공조직을 사유화하고 비선을 작동시킨다는 프레임이었다고 본다.


실제로 반문 의원들이 언론에서 이런 주장을 하기도 했다. 그래서 친박, 친문 빼고 제 3지대에 모여서 내각제 개헌을 하자는 말을 아무렇지도 않게 한 것이다.


이거야말로 정말 위험하고 무책임하고, 반민주적, 반헌법적 발언이다.

 

친박이든 친문이든, 우리 정치에서 배제의 대상을 만들어선 안 된다. 그건 우리 헌법과 민주주의 정신에 어긋나는 것이며, 누구도 왕따가 되어선 안 된다.

 


 

하지만 친박은 심판의 대상이다. 민주주의에서 심판은 매우 중요하다. 민주주의의 핵심은 주기적 선거인데, 그 목표는 국민이 잠시 권력을 맡겼던 대표를 심판하는 것이다. 박근혜와 친박은 국정을 농단했고, 당시 박근혜 대통령의 5% 지지도가 국민이 어떤 심판을 원하는지를 보여준다.


나아가 압도적 국민 다수가 원해서 탄핵을 한 상황이기 때문에 친박은 심판받아야 마땅하다.


그런데 친노, 친문을 심판하겠다는 이들이 있다. 친노가 뭘 잘못했기에 그 후 두 차례의 정부가 지난 지금까지 심판 대상으로 오르내려야 하는가? 더욱이 친문은 집권을 해본 적도 없다. 이들을 어떤 잣대로 심판하겠다는 것인가?


친노, 친문을 배제해야 한다고들 말한다. 배제는 히틀러가 유대인을 학살하고 트럼프 대통령이 소수자를 차별하는 행위와 본질적으로 다르지 않다. 정도의 차이는 있겠지만 말이다.


보수언론은 나를 항상 대표적인 친노 논객이라고 부르지만, 정작 나는 친노 또는 친문 정치인이 누구인지 정확히 모른다.

 

 

아마 국민들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국민 눈에는 계파와 무관하게 개혁적인 의원이면 모두 친문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친문을 모르니 비문이 누구인지도 모른다. 그러나 반문은 누구인지 정확히 알고 있다. 이번 개헌 보고서 파동에 서명하고 조직적으로 움직이는 사람들이 비문이다.


그래서 나는 팟캐스트에서 이 문제를 다룰 때 기자들에게 이렇게 말했다.

 

성명서나 받아쓰지 말고, 이들이 조직적으로 회동해서 일을 계획하고 작전을 짜는 현장을 취재해보라고 말이다.

 

그 후 얼마 지나지 않아 실제로 성명서의 주인공들이 공개적으로 만나 계파 활동을 하는 게 언론에 포착되었다.

 

친문이 계파 활동을 한다는 기사나 증거는 본 적이 없지만 반문들은 떳떳하게 계파 활동을 한다. 그리고 이들을 언론은 일관되게 '비문'이라고 부른다. 하지만 분명하게 말하지만 이들은 정당정치에 반하는 '반문'이다.


-[왕따의 정치학]에서 -





728x90
반응형
LIST

WRITTEN BY
케노시스
다양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