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알리스터 맥그라스는 참으로 중요한 인물이다. 과학과 신학이라는 두 과제를 동시에 제대로 다룰 수 있는 이 시대의 몇 안되는 신학자이기 때문에 그는 중요하다. 

 

이 책은 그다지 어렵지 않다.

 

9.11 테러 이후에 등장하기 시작한 New Atheism (새로운 무신론) 운동에 대한 설명서라고 보면 된다.

 

그리고 그들의 행보가 어떤 측면에서 문제가 많은지를 조명해 주고 있다.

 

이 책은 일종의 역사서, 인물서라고 봐도 무방하다.

 

서두에서 새로운 무신론의 선두주자들에 대한 인물 설명이 제시되어 있다.

 

리처드 도킨스, 대니얼 데닛, 크리스토퍼 히친스가 대표적인 인물들로 소개되어 있는데, 맥그라스는 도킨스의 여러 주장들 중 '밈'의 개념에 대해서 그 실체를 전혀 증명할 수 없다는 점을 반박하고, 대니얼 데닛의 어설픈 철학에 대해 비판을 시도하며 크리스토퍼 히친스의 황당 무개한 주장에 대해서도 강력하게 반박한다.

(에드워드 윌슨, 칼 세이건 등 다른 주류 유물론적 자연주의자들도 함께 주목해 보자.)

 

'밈'의 '허구성'에 대한 부분은 나도 동의하는 바이고, 대니얼 데닛의 논증이 유신론적 철학자인 윌리엄 레인 크레이그 처럼 정교해 보이지 않고 고작 몇 페이지 만을 가지고 어설픈 논증을 마무리 짓는 그의 모습에서 당혹스럽다는 점에서도 의견이 같다.

 

 

히친스의 저서는 읽어보진 않았지만 맥그라스가 인용한 내용에 따르면 그다지 신뢰가 가지 않는다.

히친스는 자신의 책에서 일부 핵심 종교 사상에 대한 자신의 분석이 빈약하다면 그것은, 그 사상을 제대로 다룰 능력이 부족해서가 아니라, 그 사상이 본질적으로 비합리적이기 때문이라는 논리를 제시하는데 황당하기 그지없다.

 

사실, 새로운 무신론자들의 저서 중에서 제대로 된 철학이 가미된 변증서를 도통 찾기가 어렵다.

 

히친스는 역사적인 지식도 많이 부족해서인지 히틀러의 나치즘에 반대해 죽음으로 저항한 본회퍼 목사의 자세를 두고 "가상하긴 하나 모호한 휴머니즘"에 입각한 것이라고 주장하는데 본회퍼가 어떤 마음으로 그런 행동을 행했는지에 대한 사전 조사도 안 해 봤음을 반증한다. (참 지성인이 맞는 건가..)

 

그리고 히친스는 미국 인권운동 지도자인 마틴 루터킹이 실질적인 의미에서 기독교인이 아니었다고 말하는데 그 증거는 없다.

 

더 나아가 히친스는 테레사 수녀를 "광신도, 근본주의자, 사기꾼"이라고 혹평하며 "수백만 명의 사람들이 그녀로 인해 비참해졌다. 그 매춘부가 가야 할 지옥이 없다는 게 안타까울 뿐이다." -> 이 부분은 히친스가 실수를 인정하고 진심으로 사과했다고 한다. (OMG)

 

알리스터 맥그라스

 

이 책은 최근에 등장한 새로운 무신론을 기존의 온건한 무신론이나 열렬한 무신론과 구분하는데 왜냐하면 후자의 두 가지는 반드시 반유신론 적인 것은 아닌 반면에 새로운 무신론은 반드시 반유신론이어야 한다.

 

온건 무신론자들은 유신론자들과의 대화에 기꺼이 참여하려 하는데 그 예로 움베르토 에코와 로마 추기경인 카를로 마르티니의 대담을 들 수 있다. (이 둘의 대화는 책으로 출간되었다. 읽어볼 만 하다)

 

새로운 무신론자들의 주장을 들어보면 종교는 괴이하고 위험해 보이지만 실상 그 증거는 불명확해 보인다.

 

그들의 공격성은 하늘을 찌르기 때문에 맥그라스도 이들로부터 옥스퍼드 대학교 교수직에서 내려와야 한다는 압박을 받았다고 한다.

