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트레스 #자율신경 실조증 #적응장애 #몸 #스위치 #고장 #진행'에 해당하는 글 1건

728x90
반응형
SMALL

 

스트레스를 받으면 시상하부에서는 스트레스 호르몬의 방출과 함께 자율신경을 경계 태세로 만드는 반응을 일으킨다.

 

긴장 풀린 휴식모드인 부교감신경 우위 상태에서 전투 모드인 교감신경 우위 상태가 된다.

 

교감신경이 흥분하면 아드레날린이 방출된다. 그러면 혈압과 심박 수가 상승하고, 골격근이나 심폐로 가는 혈류량이 늘어남과 동시에 소화기관의 운동이 억제된다.

 

그러나 위기 상황이 끝나면 다시 긴장을 내려놓고 휴식을 취함으로써 균형을 유지하고자 한다.

 

 

그런데 강한 스트레스를 받으면 자율신경계 스위치의 전환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한다.

 

 

교감신경이 긴장된 상태로 유지될 때 흔히 나타나는 증상이 어깨 결림, 변비, 고혈압이다. 목 근육부터 후두부에 걸친 두통(근긴장성 두통)이 생길 때도 많다.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이 동시에 흥분되는 상황도 발생한다. 강한 불안과 긴장, 분노를 느끼는 상황에서 전형적으로 나타난다.

 

그 결과 예컨대 위의 점막을 보호하기 위해 분비되는 위점액의 분비가 줄고 동시에 소화를 위해 필요한 위산의 분비가 항진되는 등 모순된 작용이 일어난다.

 

결국 위염이나 위궤양을 일으킬 가능성이 커진다.

 

 

때로 남성에게 나타나는 발기부전 증상은 교감신경의 흥분으로 인해 발기에 방해를 받아 생기는데, 경우에 따라서는 발기되지 않은 상태에서 사정만 일어나기도 한다.

 

사정은 부교감신경의 흥분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너무 긴장한 나머지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 양쪽이 모두 흥분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반대로 큰 실망이나 억울함을 느낄 때는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의 작용이 모두 저하된다.

 

그렇게 되면 활력과 의욕이 없음에도 계속 긴장한 상태로 초조해하며 잠을 이루지 못하는 경향이 있다.

 

이른바 자율신경 실조증이란 교감신경이 과도하게 흥분하기 쉬운 상태 뿐 아니라,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의 균형이 무너져서 양쪽이 동시에 긴장하거나 동시에 이완되는 상태도 포함한다.

 

-[나는 왜 적응하기 힘들까?] 에서 -

 

 

728x90
반응형
LIST

WRITTEN BY
케노시스
다양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