 

아이러니 하게도 그 때 맥그라스를 지지해 준 건 온건한 무신론자들이었다고 한다. 자신과 다른 관점을 지닌 이들을 향한 일말의 공간도 남겨두지 않고 그저 타자를 조롱거리로 만들고, 비참하게 만드는데만 에너지를 쓰는 '새로운 무신론 운동'은 심각한 문제가 있어 보인다.

 

그렇다면 새로운 무신론은 흥왕하고 있을까?

 

이 책에서는 꼭 그렇지는 않다고 이야기 한다.

 

도킨스의 [만들어진 신]이 북미에서 100만부 가까이 팔리는 기염을 토했지만 릭 워렌 목사의 [목적이 이끄는 삶]은 북미에서만 3천만부가 팔렸다. (도킨스 책보다 더 많이 팔린 그들의 대표 저서는 없을 테니, 나름 생각해 볼 만한 수치다)

 

그리고 2007년 말 설문 조사에 따르면 자신을 무신론자로 분명히 규정하는 미국인은 4퍼센트에 불과했다.

 

새로운 무신론의 참신한 면은 종교에 대한 비아냥에 더 심해진 것 뿐이지 비판의 본질이나 내용의 질은 전혀 참신할 게 없다는 점도 이 새로운 운동의 한계점이다.

 

New Atheism 의 주인공들

 

재미있는 일화도 소개되어 있다.

 

노르웨이의 휴머니스트 잡지인 "자유 사상"(Fri Tanke)에 바지니란 사람이 글을 실었는데 그 제목은 "새로운 무신론 운동은 파괴적이다" 였다. 왜냐하면 새로운 무신론 운동은 자신의 긍정적 신념이 아닌 종교에 대한 공격에 더 힘을 쏟으며, 이성에 대한 독점권을 오만하게 주장하기 때문이다.

 

누가 봐도 맞는 이야기를 하고 있어 보이지만 이 글로 인해 바지니는 RichardDawkin.net의 여러 비평가들에 의해 이단자로 낙인찍혀 화형 당했고, 벌레, 머저리, 든 거라고는 공기 밖에 없는 에어백이라는 평가를 들어야 했다.

 

이성과 증거가 자신들의 신념을 뒤엎는다 하더라도 이를 중시한다고 주장하는 그들이 보여줄 만한 행동은 아니지 않는가?

 

이는 마치 종교 근본주의자들과 다를 바가 없다. 교조주의 적이고, 편협하고, 앞뒤가 꽉꽉 막혀서 도무지 대화하기가 어렵다.

 

이 책에서 맥그라스는 벌어지고 있는 현상들에 대해 조목조목 설명해 주면서 동시에 신무신론자들이 주장하는 내용에 대해 분명한 비판을 가한다.

 

잠시 맥그라스가 신무신론 운동의 대표주자인 도킨스에 대해 남긴 평가를 들어보자.

 

"도킨스는 무신론의 어두운 면을 너무나 쉽게 부인하는 경향이 있기에, 우리는 그를 믿을 만한 종교 비판자로 간주하기 어렵다. 그가 내세우고 표방하는 바, 엄정한 증거에 입각한 추론을 그의 분석 어디에서 찾아볼 수 없기 때문이다. 도킨스는 무신론의 보편적 유익을 열렬하고, 경건하고, 무비판적으로 믿는 나머지 자기 자신은 비판적 검토 과정을 거치려고 하지 않는다."

 

이 책은 마지막 부분에 가면 "종교는 폭력적이다" " 종교는 비이성적이다" "종교는 비과학적이다" 라는 신무신론자들의 주장에 대해 하나 하나 반박을 해 나가는데, 맥그라스의 진가가 잘 드러나는 깔끔하고 논리적인 반박이 이뤄진다.(따로 정리해서 올릴 수 있으면 올리겠습니다.)

 

그 내용에 대해 재반박이 가능하다면 시도해 보는 것도 무신론 측 진영에서는 시도해 볼 만 할 것이다.

 

그러나 최소 지금 진행되고 있는 신무신론 운동의 위험성과 문제점들을 잘 알고, 그에 적절히 대처해야 한다는 점을 환기시켜 준다는 점에서 이 책은 상당히 읽어볼 가치가 있다. 관련된 저서들을 많이 읽어온 독자라면 이 책을 통해 깔끔한 정리와 요약, 그리고 새로운 통찰력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맥그라스는 맥스라스다.)

728x90
반응형
LIST

WRITTEN BY
케노시스
다양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